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회의개의및본회의제명의결처분취소

사건번호:

2007두13487

선고일자:

2009013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구 지방자치법 제32조 제1항 제3호에 따라 지방의회 의원에게 지급하는 월정수당이 지방의회 의원의 직무활동에 대한 대가로 지급되는 보수인지 여부(적극) [2] 지방의회 의원에 대한 제명의결 취소소송 계속중 의원의 임기가 만료된 사안에서, 제명의결의 취소로 의원의 지위를 회복할 수는 없다 하더라도 제명의결시부터 임기만료일까지의 기간에 대한 월정수당의 지급을 구할 수 있는 등 여전히 그 제명의결의 취소를 구할 법률상 이익이 있다고 본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구 지방자치법(2007. 5. 11. 법률 제8423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32조 제1항(현행 제33조 제1항 참조) / [2] 행정소송법 제12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인천광역시 서구의회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7. 6. 1. 선고 2006누26532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제1심판결을 취소한다. 사건을 인천지방법원으로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지방자치법(2007. 5. 11. 법률 제8423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32조 제1항(현행 지방자치법 제33조 제1항 참조)은 지방의회 의원에게 지급하는 비용으로 의정활동비( 제1호)와 여비( 제2호) 외에 월정수당( 제3호)을 규정하고 있는바, 이 규정의 입법연혁과 함께 특히 월정수당( 제3호)은 지방의회 의원의 직무활동에 대하여 매월 지급되는 것으로서, 지방의회 의원이 전문성을 가지고 의정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하는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는 데에 그 입법 취지가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보면, 지방의회 의원에게 지급되는 비용 중 적어도 월정수당( 제3호)은 지방의회 의원의 직무활동에 대한 대가로 지급되는 보수의 일종으로 봄이 상당하다. 따라서 원고가 이 사건 제명의결 취소소송 계속중 임기가 만료되어 제명의결의 취소로 지방의회 의원으로서의 지위를 회복할 수는 없다 할지라도, 그 취소로 인하여 최소한 제명의결시부터 임기만료일까지의 기간에 대해 월정수당의 지급을 구할 수 있는 등 여전히 그 제명의결의 취소를 구할 법률상 이익은 남아 있다고 보아야 한다. 그런데도 이 사건 제1심과 원심은 단순히 원고가 임기 만료로 지방의회 의원으로서의 지위를 회복할 수 없게 되었다는 이유만으로 이 사건 제명의결의 취소를 구할 법률상 이익이 없다고 판단하고 말았으니, 이러한 판단에는 취소소송에서의 소의 이익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여 제1심판결을 취소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도록 하기 위해 제1심법원으로 환송하기로 관여 대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안대희(재판장) 김영란(주심) 이홍훈 양창수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이미 끝난 임기, 의원직 제명 취소 소송은 의미가 있을까?

임기가 이미 끝난 지방의회 의원은 자신에게 내려진 제명 처분을 취소해달라는 소송을 할 수 없다. 왜냐하면 소송에서 이겨도 이미 임기가 끝났기 때문에 의원직을 되찾을 수 없기 때문이다.

#지방의회 의원#제명처분 취소소송#임기만료#소의 이익

일반행정판례

지방의회 의원 제명, 어디에 소송을 걸어야 할까요?

지방의회 의원에 대한 징계처분은 행정처분으로, 이에 불복하는 소송은 지방의회 소재지를 관할하는 고등법원에 제기해야 합니다.

#지방의회#의원 제명#행정소송#고등법원

일반행정판례

지방의회 의원 제명, 너무 심했나요? 징계 재량권 남용에 대한 이야기

지방의회가 의원을 징계할 때는 징계 사유와 징계 수위가 적절해야 하며, 지나치게 과도한 징계는 위법하다.

#지방의회#의원 징계#재량권 남용#위법

일반행정판례

시의원 제명, 돈으로 보상 못하면 효력 정지될 수 있다?

부당하게 시의원직에서 제명되었다면, 제명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명예 손상 등 '회복하기 어려운 손해'를 막기 위해 제명의 효력을 정지할 수 있다.

#시의원 제명#효력정지#회복하기 어려운 손해#명예 손상

일반행정판례

지방의회 의원 의정비, 주민 정서와 다르다고 무조건 위법일까?

지방의회 의원에게 지급되는 의정비 결정을 위한 심의위원회 구성이나 주민 의견 수렴 절차가 법령을 완벽하게 따르지 않았더라도, 그 절차상 하자가 심의위원회의 독립성과 객관성을 심각하게 훼손하지 않았다면 의정비 결정은 유효하다.

#지방의회#의정비#심의위원회#절차적 하자

일반행정판례

비례대표 지방의원, 정당 해산되어도 의원직 유지?

헌법재판소에서 정당이 위헌으로 해산되더라도, 그 정당 소속 비례대표 지방의회의원은 의원직을 자동으로 잃지 않는다.

#위헌정당 해산#비례대표#지방의회의원#의원직 상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