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주등금지가처분

사건번호:

2007마573

선고일자:

20080513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가압류신청이나 가처분신청을 인용한 결정에 관하여 민사소송법 제442조에 의한 재항고나 같은 법 제444조의 즉시항고로 다툴 수 있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민사집행법 제283조, 제301조, 민사소송법 제442조, 제444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9. 4. 20.자 99마865 결정(공1999하, 1236), 대법원 2005. 9. 15.자 2005마726 결정

판례내용

【신청인, 상대방】 【피신청인, 재항고인】 해청아파트 1단지 재건축조합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성수) 【피신청인의 보조참가인, 재항고인(선정당사자)】 【원심결정】 서울고법 2007. 4. 10.자 2007라527 결정 【주 문】 재항고를 모두 각하한다. 재항고비용은 재항고인들이 부담한다. 【이 유】 재항고이유를 판단하기에 앞서 직권으로 판단한다. 기록에 의하면, 신청인(상대방, 이하 ‘신청인’이라 한다)들의 이 사건 가처분신청에 대하여 제1심법원은 이를 기각하는 결정을 하였고, 이에 대하여 신청인들이 항고하였던바, 원심법원은 변론을 거치지 아니한 채 신청인들의 항고를 받아들여 이 사건 가처분신청을 인용하는 결정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가압류신청이나 가처분신청을 인용한 결정에 대하여는 채무자나 피신청인은 민사집행법 제283조, 제301조에 의하여 그 보전처분을 발한 법원에 이의를 신청할 수 있을 뿐이고, 그 인용결정이 항고법원에 의하여 행하여진 경우라 하더라도 이에 대하여 민사소송법 제442조에 의한 재항고나 같은 법 제444조의 즉시항고로는 다툴 수 없는 것이므로 ( 대법원 1999. 4. 20.자 99마865 결정, 대법원 2005. 9. 15.자 2005마726 결정 등 참조), 원심법원의 가처분신청인용결정에 대한 이 사건 재항고는 모두 부적법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재항고를 모두 각하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양승태(재판장) 박시환 김능환(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가압류・가처분 인용 결정에 대한 불복 방법

법원이 재산을 압류하거나 특정 행위를 못하게 하는 가압류/가처분 신청을 받아들였을 때, 상대방은 일반적인 항고 방식(재항고, 즉시항고)으로 이 결정에 불복할 수 없습니다.

#가압류#가처분#인용결정#재항고

민사판례

가처분 인용 결정에 대한 재항고, 가능할까요?

변론 없이 가처분 신청이 인용된 경우, 상대방은 재항고가 아닌 이의신청을 해야 합니다.

#가처분#인용#재항고 불가#이의신청

민사판례

가처분 결정에 대한 불복, 어떻게 해야 할까요?

법원의 가처분 결정에 불만이 있을 경우, 특별항고가 아닌 이의신청을 통해서만 다툴 수 있습니다.

#가처분#불복#이의신청#특별항고 불가

민사판례

가처분 인용 결정에 대한 불복, 재항고는 안돼요! 이의신청하세요!

변론 없이 법원이 가처분 신청을 인용한 결정에 불복하려면 재항고가 아닌 이의신청을 해야 합니다. 항고법원에서 가처분 신청을 인용했더라도 마찬가지입니다.

#가처분#이의신청#재항고#불복방법

민사판례

변론 없이 결정된 가처분, 재항고 가능할까?

법원이 변론 없이 가압류나 가처분을 결정했을 경우, 그 결정에 불복하는 측은 재항고가 아닌 이의신청을 해야 합니다.

#가압류#가처분#변론 없음#이의신청

민사판례

가처분 인용 결정에 불복하는 방법

법원이 가압류 또는 가처분 신청을 받아들인 경우, 상대방은 재항고나 즉시항고로 다툴 수 없고, 이의신청만 가능합니다.

#가압류#가처분#인용결정#재항고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