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번호:
2008다64522,64539
선고일자:
2010072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증거의 취사와 사실의 인정을 상고이유로 삼을 수 있는지 여부(소극)
민사소송법 제202조, 제424조
대법원 2001. 8. 24. 선고 2001다33048 판결, 대법원 2005. 7. 15. 선고 2003다61689 판결
【원고, 피상고인】 주택개량재개발옥수제8구역재개발조합 (소송대리인 변호사 주대진) 【피고, 상고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8. 6. 27. 선고 2007나26280, 26297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들이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상고이유서 제출기간이 경과한 후에 제출된 상고이유보충서의 기재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범위 내에서)를 판단한다. 1. 피고들의 채증법칙 위배 등 주장에 대하여 증거의 취사와 사실의 인정은 사실심의 전권에 속하는 것으로서 이것이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적법한 상고이유로 삼을 수 없다( 대법원 2001. 8. 24. 선고 2001다33048 판결, 대법원 2005. 7. 15. 선고 2003다61689 판결 등 참조). 원심은 그 채용 증거들을 종합하여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원고 조합이 1998. 3. 8.경 원고 조합 대의원회에서 보류시설인 이 사건 아파트를 소외인에게 매매하기로 하는 결의를 하였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하였는바, 앞서 본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이러한 사실인정과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등기의 추정력에 관한 법리오해, 채증법칙 위배, 심리미진 등의 위법이 없다. 2. 피고 1, 5의 나머지 주장에 대하여 원심은, 원고 조합이 무효인 이 사건 아파트 처분행위를 유효한 것으로 추인하기 위하여는 조합원총회 또는 대의원회의 결의를 통하여 위 처분행위를 추인하여야 한다고 전제한 다음, 원고 조합이 위와 같은 결의를 거침이 없이 단지 소외인으로부터 매매대금을 지급받고 이 사건 아파트에 관하여 소외인 앞으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쳐주었다는 사정만으로 원고 조합이 위 처분행위를 추인하였다고 볼 수 없고, 또 원고 조합이 조합원총회 또는 대의원회의 결의 없이 이 사건 아파트의 처분행위가 이루어졌음을 이유로 원인무효인 각 소유권이전등기의 말소를 구하는 것이 금반언의 원칙에 반하는 것이라고 볼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관련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이러한 인정과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무권대리의 추인, 금반언의 원칙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또 원심은, 원고 조합의 조합장이 조합원총회나 대의원회의 결의를 거치지 않고 조합을 대리하여 이 사건 아파트를 처분한 데에 민법 제126조의 표현대리 규정이 준용 또는 유추적용되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하여 그 판시와 같은 이유를 들어 이를 배척하였는바, 관련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이러한 인정과 판단은 그 이유설시에 다소 부적절한 점이 없지 않으나 결론에 있어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표현대리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또한 원심은, 원고 조합에게 무효인 이 사건 아파트 처분행위의 사후 조치로서 관할 관청의 인가 등을 받아주어야 할 의무가 생긴다고 할 수 없고, 판시 분쟁 경위, 원고 조합과 전 대표자인 소화영의 관계 등 여러 사정에 비추어 원고 조합의 이 사건 청구가 신의칙에 반하거나 권리남용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는 이유로 피고들의 권리남용 등의 주장을 배척하였는바, 관련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신의칙 위반 및 권리남용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한편, 피고 1, 5는, 자신들에게 이 사건 아파트에 대한 소유권이전등기말소의 패소판결이 선고되면 피고 5는 피고 2, 3, 4( 소외인의 상속인들)에게 매매대금 상당의 부당이득반환채권을 취득하게 되고 그 범위 내에서 피고 2 등의 원고 조합에 대한 부당이득반환채권을 대위행사할 수 있고, 피고 1도 피고 5가 원고 조합에 대해 대위청구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피고 5의 대위청구를 다시 대위할 수 있는 것이어서, 피고 1, 5의 위와 같은 대위청구와 소유권이전등기말소의무는 동시이행관계에 있게 되므로, 각 매매대금 상당의 금원을 반환받기 전까지는 원고 조합의 이 사건 청구에 응할 수 없다는 상고이유의 주장을 하고 있는바, 이는 위 피고들이 상고심에 이르러 비로소 주장하는 것으로서 이는 원심판결에 대한 적법한 상고이유가 될 수 없다. 3. 결론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들이 부담하는 것으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차한성(재판장) 박시환(주심) 신영철
일반행정판례
재개발 조합이 관리처분계획 수립 후 조합원의 분양신청 변경(1주택에서 2주택으로) 요구를 거부한 것이 정당한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대법원은 조합의 거부가 정당하다고 판단하여 원심을 파기하고 사건을 환송했습니다.
일반행정판례
재개발·재건축 사업에서 관리처분계획이 수립되기 *전*에 조합원이 조합을 상대로 새 아파트에 대한 수분양권을 확인해달라는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결론은 *불가능*합니다.
민사판례
재개발조합 조합원은 조합과 제3자 간의 계약에 대해 직접 무효확인 소송을 제기할 수 없다. 조합원은 법적으로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당사자가 아니기 때문이다.
민사판례
재개발조합 조합원 자격은 조합 정관으로 정해지는 것이므로, 구청의 의견이나 인가처분으로 조합원 지위가 확정되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구청을 상대로 조합원 지위 확인을 구하는 소송은 효력이 없어 소송을 제기할 이익이 없습니다.
민사판례
재개발 지역 내 무허가건물의 실제 소유권을 둘러싼 개인 간 분쟁이 발생할 경우, 조합이 아닌 분쟁 당사자를 상대로 민사소송(소유권확인소송, 조합원 지위 확인소송 등)을 제기하는 것이 적법하다.
민사판례
대법원(상고심) 판결에서 다룬 사실관계 자체에 오류가 있다고 주장하며 재심을 청구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결론적으로, 상고심은 사실관계를 직접 조사하지 않고, 하급심(1, 2심)의 사실인정이 적법한지만 판단하기 때문에, 사실관계 자체에 대한 재심은 상고심 판결을 대상으로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