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전자기록등불실기재·불실기재공전자기록등행사·업무방해·주택법위반

사건번호:

2009도10477

선고일자:

201005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구 주택법 제41조의2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주택의 입주자로 선정된 지위를 전매한 자’에 그러한 지위를 매수한 매수인도 포함되는지 여부(소극) [2] 투기과열지구 내 아파트 분양권을 취득 후 5년을 경과하기 전에 매수받아 이를 전매하였다는 공소사실에 대하여, 구 주택법 제41조의2 제1항의 ‘입주자로 선정된 지위를 전매한 자’에 그러한 지위를 매수한 매수인은 해당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이를 무죄로 인정한 원심판단을 수긍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구 주택건설촉진법(1999. 2. 8. 법률 제591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8조의3 제1항(1999. 2. 8. 법률 제5908호로 삭제, 현행 주택법 제41조의2 제1항 참조), 제47조 제1항(현행 주택법 제39조 제1항 참조), 제51조 제4호의2(현행 주택법 제96조 제2호 참조), 구 주택법(2009. 2. 3. 법률 제940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9조 제1항, 제41조의2 제1항, 제96조 제2호 / [2] 구 주택건설촉진법(1999. 2. 8. 법률 제591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8조의3 제1항(1999. 2. 8. 법률 제5908호로 삭제, 현행 주택법 제41조의2 제1항 참조), 제47조 제1항(현행 주택법 제39조 제1항 참조), 제51조 제4호의2(현행 주택법 제96조 제2호 참조), 구 주택법(2009. 2. 3. 법률 제940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9조 제1항, 제41조의2 제1항, 제96조 제2호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2 및 검사 【원심판결】 인천지법 2009. 9. 17. 선고 2009노1767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살펴본다. 1. 피고인 2에 관하여 피고인 2는 법정기간 내에 상고이유서를 제출하지 아니하였고, 상고장에 상고이유를 기재하지도 아니하였으므로 형사소송법 제380조에 의하여 결정으로 상고를 기각할 것이나, 검사의 상고와 일괄하여 판결로 상고를 기각한다. 2. 검사의 상고이유에 관하여 구 주택건설촉진법(1999. 2. 8. 법률 제590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8조의3(주택의 전매행위 등의 제한) 제1항에서는 주택의 입주자로 선정된 지위 등의 ‘전매행위’를 금지하고, 제47조(공급질서교란금지) 제1항에서는 조합주택을 공급받을 수 있는 지위 등의 ‘양도행위’를 금지한다고 각 규정하였고, 1999. 2. 8. 법률 제5908호로 개정되면서 구 주택건설촉진법 제38조의3(주택의 전매행위 등의 제한) 규정이 삭제되었고, 2003. 5. 29. 법률 제6919호로 전부 개정된 주택법 제39조(공급질서교란금지) 제1항에서는 조합주택을 공급받을 수 있는 지위 등의 ‘양도 또는 양수행위’를 금지한다고 규정하고, 2005. 1. 8. 법률 제7334호로 개정되면서 신설된 주택법 제41조의2(주택의 전매행위 제한 등) 제1항에서는 주택의 입주자로 선정된 지위 등의 ‘전매행위’를 금지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위와 같은 개정 경위, 규정 형식의 차이, 해당 규정의 입법취지 및 형벌법규의 엄격해석 원칙 등에 비추어 보면, 주택법 제41조의2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입주자로 선정된 지위를 전매한 자라고 함은 그러한 지위를 전매한 매도인만을 의미하고 그러한 지위를 매수한 매수인은 해당하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같은 이유로 피고인 1, 3, 4에 대한 이 사건 각 공소사실에 대하여 무죄를 선고한 제1심판결을 그대로 유지한 원심판결에는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주택법 제41조의2 제1항의 전매행위의 해석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잘못이 없다. 3. 결론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홍훈(재판장) 김영란 김능환 민일영(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아파트 분양권 전전매매, 함정에 빠지지 마세요!

아파트 분양권을 여러 번 되팔았을 때, 최초 판매자와 첫 번째 구매자가 계약을 해제하면 마지막 구매자는 보호받지 못한다. 단순히 관련 서류를 가지고 있다고 해서 완전한 권리를 가진 것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분양권 전매#계약해제#최초계약#마지막 구매자 보호 불인정

형사판례

아파트 분양권 팔았는데 배임죄라고요? 😮

아파트 분양권을 판 사람이 계약을 어기고 다른 사람에게 다시 분양권이나 아파트를 팔아도 배임죄로 처벌할 수 없다.

#분양권#배임죄#무죄#타인의사무

민사판례

아파트 분양권 전매, 주의해야 할 함정!

뉴타운 개발로 아파트 분양권을 받을 예정인 사람(갑)이 분양권 확정 전에 을에게, 을이 다시 병에게 분양권을 팔았는데, 갑이 분양권을 받지 못하게 되어 병이 을에게 계약 해제를 요구한 사건입니다. 법원은 을에게 책임이 있다고 판단하여 병의 계약 해제를 인정했습니다.

#뉴타운#분양권 전매#계약 해제#이행불능

형사판례

국민주택 전매 금지 기간과 입주권의 법적 지위에 대한 판결 해설

국민주택의 전매 금지 기간은 입주 개시일로부터 6개월이며, 그 이전이나 이후의 전매는 처벌 대상이 아닙니다. 또한, 단순히 분양 신청 자격을 의미하는 '입주권'은 중개 대상물인 '건물'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국민주택#전매 금지#입주 개시일 6개월#입주권

형사판례

부정한 방법 없이 얻은 주택, 전매/전대해도 처벌될까?

부정한 방법으로 분양받지 않은 주택을 전매(팔거나 양도) 또는 전대(재임대)하는 것은 주택건설촉진법 위반으로 처벌할 수 없다.

#주택건설촉진법#전매#전대#적법분양

민사판례

아파트 분양권 매매, 명의변경 안 되면 어떻게 될까?

아파트 분양권을 팔았는데 매수인 앞으로 명의 변경이 안 되는 상황에서 매도인이 먼저 소유권을 가져가 버렸다면, 매도인은 매수인에게 소유권을 넘겨줘야 합니다. 또한, 명의 변경이 불가능한 상황이라면 매수인은 잔금을 내지 않아도 되고, 매도인은 잔금 미납을 이유로 계약을 파기할 수 없습니다.

#분양권#매매#소유권이전#명의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