건설폐기물의재활용촉진에관한법률위반

사건번호:

2007도2172

선고일자:

2007053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에 정한 ‘건설폐기물’에 같은 법 시행령 제2조 관련 [별표 1]에 열거된 것만 포함되는지 여부(적극) [2] 혼합되어 발생 또는 배출된 건설폐기물이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제13조 제1항의 구분 수집·운반의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

판결요지

참조조문

[1]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조 / [2]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제13조 제1항, 제63조 제1호,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9조 제1항 제1호 (가)목,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5조 제1항(현행 제5조 제2항 참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 【변 호 인】 변호사 안재극 【원심판결】 광주지법 2007. 2. 14. 선고 2006노1826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상고이유를 판단한다.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2006고단1053 사건의 공소사실에 대하여는 2005. 12. 29. 법률 제778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2006고단1853 사건의 공소사실에 대하여는 위 법률, 이하 모두 ‘건설폐기물재활용법’이라 한다) 제2조 제1호는 ‘건설폐기물’이라 함은 건설산업기본법 제2조 제4호에 해당하는 건설공사로 인하여 공사를 착공하는 때부터 완료하는 때까지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5톤 이상의 폐기물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것을 말한다고 정의하고 있고, 같은 법 시행령 제2조 관련 [별표 1]에 의하면 건설폐기물의 종류가 14가지로 한정하여 열거되어 있는바, 여기서 말하는 건설폐기물에는 건설공사 과정에서 직접적으로 발생되는 폐기물뿐만 아니라, 공사 착공시부터 완공시까지 사이에 그 공사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련되어 공사현장에서 생겨나는 폐기물을 모두 포함한다고 할 것이나, 공사현장에서 생겨나는 폐기물이라 하더라도 위 [별표 1]에 열거되지 아니한 것은 위 법령 소정의 건설폐기물에 해당되지 아니한다고 할 것이다. 원심은 판시와 같은 사유를 들어 이 사건 폐기물 전체를 건설폐기물로 단정하기 어렵고, 달리 이를 인정할 만한 증거가 없어 이 사건 공소사실 전부에 관하여 범죄의 증명이 없는 경우로 보아 모두 무죄를 선고하였는바,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판단은 위 법리에 따른 것으로 정당하고, 거기에 채증법칙을 위반하거나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없다. 한편, 건설폐기물재활용법 제13조 제1항은 누구든지 건설폐기물을 배출, 수집·운반, 보관, 중간처리 함에 있어 대통령령이 정하는 처리기준에 따라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건설폐기물재활용법 시행령 제9조 제1항 제1호 (가)목은 건설폐기물은 폐콘크리트·폐아스팔트콘크리트·폐목재·폐합성수지·폐금속류 등의 종류별로 재활용가능성, 소각가능성 여부 등에 따라 구분하여 배출, 수집·운반, 보관하되, 건설폐기물의 발생 당시 2종류 이상의 건설폐기물이 혼합되어 발생 또는 배출되는 경우(이하 ‘혼합건설폐기물’이라 한다)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건설폐기물재활용법 시행규칙 제5조 제1항 관련 [별표 1] 제3의 (가)항에서는 혼합건설폐기물은 중간처리하는 과정에서 종류별로 최대한 분리·선별하여 처리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위 규정에 따르면 혼합건설폐기물의 경우에는 최대한 분리·선별하되, 건설폐기물이 아닌 것과의 혼합 등으로 인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의한 분리·선별이 상당히 곤란한 정도에 이른 경우에는 위 규정에 의한 구분 수집·운반·보관의 대상에서 제외된다고 해석함이 상당하다. 원심은 그 판시와 같이 이 사건 폐기물 중 건설폐기물의 성상에 속하는 것들에 관하여 특정이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기록에 의하면 이 사건 폐기물은 위와 같은 각종 성분이 모두 혼합된 상태에서 발굴·배출된 사실이 인정되고, 피고인들의 진술과 이 사건 폐기물에 대한 사진촬영결과 등에 의하면, 이 사건 폐기물 중 구별이 비교적 용이한 폐타이어, 폐콘크리트 등은 두리산업이 이를 구분하여 수집, 운반하였고, 이들을 제외한 나머지 각종 폐기물은 안정화 과정에서 토사와 함께 뒤엉켜있어 통상적인 방법에 의한 분리·선별이 상당히 곤란한 정도에 이른 사실이 인정된다고 하여 이 사건 폐기물 중 건설폐기물은 건설폐기물재활용법 제63조 제1호, 제13조 제1항의 구분 수집·운반의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였는바, 위와 같은 원심의 판단은 기록과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정당하고, 거기에 채증법칙을 위반하거나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전수안(재판장) 고현철 양승태(주심) 김지형

유사한 콘텐츠

생활법률

🚧 건설현장에서 나오는 쓰레기, 제대로 알고 버리자! - 건설폐기물 완전 정복 🚧

건설공사에서 발생하는 5톤 이상의 폐기물(건설폐기물)은 종류별로 분리 배출하고, 운반 시 덮개를 설치하는 등 법규에 따라 처리해야 한다.

#건설폐기물#처리기준#분리배출#덮개

일반행정판례

건설 현장에서 나온 흙, 그냥 줘도 불법일까? 폐기물 처리에 대한 오해와 진실

건설현장에서 나온 흙을 농지에 객토용으로 제공한 행위가 폐기물관리법 위반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그에 따른 행정 처분이 정당한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재활용 목적이라도 적법한 절차를 거치지 않으면 폐기물 처리로 간주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건설현장 토사#재활용#폐기물관리법 위반#원상복구 명령

생활법률

🗑️ 우리 주변의 골칫거리, 폐기물! 제대로 알고 버리자!

폐기물은 더 이상 필요 없는 물건으로, 사업장폐기물, 지정폐기물, 의료폐기물, 생활폐기물로 분류되며, 폐기물관리법에 따라 관리되지만 방사성 물질 등 일부는 적용 제외 대상이다.

#폐기물#폐기물관리법#사업장폐기물#지정폐기물

생활법률

폐기물 처리와 재활용, 제대로 알고 하세요! (폐기물관리법 완벽 정리)

폐기물관리법에 따라 폐기물 처리와 재활용은 정해진 기준과 방법(시행령/시행규칙)을 준수해야 하며, 특히 재활용은 환경오염 방지 및 특정 유해 폐기물 재활용 금지/제한 규정을 따라야 하고, 일정 규모 이상은 재활용환경성평가 승인을 받아야 한다.

#폐기물관리법#폐기물 처리기준#폐기물 재활용#재활용환경성평가

형사판례

건설폐기물 불법 위탁처리, 법망을 피할 수 없다!

허가받지 않은 업체에 건설폐기물 처리를 위탁하는 것은 계속되는 범죄행위이며, 법 개정 이전에 계약했더라도 개정 후에도 위탁 처리가 계속되면 처벌받습니다. 또한, 환경부 질의회신만으로는 정당한 법률 착오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건설폐기물 처리기준에 대한 위임입법은 적법합니다.

#무허가 건설폐기물#위탁처리#계속범#법률착오 불인정

형사판례

폐기물, 아무 데나 보관하면 안 돼요! 허가받은 곳에만!

폐기물처리업자는 폐기물을 아무 곳에나 보관할 수 없고, 법적으로 허가받거나 승인받은 특정 장소에만 보관해야 합니다. '적당한 장소'라고 생각하는 곳에 마음대로 보관하는 것은 불법입니다.

#폐기물#보관장소#허가#승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