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고용부담금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2009두21055

선고일자:

2010040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제28조 제1항 등에서 정한 장애인의무고용 및 부담금을 정하는 기준이 되는 ‘근로자의 총수’에 국내 법인이 해외사무소의 직원으로 채용한 현지 외국인 근로자가 포함되는지 여부(원칙적 소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제28조 제1항, 제3항, 제33조 제1항, 제2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주식회사 대한항공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광장 담당변호사 유경희외 2인) 【피고, 상고인】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9. 10. 22. 선고 2009누8351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이하 ‘장애인고용촉진법’이라고 한다)은 제28조 제1항에서 상시 50명 이상의 근로자를 고용하는 사업주는 그 근로자의 총수의 100분의 5의 범위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비율(이하 ‘의무고용률’이라고 한다) 이상에 해당하는 장애인을 고용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제3항에서 의무고용률은 전체 인구 중 장애인의 비율, 전체 근로자 총수에 대한 장애인 근로자의 비율, 장애인 실업자 수 등을 고려하여 5년마다 정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제33조 제1항에서 의무고용률에 못 미치는 장애인을 고용하는 사업주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매년 노동부장관에게 장애인 고용부담금(이하 ‘부담금’이라고 한다)을 납부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제2항에서 부담금은 사업주가 의무고용률에 따라 고용하여야 할 장애인 총수에서 매월 상시 고용하고 있는 장애인 수를 뺀 수에 제3항에 따른 부담기초액을 곱한 금액의 연간 합계액으로 한다고 규정함으로써 일정한 사업주에게 장애인고용의무와 부담금납부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이러한 장애인고용의무제도는 대한민국 헌법 제32조 제1항, 제34조 제1항, 제2항, 제5항에 근거하여 장애인인 국민의 사회적 기본권을 보장하기 위하여 계약자유의 원칙과 기업의 경제상 자유를 제한하는 제도인데, 외국인은 원칙적으로 대한민국 헌법에 따른 사회적 기본권을 누릴 수 없거나 제한적으로 밖에 누리지 못하는 점, 국내 법인이 해외의 현지에서 채용한 외국인 근로자는 국내 노동관계법의 적용을 받는 근로자가 아니므로 장애인고용촉진법의 적용대상이 되지 않는 점, 장애인고용촉진법 제28조 제3항의 의무고용률을 정하는 기준이 되는 ‘전체 인구’, ‘장애인’, ‘전체 근로자’, ‘장애인 근로자’, ‘장애인 실업자’ 등의 수는 모두 대한민국 국민을 기준으로 산정하는 점 등 여러 사정과 관련 법 규정을 종합해보면, 국내 법인인 원고가 해외 사무소의 직원으로 채용한 현지 외국인 근로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장애인의무고용 및 부담금을 정하는 기준이 되는 ‘근로자의 총수’에는 포함되지 않는다고 해석함이 상당하다. 원심이 같은 취지에서 제1심판결을 인용하여 위 현지 외국인 근로자를 포함한 근로자 총수를 기초로 산정한 부담금을 부과한 피고의 이 사건 처분을 위법하다고 판단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는 것으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차한성(재판장) 박시환(주심) 안대희 신영철

유사한 콘텐츠

생활법률

장애인 고용, 우리 회사도 해당될까? 핵심만 쏙쏙 정리!

상시 50인 이상 민간기업, 국가·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은 장애인 의무고용률(2024년 기준 3.1~3.8%)을 준수해야 하며, 건설업은 공사실적액 98억 6300만원 이상 시 의무고용 대상이고, 매년 1월 31일까지 고용계획 및 실시상황을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 보고해야 한다.

#장애인 의무고용#의무고용률#대상 사업주#공공기관

형사판례

외국인 불법고용, 회사 대표의 책임은 어디까지?

회사 직원이 불법체류 외국인을 고용했을 때, 대표이사가 단순히 그 사실을 알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는 것만으로는 처벌할 수 없다. 대표이사가 직접 고용에 관여했거나, 고의적으로 눈감아준 정황 등이 있어야 처벌이 가능하다.

#불법체류 외국인 고용#대표이사 책임#죄형법정주의#출입국관리법

일반행정판례

건설업 장애인 고용, 공사 실적액 기준도 문제없다!

건설업의 경우 근로자 수 대신 공사실적액을 기준으로 장애인 고용의무를 부과하는 것은 법에 어긋나지 않는다.

#건설업#장애인 고용의무#공사실적액#적법

생활법률

외국인 근로자 고용, 이것만은 꼭 알아두세요! (사용자 준수사항)

외국인 근로자 고용 시 불법고용 금지, 비자별(H-2, E-9) 필수 사항 준수, 사업주 교육 이수, 건강진단 실시, 임금 정산, 고용센터 협조 등 관련 법규를 준수해야 불이익을 피할 수 있다.

#외국인근로자#고용#불법체류#H-2비자

상담사례

외국인 회사도 근로기준법 적용될까요? 🧐

한국에서 사업하는 외국인 회사도 상시 5인 이상 근로자를 고용하면 근로기준법 적용을 받는다.

#외국인 회사#근로기준법 적용#상시 5인 이상#속지주의

형사판례

불법체류 외국인 파견근로자, 사용사업주 처벌될까?

취업비자 없는 외국인을 파견업체 통해 고용한 경우, 파견받은 회사 사장은 출입국관리법 위반으로 처벌되지 않는다. '고용'은 직접 노무 제공을 받고 보수를 지급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불법체류 외국인#파견근로#고용#출입국관리법 위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