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절결정(상)

사건번호:

2008후1586

선고일자:

200809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특허

사건종류코드:

400106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선사용상표 " "가 출원상표의 출원 당시에 외국에서 주지·저명하여 구 상표법 제7조 제1항 제12호에 정한 ‘특정인의 상표라고 현저하게 인식되어 있는 상표’에 해당한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구 상표법(2007. 1. 3. 법률 제819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7조 제1항 제12호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원고 (소송대리인 특허법인 맥 담당변리사 이은욱 외 2인) 【피고, 상고인】 특허청장 【피고보조참가인】 바디와이즈(유케이)리미티드 (소송대리인 변리사 나영환) 【원심판결】 특허법원 2008. 4. 17. 선고 2007허13001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특허법원으로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피고보조참가인은 1989. 7.경 영국에서 다이옥신이 없는 여성용 위생용품과 환경친화적인 아기용품을 개발·생산하기 위하여 설립되고, 이 사건 선사용상표는 그 무렵부터 생리대 등 여성용 위생용품에 사용되어 위 위생용품이 이 사건 출원상표(번호 생략)의 출원 당시인 2004.에는 한국을 비롯한 36개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점, 이 사건 선사용상표가 부착된 여성용 위생용품은 2001년부터 2003년까지 영국에서 총 1,057,754팩이 판매되고, 북미(캐나다, 미국)에서 총 4,640,632팩이 판매되었으며 아이슬란드에서는 총 194,024팩이 판매되고, 2002년 발행된 ‘자연식품 머천다이저’라는 잡지에는 미국에서 가장 잘 팔리는 상위 40개 상품 중 하나로 선정되기도 한 점, 미국에서 이 사건 선사용상표가 부착된 제품이 전체 위생제품 시장의 1%를 차지하고 있고 아이슬란드에서는 이 사건 선사용상표가 부착된 제품이 세 번째로 인기있는 위생용품이며 이 사건 선사용상표가 부착된 여성용 위생용품은 슈퍼마켓에서 판매되고 있기는 하지만 주로 친환경제품전문점에서 판매되고 있다는 내용이 신문기사에 게재되어 있는 점을 알 수 있는바, 피고보조참가인이 전 세계에 걸친 판매망을 15년간에 걸쳐 유지하고 확대하면서 이 사건 선사용상표를 사용한 상품을 대량으로 판매하여 온 실정에 비추어 보면, 이 사건 선사용상표가 부착된 여성용 위생용품의 생산량과 매출액 등의 사용실적이 구체적으로 특정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이 사건 선사용상표가 외국의 수요자 간에 널리 인식시킬 수 있을 정도의 생산량과 매출액임을 추정하기에 어렵지 않다. 그리고 원심에서 이 사건 선사용상표가 부착된 위생용품의 판매국가, 판매량이 상당하다는 취지의 자료가 이미 제출되어 있는 이상, 이 사건 출원상표의 출원일 당시의 이 사건 선사용상표를 사용한 여성용 위생용품에 관한 광고의 정도와 광고비 지출액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할 자료가 없다고 하여 가볍게 배척할 것이 아니다. 결국, 원심이 이 사건 선사용상표가 이 사건 출원상표의 출원 당시 외국의 수요자 간에 특정인의 상표로 현저하게 인식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것에는 구 상표법(2007. 1. 3. 법률 제819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7조 제1항 제12호 소정의 ‘특정인의 상표라고 현저하게 인식되어 있는 상표’의 판단에 관한 법리오해 및 심리미진으로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으므로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에서의 주장은 이유 있다.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으로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일환(재판장) 양승태(주심) 박시환 김능환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유명하지 않은 상표 따라하기, 거래질서 어지럽힐까?

이미 사용 중인 덜 유명한 상표와 비슷한 상표라도, 상표 등록이 거절되는 것은 아니다.

#상표#등록#유사#저명상표

특허판례

유명 상표와 비슷하지 않아도 등록 못할 수 있다? 상표권 분쟁 이야기

유명 상표와 비슷한 부분이 있더라도 전체적인 모양과 느낌이 다르고, 유명 상표가 쉽게 연상되지 않는다면 새로운 상표로 등록할 수 있다.

#상표#유사#등록#혼동

특허판례

해외 상표, 국내에서 팔면 상표 사용으로 인정될까?

외국 상표권자가 자기 상표를 붙인 상품을 국내 수입업자가 수입해서 판매하면, 그 상표권자가 국내에서 상표를 사용한 것으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외국상표#수입상품#국내상표사용#상표권자

특허판례

해외 유명 브랜드, 국내에서 똑같이 상표 등록해도 될까?

외국에서 유명한 상표라도 국내에서 인지도가 없다면, 그 상표를 모방하여 유사한 상품에 사용하더라도 공서양속(공공의 질서와 선량한 풍속)에 위배되지 않아 상표 등록이 무효가 되지 않을 수 있다는 판결.

#상표#모방#국내 인지도#공서양속

특허판례

상표 등록 거절, 무조건 안되는 건 아니에요!

새로운 상표를 등록하려 할 때, 이미 존재하는 상표와 유사하더라도 그 상표가 국내에서 어느 정도 알려져 있는지를 먼저 따져봐야 한다는 판결. 단순히 유사성만으로 등록을 거절해서는 안 된다.

#상표#유사#등록#거절

특허판례

상표권 분쟁, 내 상표가 베껴진 걸까? - 유명 상표와 유사한 상표 등록, 언니 알려주세요!

이 판례는 타인의 상표와 유사하여 수요자를 기만할 염려가 있는 상표의 등록을 거절할 수 있는 기준 시점과, 상표의 국내 인지도 판단, 그리고 파리협약 위반 여부에 대한 판단 기준을 제시합니다. 본 사례에서는 골프용품 상표와 관련하여, 출원 당시 해당 상표가 국내에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는 이유로 등록이 거절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대리점의 상표 도용 가능성 등 '신의칙 위반' 여부는 추가 심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환송되었습니다.

#상표#유사상표#등록거절#출원시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