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리범위확인(특)

사건번호:

2007후5116

선고일자:

2009051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특허

사건종류코드:

400106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명칭이 “IC 제품 자동 다중 분류기”인 특허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4항 내지 제8항이 특허출원 당시의 기술 수준을 기준으로 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의 입장에서 볼 때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대응되는 사항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뒷받침되고 있다는 등의 이유로 구 특허법 제42조 제4항의 명세서 기재요건에 위배되지 않는다고 한 사례 [2] 특허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4항 내지 제8항의 ‘소팅 트레이 및 IC 제품이 리젝트라인을 따라 옮겨져 소팅 트레이로 분류되는 구성’과 확인대상발명의 ‘소팅부 및 디바이스가 X-Y축을 따라 옮겨져 소팅부로 분류되는 구성’ 등이 균등관계에 있으므로, 확인대상발명은 특허발명의 각 구성과 동일하거나 균등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어 그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구 특허법(2006. 3. 3. 법률 제787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2조 제4항 / [2] 구 특허법(2006. 3. 3. 법률 제787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35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원심판결】 특허법원 2007. 11. 23. 선고 2006허9654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원심판결 이유를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명칭을 ‘IC 제품 자동 다중 분류기’로 하는 이 사건 특허발명(특허번호 제260038호)의 특허청구범위 제4항 내지 제8항이 특허출원 당시의 기술 수준을 기준으로 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의 입장에서 볼 때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대응되는 사항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뒷받침되고 있다는 등의 이유로, 구 특허법(2006. 3. 3. 법률 제787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2조 제4항의 명세서 기재요건에 위배되지 않는다는 취지로 판단하였음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명세서 기재불비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2. 원심판결 이유를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이 사건 특허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4항 내지 제8항의 소팅 트레이{디시리젝트 트레이(28), 콘택트 리젝트 트레이(30), 빈 리젝트 트레이(31)} 및 IC 제품이 리젝트라인을 따라 옮겨져 소팅 트레이로 분류되는 구성과 확인대상발명의 소팅부(24) 및 디바이스가 X-Y축(21)을 따라 옮겨져 소팅부로 분류되는 구성 등이 그 판시와 같은 이유로 균등관계에 있다고 본 다음, 확인대상발명이 이 사건 특허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4항 내지 제8항의 각 구성과 동일하거나 균등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어 그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취지로 판단하였음은 정당하고, 원심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특허발명의 권리범위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안대희(재판장) 박시환(주심) 박일환 신영철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특허 침해, 어디까지 인정될까? - 균등침해와 청구취지 특정

특허의 일부 구성이 다르더라도 핵심 기술사상이 같고, 그 차이가 일반적인 기술자가 쉽게 생각해낼 수 있는 정도라면 특허침해로 인정될 수 있다. 특허침해 금지 소송에서는 사회통념상 침해 대상을 구별할 수 있을 정도로만 특정하면 된다.

#특허 균등침해#판단 기준#금지청구#특정

특허판례

물건 발명 특허권, 제조방법까지 따져야 할까?

물건 발명 특허에서는 제조 방법이 아니라 최종 제품의 구성이 중요하다. 따라서 특허 침해 여부를 판단할 때, 제품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보다는 최종 제품이 특허받은 물건과 같은 구성을 갖는지가 핵심이다.

#물건 발명#특허 침해#제조 방법#최종 제품 구성

민사판례

특허침해소송에서의 중복제소, 자백, 명세서 기재요건, 그리고 침해 판단

이 판례는 특허침해소송에서 중복제소, 재판상 자백의 효력, 특허 명세서의 기재요건, 특허발명의 보호범위 해석 및 침해 여부 판단 기준에 대한 대법원의 입장을 보여줍니다. 특히, 원고가 소송 중 추가한 청구가 기존 청구와 동일하여 중복제소로 판단되었고, 피고의 특정 구성요소 포함 인정 진술이 재판상 자백으로 효력을 가진다는 점, 그리고 특허 명세서의 '평균 막 두께' 및 '최외부'의 의미가 명확하여 기재요건을 충족한다는 점 등이 핵심입니다.

#중복제소#재판상 자백#특허 명세서 기재요건#특허발명 보호범위

특허판례

특허 출원 명세서, 제대로 쓰셨나요? 명확한 기재, 필수입니다!

특허 출원 시 제출하는 명세서에는 발명의 내용을 일반인도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정확하고 상세하게 기재해야 하며,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이 서로 일치해야 합니다. 명세서 보정 시 이러한 사항들이 지켜지지 않으면 특허 등록이 거절될 수 있습니다.

#특허출원#명세서#기재요건#특허청구범위

특허판례

특허는 똑바로 받자! 애매모호한 설명은 특허권도 없다?!

특허 명세서에 발명의 핵심 구성요소가 불명확하게 기재되어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특정할 수 없다면, 특허권자는 그 권리를 주장할 수 없다. 법원은 당사자 주장 없이도 직권으로 명세서 기재의 명확성을 판단한다.

#특허#명세서#불명확#기재

특허판례

특허 명세서, 제대로 써야 특허권 지킬 수 있다!

합금강으로 만든 연결 엘리먼트에 대한 특허가 무효라고 판결된 사례. 특허 명세서에 발명을 충분히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았고, 특허 범위도 명세서 내용과 일치하지 않아 무효 사유에 해당한다고 판단.

#특허무효#합금강#연결 엘리먼트#명세서 불충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