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법위반

사건번호:

2007도5206

선고일자:

2008052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전환사채의 인수 과정에서 대금의 납입을 가장한 경우, 상법 제628조 제1항의 납입가장죄가 성립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상법 제628조 제1항의 납입가장죄는 회사의 자본에 충실을 기하려는 상법의 취지를 해치는 행위를 처벌하려는 것인데, 전환사채는 발행 당시에는 사채의 성질을 갖는 것으로서 사채권자가 전환권을 행사한 때 비로소 주식으로 전환되어 회사의 자본을 구성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전환권은 사채권자에게 부여된 권리이지 의무는 아니어서 사채권자로서는 전환권을 행사하지 아니할 수도 있으므로, 전환사채의 인수 과정에서 그 납입을 가장하였다고 하더라도 상법 제628조 제1항의 납입가장죄는 성립하지 아니한다.

참조조문

상법 제628조 제1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 【변 호 인】 법무법인 하우림 담당변호사 조대환외 1인 【원심판결】 서울중앙지법 2007. 5. 22. 선고 2007노365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전환사채 인수대금 가장납입의 점에 대하여 상법 제628조 제1항의 납입가장죄는 회사의 자본에 충실을 기하려는 상법의 취지를 해치는 행위를 처벌하려는 것인바, 전환사채는 발행 당시에는 사채의 성질을 갖는 것으로서 사채권자가 전환권을 행사한 때 비로소 주식으로 전환되어 회사의 자본을 구성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전환권은 사채권자에게 부여된 권리이지 의무는 아니어서 사채권자로서는 전환권을 행사하지 아니할 수도 있으므로, 전환사채의 인수 과정에서 그 납입을 가장하였다고 하더라도 상법 제628조 제1항의 납입가장죄는 성립하지 아니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같은 취지에서 원심이 이 사건 전환사채 인수대금의 납입과 관련된 피고인 1, 2, 7, 3, 8, 9의 행위가 죄가 되지 아니하는 경우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상법 제628조 제1항의 납입가장죄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2. 주식인수대금 가장납입의 점에 대하여 형사재판에서 이와 관련된 다른 형사사건 등의 확정판결에서 인정된 사실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유력한 증거자료가 되는 것이나, 당해 형사재판에서 제출된 다른 증거내용에 비추어 관련 형사사건의 확정판결에서의 사실판단을 그대로 채용하기 어렵다고 인정될 경우에는 이를 배척할 수 있다( 대법원 2000. 2. 25. 선고 99다55472 판결, 대법원 2005. 12. 8. 선고 2003도7655 판결 등 참조). 위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공소외인에 대한 확정판결에서의 사실인정을 일부 배척하고, 피고인 1, 4, 2, 8, 7, 5, 6, 10, 11이 공소외인의 주식인수대금 가장납입 사실을 인식하고 이를 용이하게 하였음을 인정할만한 증거가 없다는 이유로 이 부분 공소사실을 각 무죄로 인정한 원심의 판단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 위반, 심리미진, 상법 제628조 제1항의 납입가장죄의 방조에 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3. 결 론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지형(재판장) 고현철 전수안 차한성(주심)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돈 돌려막기 전환사채 발행, 배임죄일까?

전환사채(CB) 가장납입은 자금 조달이 목적이면 배임죄, 주식 발행이 목적이면 가장납입죄가 적용될 수 있다.

#전환사채#가장납입#배임죄#주식발행

형사판례

전환사채 발행과 배임죄: 돈 안 내고 전환사채 발행하면 배임죄?

회사 돈으로 전환사채를 인수한 것처럼 꾸며 회사에 손해를 끼치면 업무상 배임죄가 성립한다. 사후에 회사에 돈을 일부 돌려주거나 주식으로 전환했더라도 배임죄는 그대로 유지된다.

#전환사채#배임죄#회사 손해#대법원

형사판례

주금 넣었다 바로 빼면 납입가장죄? 😱

회사를 설립하거나 자본금을 늘릴 때, 잠깐 돈을 넣어 납입 증명서만 받고 바로 빼는 행위는 회사 자본금이 실제로 늘어나지 않기 때문에 '납입가장죄'에 해당한다. 회사에 빚을 지는 형식으로 처리했더라도 죄가 성립한다.

#납입가장죄#자본충실#회사설립#증자

민사판례

전환사채 발행과 관련된 법적 분쟁 해결

이 판례는 전환사채 발행과 관련된 이사회 및 주주총회 결의의 하자를 다투는 소송 절차와 관련된 여러 법적 쟁점을 다룹니다. 특히, 전환사채 발행에도 신주 발행과 유사하게 무효 확인 소송을 제기할 수 있으며, 결의 부존재 확인과 무효 확인 소송의 차이점, 그리고 제소 기간 제한 등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전환사채#주주총회#결의효력#소송절차

세무판례

회사 대표의 전환사채/신주인수권부사채 투자, 증여세 부과 대상일까?

회사 대표이사가 회사가 발행한 전환사채를 조기상환받고 전환권을 행사하여 얻은 주식 차익에 대해 증여세를 부과한 것은 부당하다. 이는 조세 회피 목적이 아닌 정상적인 사업 활동의 결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전환사채#조기상환#전환권#증여세

형사판례

회사 설립 자금, 바로 빼도 괜찮을까? - 납입가장죄 함정 피하기

회사 설립 등기 후 자본금을 바로 인출했더라도, 그 돈을 회사 자산을 사오는 데 썼다면 납입가장죄로 처벌받지 않을 수 있다.

#납입가장죄#자본금#인출#회사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