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금

사건번호:

2009다85717

선고일자:

201002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채권에 대한 압류 및 추심명령이 있는 경우 제3채무자에 대하여 피압류채권에 대한 이행의 소를 제기할 당사자적격이 있는 자(=추심채권자) 및 당사자적격에 관한 사항이 직권조사 사항인지 여부와 상고심에서의 주장·증명 가부(적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51조, 민사집행법 제229조 제2항

참조판례

대법원 2008. 9. 25. 선고 2007다60417 판결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롯데손해보험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소명 담당변호사 전재중) 【원심판결】 대전고법 2009. 9. 29. 선고 (청주)2008나727 판결 【주 문】 원심판결 중 피고 패소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대전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채권에 대한 압류 및 추심명령이 있으면 제3채무자에 대한 이행의 소는 추심채권자만이 제기할 수 있고 채무자는 피압류채권에 대한 이행소송을 제기할 당사자적격을 상실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당사자적격에 관한 사항은 소송요건에 관한 것으로서 사실심의 변론종결시를 기준으로 법원이 이를 직권으로 조사하여 판단하여야 하고, 비록 당사자가 사실심 변론종결시까지 이에 관하여 주장하지 아니하였다고 하더라도 상고심에서 새로이 이를 주장·증명할 수 있다( 대법원 2008. 9. 25. 선고 2007다60417 판결 등 참조). 2. 상고이유의 주장 및 기록에 의하면, 이 사건 청구는 원고가 피고를 상대로 일반화재보험계약으로 인한 보험금의 지급을 구하는 것인 사실, 그런데 원심 변론종결 전에 원고의 채권자들이 위 보험금 채권에 관하여 청주지방법원 제천지원 2008타채944호 및 같은 지원 2008타채1227호로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을 받아 그 무렵 각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이 제3채무자인 피고에게 송달된 사실을 알 수 있고, 이를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위 보험금 채권에 관한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이 피고에게 송달됨으로써 위 보험금 채권에 관한 이행의 소는 추심채권자만이 제기할 수 있게 되었으므로, 원고는 그 이행소송을 제기할 당사자적격을 상실하였다고 할 것이다. 그렇다면 원고가 피고에 대하여 위 보험금 채권에 관한 이행소송을 제기할 당사자적격이 있음을 전제로 하여 이루어진 원심판결은 그대로 유지될 수 없다. 3. 그러므로 나머지 상고이유에 관한 판단을 생략한 채 원심판결 중 피고 패소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양승태(재판장) 김지형 전수안(주심) 양창수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돈 받을 권리, 압류당하면 소송도 못하나요?

돈을 받을 권리(채권)가 압류되면, 원래 돈을 받을 사람(채무자)은 더 이상 그 돈을 받기 위한 소송을 할 수 없습니다. 소송은 압류한 사람(추심채권자)만 할 수 있습니다.

#채권압류#당사자적격#소송#추심채권자

민사판례

돈 받을 권리 압류당하면 소송도 못할까? - 채권압류와 당사자적격

돈을 빌려준 사람(채권자)이 돈을 빌린 사람(채무자)에게 받을 돈을 다른 사람에게 압류당한 경우, 채무자는 돈을 갚아야 할 사람(제3채무자)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이는 소송을 제기할 자격(당사자적격)이 없기 때문입니다. 법원은 당사자적격 유무를 직접 조사해야 하며, 상고심에서도 이를 다툴 수 있습니다.

#채권압류#당사자적격#추심채권자#소송

민사판례

보험금 압류 후 보험계약 해지, 가능할까? 해약환급금 추심은?

보험금 채권이 압류된 후에도 보험계약자나 보험회사는 보험계약을 해지할 수 있으며, 해지되면 보험금 채권은 소멸하고 압류도 효력을 잃습니다. 또한, 해약환급금 채권에 대한 추심명령을 받은 채권자는 보험계약자를 대신하여 보험계약을 해지하고 해약환급금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보험금 채권 압류#보험계약 해지#해약환급금#추심명령

민사판례

돈 받을 권리, 누가 행사할 수 있을까요?

다른 사람의 돈을 받을 권리(채권)가 압류된 경우, 원래 채권자는 소송을 할 수 없고 압류한 채권자만 소송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당사자적격(소송을 제기할 자격)은 법원이 직접 확인해야 할 중요한 사항이며, 상고심에서도 이를 다툴 수 있습니다.

#압류채권#소송#당사자적격#추심권

민사판례

돈 받을 권리 압류당하면 소송도 못한다?!

돈을 받아야 할 채권이 압류되면, 원래 돈을 받을 사람(채무자)은 더 이상 그 돈을 받기 위한 소송을 할 수 없습니다. 소송은 압류한 사람(추심채권자)만 할 수 있습니다.

#채권압류#당사자적격#소송#추심채권자

민사판례

보험 해약환급금, 압류당하면 어떻게 될까?

돈을 빌려준 사람(채권자)이 빌린 사람(채무자)의 보험 해약환급금을 압류했을 경우, 채권자가 직접 보험을 해지하고 돈을 받을 수 있다. 소송을 통해 돈을 돌려받으려 할 때, 소장이 보험사에 전달된 시점에 보험 해지 효력이 발생한다.

#보험 해약환급금#채권 추심#채권자 해지권#추심명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