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강도)·강도강간·강도상해

사건번호:

2010도1099

선고일자:

2010042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강도가 피해자에게 상해를 입혔으나 재물의 강취에는 이르지 못하고 그 자리에서 항거불능 상태에 빠진 피해자를 간음한 경우의 죄명 및 그 실행행위의 일부인 강도미수 행위가 별개의 범죄를 구성하는지 여부(소극) [2] 구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5조의4 제3항의 강도 등 상습범 가중처벌 규정의 적용 범위

판결요지

참조조문

[1] 형법 제37조, 제40조, 제333조, 제337조, 제339조, 제342조 / [2] 구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2010. 3. 31. 법률 제1021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조의4 제3항

참조판례

[1] 대법원 1988. 6. 28. 선고 88도820 판결(공1988, 1169)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및 검사 【변 호 인】 변호사 임태호 【원심판결】 광주고법 2010. 1. 5. 선고 2009노376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피고인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원심이 피고인의 검찰에서의 자백 진술이 임의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이를 증거로 채택하고, 그 진술과 원심이 인용한 제1심판결의 채택 증거들을 종합하여 이 사건 공소사실 중 강도상해 및 강도강간의 점을 유죄로 인정한 조치는 정당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자백의 임의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였다거나 중대한 사실을 오인한 위법이 없다. 2. 검사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강도가 피해자에게 상해를 입혔으나 재물의 강취에는 이르지 못하고 그 자리에서 항거불능 상태에 빠진 피해자를 간음한 경우에는 강도상해죄와 강도강간죄만 성립하고( 대법원 1988. 6. 28. 선고 88도820 판결), 그 실행행위의 일부인 강도미수 행위는 위 각 죄에 흡수되어 별개의 범죄를 구성하지 않는다. 또한,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은 제5조의4 제3항에서 강도, 특수강도, 인질강도, 해상강도의 각 죄에 관해서만 상습범 가중처벌을 규정하고 있는 이상 이에 해당하지 않는 강도상해죄와 강도강간죄가 유죄로 인정된다 하여 위 상습범으로 가중처벌할 수는 없고, 별개의 독립한 범죄로 처벌하는 위 각 죄의 일부로서 그에 흡수된 강도미수 행위만을 따로 떼어 강도 등의 상습범에 관한 위 가중처벌 규정을 적용할 수도 없다. 원심이 같은 취지에서 이 사건 강도미수 행위는 강도상해죄에 흡수되어 별개의 범죄를 구성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이 사건 공소사실 중 구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강도)의 점에 대하여 무죄라고 판단한 조치는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상습강도와 강도상해의 관계에 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없다. 3. 결론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신영철(재판장) 안대희 차한성(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강간하려다 미수에 그치고 상해를 입힌 경우, 특별법 적용은?

강간을 하려다 미수에 그치고 상해를 입힌 경우, 성폭력특별법상 '강간죄를 범한 자가 상해를 입힌 경우'에 대한 가중처벌 규정을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대법원은 강간죄가 *기수*에 이르지 않았으므로 가중처벌 규정을 적용할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강간미수#상해#특가법#가중처벌

형사판례

강도 후 강간, 강도강간죄 하나로 처벌

여러 명이 강도를 모의하고 실행한 후 그 자리에서 강간까지 저지른 경우 강도강간죄가 성립하며, 범행 후 자수했더라도 이는 판결 이유에 기재될 사항은 아니다.

#강도강간죄#자수#감형#판결이유

형사판례

절도하다 들켰는데, 이게 강도상해가 된다고?

절도를 시도하다가 미수에 그쳤더라도, 그 과정에서 폭력을 행사하여 상해를 입히면 강도상해죄로 처벌받을 수 있다.

#절도미수#폭행#상해#강도상해죄

형사판례

준강도 후 강제추행, 특수강도강제추행에 해당할까?

흉기 등을 사용하여 폭행·협박하고 추행하는 '특수강도강제추행죄'는 흉기 등을 사용하여 강도(또는 강도미수)를 저지른 사람이 저지르는 범죄이지, 폭행·협박으로 재물을 빼앗는 준강도(또는 준강도미수)를 저지른 사람이 저지르는 범죄는 아니다.

#준강도#특수강도강제추행죄#강제추행#무죄

형사판례

훔치려다 미수에 그친 경우, 상습 강도범으로 더 엄하게 처벌할 수 있을까?

과거에 절도 전과가 여러 번 있고 강도 전과가 한 번 있는 사람이 다시 특수강도를 저지르려다 미수에 그쳤을 때, 이 사람을 상습적인 강도범으로 보고 더 무겁게 처벌할 수는 없다는 판결입니다. 상습범으로 처벌하려면 강도 습관이 있는 것이 증명되어야 하는데, 이 경우에는 그렇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상습특수강도#처벌#상습범#강도 전과 1회

형사판례

강도 현장에서의 상해, 언제나 강도상해죄?

강도가 범행 현장에서 피해자를 다치게 하면, 그 이유가 재물을 빼앗기 위해서가 아니더라도 강도상해죄로 처벌받는다.

#강도상해죄#상해#목적 불문#현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