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정(특)

사건번호:

2008후3520

선고일자:

201003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특허

사건종류코드:

400106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선택발명의 신규성을 부정하기 위한 요건 [2] 비교대상발명에는 정정 후의 특허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11항의 화합물인 ‘R-트란스 헵탄산’ 및 그 화합물이 콜레스테롤 생합성을 억제한다는 위 제11항의 구체적 용도가 그대로 개시되어 있으므로, 위 제11항은 신규성이 부정된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특허법 제29조 제2항, 제42조 제3항 / [2] 특허법 제29조 제2항, 제42조 제3항

참조판례

[1] 대법원 2002. 12. 26. 선고 2001후2375 판결(공2003상, 543), 대법원 2007. 9. 6. 선고 2005후3338 판결(공2007하, 1587), 대법원 2009. 10. 15. 선고 2008후736, 743 판결(공2009하, 1898), 대법원 2010. 3. 25. 선고 2008후3469, 3476 판결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워너-램버트 캄파니 엘엘씨 (소송대리인 변호사 손지열외 8인) 【피고, 피상고인】 특허청장 【피고보조참가인】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리사 안소영외 1인) 【원심판결】 특허법원 2008. 6. 26. 선고 2007허13148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보조참가로 인한 부분을 포함하여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상고이유서 제출기간 경과 후에 제출된 상고이유보충서의 기재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범위 내에서)를 판단한다. 선행 또는 공지의 발명에 구성요건이 상위개념으로 기재되어 있고 위 상위개념에 포함되는 하위개념만을 구성요건 중의 전부 또는 일부로 하는 이른바 선택발명의 신규성을 부정하기 위해서는 선행발명이 선택발명을 구성하는 하위개념을 구체적으로 개시하고 있어야 하고( 대법원 2002. 12. 26. 선고 2001후2375 판결, 대법원 2007. 9. 6. 선고 2005후3338 판결 등 참조), 이에는 선행발명을 기재한 선행문헌에 선택발명에 대한 문언적인 기재가 존재하는 경우 외에도 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선행문헌의 기재 내용과 출원시의 기술 상식에 기초하여 선행문헌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선택발명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는 경우도 포함된다( 대법원 2009. 10. 15. 선고 2008후736, 743 판결 참조). 위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 판시 비교대상발명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원심 판시 R-트란스 헵탄산에 대한 문언적 기재가 존재하지 않으나, 그 실시예 2에는 R-트란스 헵탄산과 S-트란스 헵탄산의 라세미체가 개시되어 있는데, 비교대상발명이 구조식Ⅰ의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의 가능한 4개의 이성체를 혼합물의 형태가 아닌 개별적 이성체로 인식하고 있는 이상, 이의 개환된 형태인 R-트란스 헵탄산과 S-트란스 헵탄산의 라세미체의 가능한 2개의 광학이성체도 개별적 이성체로 인식할 수 있을 것이므로, 비교대상발명에는 정정 후의 이 사건 특허발명(특허번호 제167101호)의 특허청구범위 제11항(이하 정정 후의 이 사건 제11항 발명이라 한다)의 화합물인 R-트란스 헵탄산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정정 후의 이 사건 제11항 발명은 R-트란스 헵탄산의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내지 과콜레스테롤혈증 치료”라는 의약용도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데, 비교대상발명에는 그 화합물이 콜레스테롤 생합성을 억제한다는 정정 후의 이 사건 제11항 발명의 구체적 용도 또한 그대로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정정 후의 이 사건 제11항 발명의 신규성이 부정된다고 본 원심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선택발명의 신규성 판단에 관한 법리오해 및 판례위반 등의 잘못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보조참가로 인한 부분을 포함하여 패소자가 부담하게 하기로 관여 대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능환(재판장) 김영란(주심) 이홍훈 민일영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특허 분쟁, 신약의 신규성과 진보성은 어떻게 판단될까?

이 판례는 특정 화합물(R-트란스 헵탄산 및 R-트란스 카르복스아미드)과 그 용도(콜레스테롤 생합성 억제)가 이미 선행 발명에 개시되어 신규성이 없고, 해당 화합물의 염 형태 역시 선행 발명에서 예상 가능한 범위 내에 있어 진보성이 없다고 판단한 사례입니다.

#선택발명#신규성#진보성#특허

특허판례

선택발명의 신규성과 진보성: 어떤 발명이 특허받을 수 있을까?

이미 존재하는 발명에서 특정 범위만을 좁혀 새로운 발명으로 주장하는 '선택발명'은, 기존 발명에 선택발명의 내용이 명확하게 포함되어 있는지, 그리고 선택발명이 기존 발명보다 훨씬 뛰어난 효과를 가지는지 엄격하게 판단해야 한다.

#선택발명#신규성#진보성#명확성

특허판례

수치 범위로 한정된 발명, 신규성 인정받을 수 있을까? - 스퍼터링 타깃 발명 분쟁 사례 분석

이 판례는 새로운 발명이 기존 발명과 수치 범위에서만 차이가 있을 때, 신규성(새로움)을 어떻게 판단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단순히 숫자만 다르다고 해서 무조건 새로운 발명으로 인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수치 변경이 가져오는 기술적 의미와 효과를 고려해야 합니다.

#신규성#수치범위#기술적효과#스퍼터링 타깃

특허판례

선택발명의 진보성, 피부로 흡수되는 약?!

새로운 발명이 기존 발명과 비교하여 진보적인지 판단할 때, 새로운 발명이 기존 발명에서 예측할 수 없는 새로운 효과를 갖고 있다면 진보성이 인정될 수 있다. 이 판례에서는 피부를 통해 투여하는 약물의 경우, 기존 발명에 비해 피부 침투 효과가 뛰어나다는 새로운 효과만으로도 진보성을 인정하였다.

#특허#무효소송#진보성#선택발명

특허판례

선택발명, 그 진보성을 가르는 기준

이 판례는 '올란자핀'이라는 정신질환 치료제에 대한 특허권 침해 소송에서, 올란자핀이 기존 유사 화합물에 비해 부작용은 줄이고 효과는 유사하거나 더 좋다는 점을 인정하여 특허의 진보성을 인정한 사례입니다. 즉, 새로운 발명이 기존 발명보다 조금이라도 개선된 점이 있다면 특허로서 보호받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올란자핀#특허#선택발명#진보성

특허판례

특허의 신규성, 내재된 속성까지 공개해야 인정!

이미 공개된 발명(선행발명)에 숨겨진 특징이 나중에 특허를 받으려는 발명(특허발명)과 같더라도, 선행발명에서 그 특징이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았다면 특허를 받을 수 있다. 단, 선행발명의 제조방법을 통해 그 특징이 반드시 나타난다는 점이 증명되어야 한다.

#선행발명#특허발명#신규성#숨겨진 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