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중총회결의무효확인

사건번호:

2009다70395

선고일자:

201002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법인 등 대표자의 직무대행자가 선임된 상태에서 적법하게 소집된 총회의 결의에 따라 피대행자의 후임자가 새로 선출된 경우, 총회에서 선임된 후임자가 대표권을 가지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가처분재판에 의하여 법인 등 대표자의 직무대행자가 선임된 상태에서 피대행자의 후임자가 적법하게 소집된 총회의 결의에 따라 새로 선출되었다 해도 그 직무대행자의 권한은 위 총회의 결의에 의하여 당연히 소멸하는 것은 아니므로 사정변경 등을 이유로 가처분결정이 취소되지 않는 한 직무대행자만이 적법하게 위 법인 등을 대표할 수 있고, 총회에서 선임된 후임자는 그 선임결의의 적법 여부에 관계없이 대표권을 가지지 못한다.

참조조문

민사집행법 제300조, 제307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2. 5. 12. 선고 92다5638 판결(공1992, 1850), 대법원 2004. 7. 22. 선고 2004다13694 판결

판례내용

【원고(준재심피고)】 원고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여산 담당변호사 권대열외 1인) 【피 고】 피고 종중 【피고보조참가인(준재심원고), 상고인】 참가인 (소송대리인 변호사 황우여외 2인) 【원심판결】 대전고법 2009. 8. 14. 선고 2009나1885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보조참가인(준재심원고)이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가처분재판에 의하여 법인 혹은 비법인사단 등의 대표자의 직무를 대행하는 자를 선임한 경우에 그 직무대행자는 단지 피대행자의 직무를 대행할 수 있는 임시의 지위에 놓여 있음에 불과하므로, 위 법인 등을 종전과 같이 그대로 유지하면서 관리하는 한도 내의 통상업무에 속하는 사무만을 행할 수 있을 뿐, 피대행자의 후임자 선출 등 위 법인 등의 근간인 임원진의 구성 자체를 변경하는 것은 가처분재판에 다른 정함이 있거나 법원의 허가를 받은 경우에 한해 허용이 된다 할 것이다(대법원 1995. 4. 14. 선고 94다12371 판결, 대법원 2000. 2. 11. 선고 99두2949 판결 등 참조). 그런데 위 법인 등의 대표자의 직무대행자의 권한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통상의 사무로 제한되더라도 그 법인 등의 총회 자체의 권한마저 통상의 사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적법한 절차에 따라 소집된 그 법인 등의 총회에서 피대행자의 해임 및 후임자의 선출 등의 결의는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것이고, 이와 같이 선임된 후임자의 권한은 직무대행자와 달리 통상의 사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대법원 2005. 1. 29.자 2004그113 결정 참조). 다만, 법인 등 대표자의 직무대행자가 선임된 상태에서 피대행자의 후임자가 적법하게 소집된 총회의 결의에 따라 새로 선출되었다 해도 그 직무대행자의 권한은 위 총회의 결의에 의하여 당연히 소멸하는 것은 아니므로 사정변경 등을 이유로 가처분결정이 취소되지 않는 한 직무대행자만이 적법하게 위 법인 등을 대표할 수 있고, 총회에서 선임된 후임자는 그 선임결의의 적법 여부에 관계없이 대표권을 가지지 못한다(대법원 1992. 5. 12. 선고 92다5638 판결, 대법원 2004. 7. 22. 선고 2004다13694 판결 등 참조). 원심은, 피고 종중이 피고보조참가인(준재심원고, 이하 ‘보조참가인’이라고 한다)을 임기 4년의 회장으로 선임한 2004. 9. 18.자 종중총회의 결의에 하자가 있음을 이유로 하는 원고(준재심피고, 이하 ‘원고’라고 한다)의 신청에 따라 2007. 5. 28. ‘원고와 피고 사이의 종중총회결의 무효확인청구의 본안판결 확정시까지 보조참가인의 직무집행을 정지하고, 그 기간 중 변호사 소외 1을 피고 종중의 회장 직무대행자로 선임하되 그 직무범위는 피고 종중의 회장 등 임원 선임을 위한 임시총회 소집 및 진행 행위로 제한한다’는 내용의 가처분결정이 내려진 사실, 위 가처분결정의 취지에 따라서 위 직무대행자가 소집한 2007. 7. 15.자 임시총회에서 새로 피고 종중의 회장으로 선임된 소외 2는 그 본안소송의 2008. 2. 19.자 변론준비기일에서 원고의 청구를 인낙한 사실 등을 그 채택 증거들을 기초로 인정한 다음, 직무대행자가 소집한 임시총회에서 회장으로 선임된 위 소외 2가 법원의 허가도 없이 본안소송에서 원고의 청구를 인낙한 것은 민사소송법 제451조 제1항 제3호에서 정한 대표권 흠결로 인한 준재심사유에 해당한다고 하는 보조참가인의 주장에 대하여, 소외 2는 피고 종중이 새로 선임한 회장이므로 그가 직무대행자에 불과함을 전제로 한 보조참가인의 주장은 이유 없다고 하여 이를 배척하였다. 그러나 앞서 본 법리에 의하면, 비록 소외 2가 피고 종중의 총회에서 적법하게 새로 선임된 회장으로 볼 수는 있다 하더라도 그에 앞서 직무대행자를 선임한 법원의 가처분결정이 취소되지 아니한 이상 소외 2에게는 피고 종중을 대표할 권한이 없다 할 것이고, 따라서 소외 2가 행한 본안소송의 청구인낙은 적법한 대표권 없는 자의 행위에 해당하여 민사소송법 제451조 제1항 제3호의 준재심사유에 해당한다 할 것임에도, 이와 다른 논거에서 보조참가인의 준재심청구가 이유 없다고 판단한 원심판결에는 직무집행정지 및 직무대행자선임가처분의 효력 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 그런데 직권으로 살피건대, 특정 소송사건에서 당사자 일방을 보조하기 위하여 보조참가를 하려면 당해 소송의 결과에 대해 이해관계가 있어야 할 것이고, 여기서 말하는 이해관계라고 함은 사실상·경제상 또는 감정상의 이해관계가 아니라 법률상의 이해관계를 말하는 것으로, 이는 당해 소송의 판결의 기판력이나 집행력을 당연히 받는 경우 혹은 적어도 그 판결을 전제로 보조참가를 하려는 자의 법률상 지위가 결정되는 관계에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할 것인바(대법원 2007. 4. 26. 선고 2005다19156 판결 등 참조), 피고 종중의 2004. 9. 18.자 총회에서 임기 4년의 회장으로 선임되었던 보조참가인은 이미 그 임기가 만료되었을 뿐만 아니라 앞서 본 바와 같이 직무대행자에 의하여 적법하게 소집된 2007. 7. 15.자 종중총회에서 소외 2는 그 후임 회장으로 선임된 이상, 보조참가인은 더 이상 이 사건 본안소송에 보조참가하여 준재심을 청구할 법률상의 이해관계가 없다 할 것이다. 그렇다면 보조참가인의 이 사건 보조참가신청을 각하한 제1심판결을 유지하고 항소를 기각한 원심판결은, 그 이유의 설시는 부적절하지만 그 결론은 정당하다. 원심판결에는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이유로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양창수(재판장) 양승태 김지형(주심) 전수안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직무대행자 vs 새로 선임된 대표, 누가 진짜 회사 대표일까?

법원이 회사 임원의 직무집행을 정지하고 직무대행자를 선임하는 가처분 결정을 내리기 *전에* 해당 임원이 퇴임하고 다른 사람이 그 자리에 취임하는 등기가 이루어졌더라도, 가처분 결정은 여전히 유효하며 직무대행자가 회사를 대표할 권한을 가진다.

#직무집행정지#가처분#임원변경#대표권

상담사례

대표 없을 때 대신하는 사람, 마음대로 할 수 있을까? - 직무대행자의 권한 범위

직무대행자는 회사의 일상적인 업무는 처리할 수 있지만, 회사의 중요한 결정이나 상무에 속하지 않는 행위(예: 상대편 변호사 보수 지급)는 할 수 없다.

#직무대행자#권한 범위#상무#일상적 업무

민사판례

단체 대표자 직무 정지 시 소송은 누가 진행하나요?

단체 대표자가 직무집행정지 가처분을 받으면, 그 단체와 관련된 소송에서 대표자가 아닌 직무대행자가 단체를 대표해야 한다.

#대표자 직무집행정지#소송대리권#직무대행자#무효확인소송

일반행정판례

직무대행자의 권한, 어디까지? - 학교법인 이사 선임 분쟁 사례

법원의 가처분 결정으로 선임된 학교법인 임시 이사(직무대행자)는 학교 운영에 필요한 일상적인 업무만 처리할 수 있고, 이사회 구성원을 변경하는 등 학교의 근본적인 사항을 바꿀 권한은 없습니다.

#임시이사#권한범위#일상업무#이사선임

상담사례

잠깐! 대표이사 바꿨는데 왜 직무대행이 아직도 회사 대표야? 🤔

대표이사 직무집행정지 가처분 후 새로운 대표이사가 선임되어도 가처분이 취소될 때까지 직무대행의 대표권이 유효하며, 새 대표이사의 법률행위는 무효다.

#대표이사 직무집행정지#직무대행#대표이사 선임#가처분 효력

민사판례

종중 대표자 직무대행자의 권한과 종회 소집의 효력

법원이 임명한 종중 대표 직무대행자는 통상적인 업무만 처리할 수 있고, 정관 변경이나 임원 선출과 같은 중요한 결정은 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적법한 절차를 거쳐 소집된 종중 총회에서는 직무대행자가 아니라도 이러한 중요한 결정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최고 어른인 연고항존자가 동의하면 다른 종중원이 종중 회의를 소집해도 유효합니다.

#종중#직무대행자#권한#총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