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인세 부과 처분 취소

사건번호:

2010두3763

선고일자:

201201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수익사업을 영위하지 않는 비영리내국법인인 甲 재단법인이 토지를 양도한 후 같은 사업연도 내에 수익사업인 부동산임대업을 개시한 사안에서, 甲 법인이 토지 양도로 얻은 양도소득에 대하여 과세특례조항인 구 법인세법 제62조의2를 적용할 수 있다고 본 원심판단은 정당하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수익사업을 영위하지 않는 비영리내국법인인 甲 재단법인이 토지를 양도한 후 같은 사업연도 내에 수익사업인 부동산임대업을 개시한 사안에서, 구 법인세법(2006. 12. 30. 법률 제814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제62조의2의 문언 체계 및 수익사업을 영위하지 않는 비영리법인은 영리를 추구하는 법인이 아닌 점을 고려하여 자산양도소득에 대한 법인세 부담이 양도소득세보다 과중하여지지 않도록 하려는 입법 취지 등에 비추어, 甲 법인이 수익사업을 영위하지 않던 기간에 토지를 양도하여 양도소득이 발생했으므로, 그 후 같은 사업연도 내에 수익사업을 영위했더라도 양도소득에 대하여 과세특례조항인 구 법인세법 제62조의2를 적용할 수 있다고 본 원심판단은 정당하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구 법인세법(2006. 12. 30. 법률 제814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조 제2항 제1호(현행 제3조 제3항 제1호 참조), 제62조의2 제1항, 제2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재단법인 대유원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랜드마크 담당변호사 최성훈) 【피고, 상고인】 강서세무서장 【원심판결】 서울고법 2010. 1. 21. 선고 2009누18396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 유】구 법인세법(2006. 12. 30. 법률 제814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법인세법’이라 한다) 제62조의2 제1항은 비영리내국법인( 법인세법 제3조 제2항 제1호에서 규정하는 수익사업을 영위하는 비영리내국법인을 제외한다)은 토지 또는 건물의 양도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득(이하 ‘자산양도소득’이라 한다)이 있는 경우에는 제60조(과세표준 등의 신고) 제1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과세표준의 신고를 하지 아니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같은 조 제2항은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과세표준의 신고를 하지 아니한 자산양도소득에 대하여는 소득세법 제92조(양도소득과세표준의 계산)의 규정을 준용하여 계산한 과세표준에 같은 법 제104조(양도소득세의 세율) 제1항 각 호의 세율을 적용하여 계산한 금액을 법인세로 납부하여야 한다고 정하고 있다(이하 ‘이 사건 과세특례조항’이라 한다). 그리고 법인세법 제3조 제2항 제1호는 제조업, 건설업, 부동산임대업 등의 수익사업(이하 ‘수익사업’이라 한다)을 열거하고 있다. 원심은 그 채용 증거를 종합하여, 수익사업을 영위하지 않는 비영리내국법인인 원고가 2003. 9.경 이 사건 토지를 양도한 후 같은 사업연도 내인 2003. 12.경 수익사업인 부동산임대업을 개시한 사실 등을 인정한 다음, 법인세법 제62조의2 제1항 소정의 ‘수익사업을 영위하는 비영리내국법인’은 위 규정의 문언 체계상 ‘양도소득이 발생할 당시 수익사업을 영위하는 비영리내국법인’이라고 새기는 것이 자연스러운 점, 이 사건 과세특례조항이 적용되면 법인세법 제62조의2 제7항에 따라 자산양도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2개월 이내에 양도소득과세표준 예정신고 및 자진납부를 하여야 하므로 자산양도시점을 기준으로 이 사건 과세특례조항의 적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어야 하는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볼 때, 원고가 수익사업을 영위하지 아니하던 기간에 이 사건 토지의 양도로 인한 양도소득이 발생하였으므로 그 후 같은 사업연도 내에 수익사업을 영위하였더라도 위 양도소득에 대하여 이 사건 과세특례조항을 적용할 수 있다고 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앞서 본 규정의 문언 및 수익사업을 영위하지 않는 비영리법인은 영리를 추구하는 법인이 아닌 점을 고려하여 자산양도소득에 대한 법인세 부담이 양도소득세보다 과중하여지지 않도록 하려는 이 사건 과세특례조항의 입법 취지 등에 비추어 볼 때,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법인세법 제62조의2의 해석·적용에 관한 법리 등을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보영(재판장) 박일환 신영철(주심) 민일영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비영리법인의 토지 양도, 세금 감면 한도는 어떻게 될까요?

비영리법인이 공익사업을 위해 토지를 양도할 때, 특별부가세 감면 혜택을 받더라도 감면 한도는 개인의 양도소득세 감면 한도가 아닌 법인의 특별부가세 감면 한도를 적용해야 한다.

#비영리법인#토지 양도#특별부가세#감면 한도

세무판례

비영리법인의 토지 양도와 특별부가세

비영리 종교법인이라도 고유 목적에 직접 사용하지 않는 토지를 팔면 특별부가세를 내야 한다.

#종교법인#토지 양도#특별부가세#고유목적

세무판례

공공사업 토지 양도, 세금 감면 신청 안 해도 감면받을 수 있을까?

공공사업이나 재개발사업을 위해 토지를 양도할 때 양도소득세 감면을 받기 위해 감면신청을 하는 것은 의무가 아니며, 감면 요건만 충족하면 감면을 받을 수 있다.

#양도소득세 감면#공공사업#재개발사업#감면신청

세무판례

땅 주인이 건물 주인과 달라도 세금 혜택 못 받을 수 있다?

회사가 임대하는 토지에 건물이 있더라도, 그 건물이 회사 소유가 아니면 비업무용 부동산으로 간주될 수 있다.

#비업무용 부동산#임대토지#건물소유#법인세

세무판례

비영리단체 부동산 취득세 감면, 2년 후 매각해도 괜찮을까?

비영리단체가 공익사업을 위해 취득한 부동산을 2년 이상 해당 용도로 사용한 후 매각하거나 임대하더라도 취득세, 등록세를 부과할 수 없다.

#비영리단체#부동산#취득세#비과세

세무판례

투기지정지역 내 공익사업용 토지 양도, 세금 감면 언제 받을 수 있을까?

투기지정지역 안에 있는 땅이라도 공익사업에 쓰이면 세금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는데, 이 혜택을 받으려면 땅을 취득한 시점이 중요합니다. 이 판례는 투기지역 지정보다 먼저 땅을 샀더라도, 사업인정고시일 2년 전보다 늦게 샀다면 세금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투기지정지역#공익사업#토지#양도소득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