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상금등

사건번호:

2009다4947

선고일자:

2009051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자신이 전부 승소한 판결에 대하여 상고를 제기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2] 사해행위 후 기존의 근저당권이 변제에 의하여 말소된 경우, 채권자가 구하는 가액배상의 범위를 넘어 원물반환을 명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3] 근저당권이 설정되어 있는 부동산에 관하여 사해행위 후 변제에 의하여 근저당권설정등기가 말소되었음을 이유로 채권자가 사해행위의 일부 취소 및 가액반환을 청구하였으나 원심이 그 원상회복으로 부동산 자체의 반환을 명한 사안에서, 원심의 재판이 자신에게 이익이 되는 채권자가 그 변경을 구하는 상고를 제기하는 것은 부적법하다고 본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민사소송법 제422조 / [2] 민법 제406조 제1항 / [3] 민법 제406조 제1항, 민사소송법 제422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87. 5. 12. 선고 86다카1340 판결(공1987, 960), 대법원 2003. 7. 22. 선고 2001다76298 판결(공2003하, 1757)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신용보증기금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푸른 담당변호사 황진호외 4인) 【피고, 피상고인】 【원심판결】 부산고법 2008. 12. 3. 선고 2008나11795 판결 【주 문】 상고를 각하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직권으로 상고의 적법 여부를 본다. 상고는 자기에게 불이익한 재판에 대하여 자기에게 유리하도록 그 취소·변경을 구하는 것이므로 원심판결에서 당사자가 청구하지 아니한 부분에 대하여 그 지급을 명하였다 하더라도 이익이 되는 당사자로서는 그 변경을 구할 수 없고, 전부 승소한 원심판결에 대한 상고는 상고를 제기할 이익이 없어 허용될 수 없다( 대법원 1987. 5. 12. 선고 86다카1340 판결, 대법원 2003. 7. 22. 선고 2001다76298 판결 등 참조). 기록에 의하면, 원고는 근저당권이 설정되어 있는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하여 사해행위 후 변제에 의하여 근저당권설정등기가 말소되었음을 이유로 사해행위의 일부 취소 및 가액반환을 청구하였고, 원심은 원고가 구한 대로 사해행위의 취소 청구를 받아들이면서 그 원상회복으로 가액반환이 아니라 부동산 자체의 반환을 명하였으며, 이에 대하여 원고가 부동산 자체의 반환을 명한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하면서 상고를 제기하였음을 알 수 있다. 사해행위 후 기존의 근저당권이 변제에 의하여 말소된 이 사건에서 채권자의 사해행위의 취소 및 원상회복으로서의 가액배상청구가 정당한 이상,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채권자가 구하는 가액배상의 범위를 넘어 원물반환을 명하는 것은 허용될 수 없다. 그러나 결국 이러한 원심의 재판이 자신에게 이익이 되는 원고로서는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그 변경을 구할 수 없다 할 것이므로 원고의 상고는 상고의 이익이 없는 것으로서 부적법하다. 그러므로 상고를 각하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차한성(재판장) 김영란 이홍훈(주심) 김능환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사해행위 취소 후 원물반환이 어려워지면 어떡하죠? 가액배상 청구는 안될까요?

채권자가 사해행위를 취소하고 원물(원래 물건) 반환을 청구하여 승소 확정판결을 받았다면, 이후 원물반환이 불가능해지더라도 가액배상(돈으로 물건 값을 받는 것)을 다시 청구할 수 없다.

#사해행위#원물반환#가액배상#확정판결

상담사례

원물반환 판결 받았는데, 돈으로 받고 싶어요! 가능할까요?

사해행위취소소송에서 원물반환 판결 확정 후에는 상황 변화와 무관하게 가액배상으로 변경 불가능하며, 최초 선택 시 신중한 판단이 중요하다.

#사해행위취소소송#원상회복#원물반환#가액배상

민사판례

사해행위 취소 후 원상회복 방법 변경, 안될까요?

채권자가 사해행위 취소 소송에서 이겨서 상대방 명의의 등기를 말소하라는 판결을 받았는데, 그 후에 상황이 바뀌어 등기 말소가 어려워졌다고 해서 다시 소송을 걸어 돈으로 배상하라고 하거나 채무자에게 직접 소유권을 넘겨달라고 청구할 수는 없다는 내용입니다.

#사해행위취소#원상회복#가액배상#원물반환

상담사례

빚 때문에 재산 빼돌렸다면? 돌려받을 수 있을까? (사해행위 취소소송과 가액배상)

빚진 사람이 재산을 빼돌려 채권자가 돈을 받지 못할 경우, 사해행위 취소소송을 통해 빼돌린 재산을 돌려받거나, 그게 불가능하면 재산 가치만큼 가액배상을 청구할 수 있고, 이때 재산을 받은 사람의 고의나 과실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

#사해행위 취소소송#가액배상#원물반환#수익자

상담사례

빚쟁이가 재산 빼돌렸을 때?! 돌려받는 방법! (feat. 가액배상)

빚쟁이가 재산을 빼돌려 돈을 갚지 않을 경우, 사해행위 취소소송을 통해 원칙적으로 재산(원물)을 돌려받지만, 현실적으로 반환이 어려운 경우 가액배상을 청구하여 돈으로 돌려받을 수 있다.

##재산 빼돌리기#사해행위 취소소송#원물반환

민사판례

빚 때문에 골치 아픈 채권자, 내 돈 어떻게 받아낼까? - 사해행위 취소소송 이야기

빚 때문에 저당 잡힌 부동산을 다른 사람에게 증여(선물)하면 채권자(돈 받을 사람)가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채권자는 '채권자취소권'을 행사해서 증여를 무효로 하고 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이 판례는 저당권이 말소된 경우 채권자취소권의 범위와 돈을 돌려받는 방법, 그리고 이자 계산 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저당#부동산#증여#채권자취소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