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단이탈

사건번호:

2009도12930

선고일자:

201003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형법 제1조 제2항의 적용범위 [2] 법정형으로 징역형과 금고형만 규정되어 있던 구 군형법 제79조(무단이탈)가 원심판결 선고 후 개정되어 벌금형이 추가된 경우, ‘범죄 후 법률의 변경에 의하여 형이 구법보다 경한 때’에 해당한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1] 형벌법령 제정의 이유가 된 법률이념의 변천에 따라 과거에 범죄로 보던 행위에 대하여 그 평가가 달라져 이를 범죄로 인정하고 처벌한 그 자체가 부당하였다거나 또는 과형이 과중하였다는 반성적 고려에서 법령을 개폐하였을 경우에는, 형법 제1조 제2항에 따라 신법을 적용하여야 한다. [2] 구 군형법(2009. 11. 2. 법률 제982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79조는 “허가 없이 근무장소 또는 지정장소를 일시이탈하거나 지정한 시간 내에 지정한 장소에 도달하지 못한 자는 1년 이하의 징역이나 금고에 처한다”고 규정하였으나, 원심판결 선고 후 시행된 군형법 제79조는 “허가 없이 근무장소 또는 지정장소를 일시적으로 이탈하거나 지정한 시간까지 지정한 장소에 도달하지 못한 사람은 1년 이하의 징역이나 금고 또는 3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규정하여 벌금형이 법정형으로 추가되었는바, 그 취지는 무단이탈의 형태와 동기가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죄질이 경미한 무단이탈에 대하여도 반드시 징역형 내지 금고형으로 처벌하도록 한 종전의 조치가 과중하다는 데에서 나온 반성적 조치라고 보아야 할 것이어서, 이는 형법 제1조 제2항의 ‘범죄 후 법률의 변경에 의하여 형이 구법보다 경한 때’에 해당한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형법 제1조 제2항 / [2] 형법 제1조 제2항, 구 군형법(2009. 11. 2. 법률 제982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79조, 군형법 제79조

참조판례

[1] 대법원 2003. 10. 10. 선고 2003도2770 판결(공2003하, 2211), 대법원 2005. 12. 23. 선고 2005도747 판결(공2006상, 205)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김상원 【원심판결】 고등군사법원 2009. 11. 6. 선고 2009노96 판결 【주 문】 원심판결 중 유죄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고등군사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피고인 및 국선변호인의 상고이유를 함께 살펴본다. 형벌법령 제정의 이유가 된 법률이념의 변천에 따라 과거에 범죄로 보던 행위에 대하여 그 평가가 달라져 이를 범죄로 인정하고 처벌한 그 자체가 부당하였다거나 또는 과형이 과중하였다는 반성적 고려에서 법령을 개폐하였을 경우에는 형법 제1조 제2항에 따라 신법을 적용하여야 한다 ( 대법원 2003. 10. 10. 선고 2003도2770 판결 등 참조).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피고인이 2007. 1. 22.부터 2008. 11. 5.까지 사이에 35회에 걸쳐서 지휘관의 허가 없이 근무장소를 일시이탈한 공소사실에 대하여 구 군형법(2009. 11. 2. 법률 제9820호로 개정되어 2010. 2. 3.부터 시행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제79조를 적용하여 유죄로 판단하였다. 그런데 구 군형법 제79조는 “허가 없이 근무장소 또는 지정장소를 일시이탈하거나 지정한 시간 내에 지정한 장소에 도달하지 못한 자는 1년 이하의 징역이나 금고에 처한다”고 규정하였으나, 원심판결 선고 후 시행된 군형법(2009. 11. 2. 법률 제9820호로 개정되어 2010. 2. 3.부터 시행된 것) 제79조는 “허가 없이 근무장소 또는 지정장소를 일시적으로 이탈하거나 지정한 시간까지 지정한 장소에 도달하지 못한 사람은 1년 이하의 징역이나 금고 또는 3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규정하여 벌금형이 법정형으로 추가되었는바, 그 취지는 무단이탈의 형태와 동기가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죄질이 경미한 무단이탈에 대하여도 반드시 징역형 내지 금고형으로 처벌하도록 한 종전의 조치가 과중하다는 데에서 나온 반성적 조치라고 보아야 할 것이어서, 이는 형법 제1조 제2항의 ‘범죄 후 법률의 변경에 의하여 형이 구법보다 경한 때’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다. 그렇다면 피고인의 판시행위는 행위시법인 구 군형법의 규정에 의해서는 처벌할 수 없고, 형사소송법 제383조 제2호의 ‘판결 후 형의 변경이 있는 때’에 해당하여 원심판결은 유지될 수 없게 되었다. 그러므로 나머지 상고이유에 관한 판단을 생략한 채 원심판결 중 유죄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홍훈(재판장) 김영란 김능환 민일영(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절도죄 누범에 대한 가중처벌, 법 개정으로 형량 줄어들어

절도죄로 여러 번 처벌받은 사람(누범)을 가중처벌하는 법이 너무 과하다고 판단되어 법이 개정되었는데, 이 개정된 법은 과거 범죄에도 적용된다는 판례입니다.

#절도#누범#가중처벌#법 개정

형사판례

징역만 가능했던 강요죄, 이젠 벌금형도 가능해진 이유

폭력이나 협박으로 다른 사람에게 의무 없는 일을 하게 하는 강요죄에 대해 과거에는 징역형만 가능했지만, 법이 개정되어 벌금형도 가능해졌습니다. 이러한 법 개정은 이전 처벌이 과중했음을 인정하고 개선하기 위한 것이므로, 범죄 이후 법이 바뀌어 형벌이 가벼워진 경우에 해당하여 새로운 법(신법)이 적용됩니다.

#강요죄#신법적용#벌금형#형법개정

형사판례

군무이탈과 군용물 강취, 그 책임은 어디까지?

군인이 허가 없이 부대를 이탈하고, 다른 군인을 협박하여 총기를 빼앗은 사건에서, 대법원은 군무이탈죄와 군용물특수강도죄를 인정했습니다.

#군무이탈#군용물특수강도#대법원#상고기각

형사판례

위험한 물건 휴대 상해, 법 개정으로 감형될 수 있을까?

흉기 등 위험한 물건을 휴대하여 상해죄를 저지른 경우 가중처벌하던 이전 법률이 과중하다는 판단으로 법이 개정되었고, 이에 따라 새 법률이 적용되어 형벌이 줄어들었다.

#흉기 휴대 상해#법 개정#형벌 감경#특수상해

형사판례

형벌 완화, 그런데 옛날 법 적용? 괜찮을까?

법을 개정하여 형벌을 가볍게 하더라도, 부칙(법률의 보충 규정)을 통해 개정 전 범죄에는 이전의 무거운 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는 헌법에 어긋나지 않는다.

#형벌 감경#부칙#소급적용#합헌

형사판례

재심, 형벌 변경, 그리고 불이익변경금지원칙

여러 죄를 저질러 하나의 형을 받은 확정판결에서 일부 죄에 대해서만 재심 사유가 있는 경우, 재심은 그 부분만 심리하고 나머지 부분은 원래 형량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폭력행위처벌법 개정으로 형벌이 줄어든 경우에는 새로운 법을 적용해야 하며, 재심에서 집행유예를 실형으로 바꾸는 것은 불이익변경금지원칙에 위배된다.

#재심#부분심리#폭력행위처벌법#형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