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여금

사건번호:

2008다6083,6090

선고일자:

2008122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분채권의 일부임을 명시하지 않은 청구에 대한 조정조서의 기판력의 범위 및 이는 수개의 금전채권을 일괄하여 청구함에 있어 그 일부를 청구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인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216조 제1항

참조판례

대법원 1982. 11. 23. 선고 82다카845 판결(공1983, 206)

판례내용

【원고(반소피고), 상고인】 【피고(반소원고), 피상고인】 【피고(반소원고)승계참가인, 피상고인】 남영수 【원심판결】 대구고법 2007. 12. 7. 선고 2007나5381, 5398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반소피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상고이유서 제출기간이 경과한 후에 제출된 보충상고이유서의 기재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범위 내에서)를 본다. 1. 반소청구금액에 대하여 원고(반소피고, 이하 ‘원고’라 한다)는 원심에서, 제1심판결이 인용한 이 사건 반소청구금액 중 소외 1의 이름으로 송금된 합계 70,000,000원 부분에 대해서만 다투며 나머지 부분은 인정한다는 취지의 준비서면을 제출한바 있고(원고의 2007. 11. 5.자 준비서면 등 참조), 상고이유서에서도 반소청구에 대하여는 위 70,000,000원 부분의 기각만을 주장하고 있는바, 기록에 의하면, 위 70,000,000원의 송금자로 되어 있는 ‘ 소외 1’은 당시 피고(반소원고, 이하 ‘피고’라 한다) 회사의 감사로 재직하던 사람으로서, 피고 회사가 그를 통해 위 돈을 원고에게 송금한 것으로 본 원심의 사실인정과 판단을 충분히 수긍할 수 있으므로, 원고의 이 부분 상고논지는 이유 없다. 2. 조정조서의 기판력과 관련하여 가분채권의 일부에 대한 이행청구의 소를 제기하면서 그 일부를 유보하고 나머지만을 청구한다는 취지를 명시하지 아니한 이상 그 일부 청구에 대한 확정판결이나 조정조서의 기판력은 청구하고 남은 잔부청구에까지 미치는 것이고( 대법원 1982. 11. 23. 선고 82다카845 판결 참조), 이러한 법리는 수개의 금전채권을 일괄하여 청구함에 있어 그 총 금액의 일부를 청구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라 할 것이다. 원심은, 원고의 이 사건 청구 중 2002. 7. 12.자 대여금 10,000,000원을 비롯한 10건의 대여금 합계 290,983,150원과 소외 2, 소외 3에게 대위변제한 이자 177,500,000원의 청구가 원고가 피고를 상대로 제기한 서울중앙지방법원 2005가합58347 대여금청구 사건(이하 ‘종전 소송’이라 한다)에서 청구한 것과 동일한 것으로서, 그에 관하여 종전 소송에서 당사자들 사이에 조정이 성립된 이상 이 부분의 소는 권리보호의 이익이 없다고 판단하였다. 기록에 의하면, 원고가 청구하는 위 290,983,150원은 종전 소송에서 청구원인으로 삼았던 채권이고(을 제13호증의 2 참조), 위 이자 역시 종전 소송에서 2004. 4. 19.부터 다 갚는 날까지 연 25%의 비율로 청구하였음이 명백하니(을 제2호증 참조), 원고가 종전 소송에서 각 일부 청구임을 명시하지 아니한 이상 이 사건에서 전술한 법리에 따라 위 조정조서의 기판력이 이 사건 청구금액에도 미친다고 본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 위반이나 확정된 조정조서의 효력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3. 그 외 채증법칙 위반의 점 원심이 채택한 증거들을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나머지 대여금들에 대한 원심의 사실인정과 판단 또한 정당한 것으로서 충분히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 위반의 위법이 없다. 4. 결 론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일환(재판장) 양승태(주심) 박시환 김능환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빌린 돈 갚았는데도 다시 갚으라고 소송당하면 어떻게 될까?

빌려준 돈을 이미 받았으면서도 돈을 안 갚았다고 거짓말로 소송을 걸어 이긴 경우, 그 돈을 다시 돌려받을 수 없습니다.

#기판력#부당이득반환청구#확정판결#채무변제

상담사례

빌려준 돈 받으려 소송했는데, 제3자가 갚아줬어요! 소송비용은 어떻게 되나요? 🤔

빌려준 돈을 제3자가 변제했지만, 소송비용은 법원의 확정 결정 전이라 170만 원을 바로 소송비용으로 인정받기 어렵다.

#소송비용 확정#소송비용 부담#법원 결정

민사판례

빌려준 돈 받으려면 뭘 증명해야 할까요?

돈을 빌려준 사람의 동생이 "권리를 위임받았다"며 돈을 갚으라고 소송을 걸었는데, 법원이 '권리 위임'의 구체적인 의미를 묻지 않고(석명하지 않고) 동생의 청구를 인정한 것은 잘못이라는 판결입니다.

#권리위임#석명권#채권양도#추심권한

민사판례

돈 받을 권리, 일부만 청구하면 나머지는 어떻게 될까?

돈을 받아야 하는 채권자가 돈의 일부만 청구하는 소송을 냈을 때, 소멸시효는 청구한 금액에 대해서만 중단되고 나머지 금액에 대해서는 중단되지 않는다. 다만, 소송 중에 나머지 금액도 청구할 의사를 밝혔다면 소송이 끝난 후 6개월 안에 추가 소송을 제기하면 소멸시효 진행을 막을 수 있다.

#일부청구#소멸시효#중단#소송

상담사례

돈 빌려줬는데 누구에게 받아야 할까요? - 예비적/선택적 피고 추가

돈을 빌려준 대상(乙)과 돈을 보낸 계좌주(甲)가 불일치하여 돈을 돌려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기존 소송에 돈을 빌려준 대상(乙)을 예비적/선택적 피고로 추가하여 둘 중 한 명에게 변제받을 수 있도록 소송을 진행할 수 있다.

#대여금#예비적 피고#선택적 피고#피고 추가

생활법률

돈 안 갚는 사람, 어떻게 해결할까요? 대여금 반환 청구 A to Z

돈을 돌려받지 못했을 때, 내용증명 발송 후 가압류 신청, 지급명령 또는 민사소송을 통해 집행권원을 확보하고 강제집행으로 회수하며, 돈을 빌릴 당시 갚을 의사나 능력이 없었음을 입증해야 사기죄가 성립합니다.

#대여금#반환#내용증명#가압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