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속살해

사건번호:

2010도14512

선고일자:

2011021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충동조절장애와 같은 성격적 결함으로 인한 범행을 심신장애로 인한 범행으로 볼 수 있는지 여부(한정 적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형법 제10조

참조판례

대법원 2002. 5. 24. 선고 2002도1541 판결(공2002하, 1598), 대법원 2009. 2. 26. 선고 2008도9867 판결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강석원 【원심판결】 광주고법 2010. 10. 14. 선고 2010노293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심신장애 주장에 대하여 자신의 충동을 억제하지 못하여 범죄를 저지르게 되는 현상은 정상인에게서도 얼마든지 찾아볼 수 있는 일로서, 특단의 사정이 없는 한 위와 같은 성격적 결함을 가진 자에 대하여 자신의 충동을 억제하고 법을 준수하도록 요구하는 것이 기대할 수 없는 행위를 요구하는 것이라고는 할 수 없으므로, 원칙적으로 충동조절장애와 같은 성격적 결함은 형의 감면사유인 심신장애에 해당하지 아니한다고 봄이 타당하다. 다만 충동조절장애와 같은 성격적 결함이라 할지라도 그것이 매우 심각하여 원래의 의미의 정신병을 가진 사람과 동등하다고 평가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로 인한 범행은 심신장애로 인한 범행으로 보아야 한다( 대법원 2002. 5. 24. 선고 2002도1541 판결, 대법원 2009. 2. 26. 선고 2008도9867 판결 등 참조). 원심판결 이유 및 원심이 유지한 제1심이 적법하게 채택한 증거들에 비추어 보면, 원심이 그 판시와 같은 이유를 들어, 피고인이 이 사건 범행 당시 사물을 변별할 능력이나 의사를 결정할 능력이 미약한 상태에 있었다고 보이지 않는다고 판단한 조치는 정당하다.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심신장애에 관한 법리오해, 논리와 경험의 법칙에 위배하고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 사실을 인정하였거나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아니한 위법 등이 없다. 2. 양형부당 주장에 대하여 피고인의 나이, 성행, 환경, 가족관계, 범행의 동기, 수단과 경과, 범행 후의 정황 등 양형의 조건이 되는 여러 사정들을 살펴보면, 원심이 피고인에게 징역 20년의 형을 선고한 제1심판결을 그대로 유지한 것이 심히 부당하다고 할 수 없다. 3. 결론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민일영(재판장) 이홍훈(주심) 김능환 이인복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충동조절장애, 심신미약으로 인정될 수 있을까?

심한 충동조절장애는 심신미약으로 인정될 수 있을까? 이 판례는 매우 심각한 충동조절장애는 심신미약으로 고려될 수 있으며, 법원은 이를 판단하기 위해 충분한 정신감정 등 필요한 심리를 진행해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충동조절장애#심신미약#정신감정#형법 제10조

형사판례

충동조절장애와 절도죄, 심신미약 감경은 될까?

단순히 충동조절장애가 있다고 해서 무조건 심신미약으로 인정되어 형이 감경되는 것은 아니다. 충동조절장애가 매우 심각하여 정신병 수준이거나 다른 심신장애와 함께 있는 경우에만 심신미약 감경을 고려할 수 있다.

#충동조절장애#심신미약#감경#형법 제10조

형사판례

정신질환과 심신미약, 어떻게 판단할까요?

단순히 정신적 장애가 있다고 해서 심신미약이 인정되는 것은 아니며, 범행 당시 사물변별능력과 행위통제능력이 얼마나 감소되었는지가 중요하다. 법원은 전문가 감정 없이도 여러 정황 증거를 통해 심신미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심신미약#정신장애#사물변별능력#행위통제능력

형사판례

정신질환과 심신미약, 그 미묘한 경계

정신분열증과 같은 정신질환을 가진 사람이 범행 당시 겉으로는 정상처럼 보여도, 정신질환 때문에 범행 충동을 억제하지 못했다면 심신미약으로 볼 수 있다는 판례입니다.

#정신분열증#심신미약#범행 충동 억제#형 감경

형사판례

심신미약 주장, 판결에서 꼭 다뤄야 할까요? - 판단유탈에 대한 대법원 판결 이야기

피고인이 충동조절장애로 인한 심신미약 상태에서 범행을 저질렀다고 주장했는데, 법원이 이 주장에 대해 판단하지 않은 것은 잘못이라는 판결입니다.

#충동조절장애#심신미약#판단누락#위법

형사판례

정신질환 있으면 무죄? 심신장애 감형, 어떤 기준으로 판단할까?

범죄를 저지른 사람이 심신미약이나 심신상실 상태였다고 주장하더라도, 법원은 정신감정 결과에만 의존하지 않고 범행 당시의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한다.

#심신미약#심신상실#정신감정#종합적 판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