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득세등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2010두4094

선고일자:

2010062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구 대구광역시세 감면조례 제13조 제1항의 감면규정 중 ‘토지를 취득한 날로부터 2년 이내에 공동주택을 착공하지 아니한 경우를 제외한다’는 괄호 안 규정의 취지 및 위 감면규정을 근거로 과세관청이 한 지방세 부과처분의 성질 [2] 임대주택용 토지에 대한 지방세의 사후감면요건을 충족하지 못하여 과세대상이 된 경우, 부과제척기간의 기산점

판결요지

[1] 구 대구광역시세 감면조례(2000. 12. 30. 조례 제3454호로 전부 개정되기 전의 것)가 임대주택 건설용 토지를 취득한 날부터 2년 이내에 공동주택을 착공하지 아니한 경우를 추징대상으로 규정하였다가 구 대구광역시세 감면조례(2005. 9. 30. 조례 제372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에서 위와 같은 경우를 감면대상 자체로부터 제외하는 내용으로 개정된 점 등에 비추어 보면, 구 대구광역시세 감면조례(2005. 9. 30. 조례 제372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의 감면규정 중 임대주택 건설용 토지에 관한 괄호 안의 부분은 당해 토지에 대하여 먼저 취득세와 등록세를 감면하였다가 2년 이내에 공동주택을 착공하지 않은 경우, 이를 추징하던 종전의 방식에서 당해 토지를 취득한 날부터 2년 이내에 공동주택을 착공할 경우에 비로소 지방세를 감면하고 그 기간 동안 착공하지 아니할 경우에는 처음부터 감면대상에서 제외하여 원칙대로 과세하는 방식으로 변경하는 취지에서 마련되었다. 따라서 임대사업자가 임대주택을 건설할 목적으로 취득한 토지에 대하여 그 취득일부터 2년 이내에 착공을 하지 않으면 당해 토지는 위 감면규정에 의하여 처음부터 지방세감면대상에서 배제되는 것으로서, 이 경우에 과세관청이 하는 지방세 부과처분은 추징처분이 아닌 본래의 부과처분이라고 할 것이다. [2] 임대주택용 토지에 대한 지방세의 사후감면요건을 충족하지 못하여 과세대상이 된 경우 부과제척기간의 기산점은, ‘비과세 또는 감면받은 세액 등에 대한 추징사유가 발생하여 추징하는 경우에는 그 신고납부기한의 다음날’을 지방세를 부과할 수 있는 날로 정하는 구 지방세법 시행령(2005. 1. 5. 대통령령 제1866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4조의2 제2항에 따라, 당해 토지의 취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한 날에서 신고납부기한인 30일이 경과한 다음날이라고 할 것이다.

참조조문

[1] 구 대구광역시세 감면조례(2005. 9. 30. 조례 제372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3조 제1항(현행 제18조 제1항), 구 대구광역시세 감면조례(2000. 12. 30. 조례 제3454호로 전부 개정되기 전의 것) 제15조 제1항(현행 제18조 제1항) / [2] 구 대구광역시세 감면조례(2005. 9. 30. 조례 제372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4조(현행 제42조), 구 지방세법(2005. 1. 5. 법률 제733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20조 제3항(현행 제20조 제3항), 제150조의2 제3항(현행 제30조 제3항), 구 지방세법 시행령(2005. 1. 5. 대통령령 제1866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4조의2 제2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주식회사 영도 (소송대리인 변호사 이석화) 【피고, 피상고인】 대구광역시 북구청장 【원심판결】 대구고법 2010. 1. 22. 선고 2009누1533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이 사건 부과처분의 성질에 관하여 가. 구 ‘대구광역시세 감면조례’(2000. 12. 30. 조례 제3454호로 전부개정된 것으로서 2005. 9. 30. 조례 제372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이 사건 감면조례’라고 한다) 제13조(임대주택에 대한 감면) 제1항은 “ 임대주택법 제2조 제4호에 의한 임대사업자가 임대할 목적으로 공동주택을 건축하거나 건축주로부터 최초로 분양받는 경우 당해 공동주택(그 부속토지를 포함하되 토지를 취득한 날부터 2년 이내에 공동주택을 착공하지 아니한 경우를 제외한다)에 대하여는” 그 각 호에서 정하는 바에 의하여 취득세와 등록세 등 지방세를 감면한다고 정하고 있다(이하 ‘이 사건 감면규정’이라고 한다). 한편 이 사건 감면조례 전에 시행되던 구 ‘대구광역시세 감면조례’(2000. 12. 30. 조례 제3454호로 전부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개정 전 조례’라고 한다) 제15조(임대주택에 대한 감면) 제1항은 임대주택법에 의한 임대사업자가 임대주택을 건축할 목적으로 취득한 토지에 대하여 취득세와 등록세를 면제 또는 경감하되, 토지를 취득한 후 2년 이내에 건축물을 착공하지 아니하거나 매각한 경우에는 면제 또는 경감된 취득세와 등록세를 추징하도록 정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개정 전 조례가 임대주택 건설용 토지를 취득한 날부터 2년 이내에 공동주택을 착공하지 아니한 경우를 추징대상으로 규정하였다가 이 사건 감면조례에서 위와 같은 경우를 감면대상 자체로부터 제외하는 내용으로 개정된 점 등에 비추어 보면, 이 사건 감면규정 중 임대주택 건설용 토지에 관한 괄호 안의 부분은 당해 토지에 대하여 먼저 취득세와 등록세를 감면하였다가 2년 이내에 공동주택을 착공하지 아니한 경우 이를 추징하던 종전의 방식에서 당해 토지를 취득한 날부터 2년 이내에 공동주택을 착공할 경우에 비로소 지방세를 감면하고 그 기간 동안 착공하지 아니할 경우에는 처음부터 감면대상에서 제외하여 원칙대로 과세하는 방식으로 변경하는 취지에서 마련되었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임대사업자가 임대주택을 건설할 목적으로 취득한 토지에 대하여 그 취득일부터 2년 이내에 착공을 하지 아니하면 당해 토지는 이 사건 감면규정에 의하여 처음부터 지방세감면대상에서 배제되는 것으로서, 이 경우에 과세관청이 하는 지방세부과처분은 추징처분이 아닌 본래의 부과처분이라고 할 것이다. 나. 원심은 그 판시 증거를 종합하여, 원고가 2001. 9. 28. 소외인으로부터 이 사건 토지를 18억 원에 매수한 후 잔금지급일인 2002. 12. 9. 이 사건 토지가 임대주택 건설용 토지라는 이유로 취득세 및 등록세 전액에 관하여 지방세감면신청을 하였으나, 위 취득일(2002. 12. 9.)로부터 2년 이내에 이 사건 토지에 공동주택을 착공하지 아니한 사실, 이에 피고가 이 사건 감면규정을 근거로 이 사건 토지에 대하여 취득세 등의 지방세를 부과한 사실(이하 ‘이 사건 부과처분’이라고 한다)을 인정한 다음, 이 사건 부과처분은 추징처분이 아닌 본래의 부과처분이라고 판단하였다.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간다.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은 이 사건 부과처분의 성질에 관한 법리 오해의 위법이 없다. 2. 부과제척기간에 관하여 이 사건 감면조례 제34조는 “이 조례에 의하여 취득세 또는 등록세를 감면받은 후에 당해 과세물건이 과세대상 또는 추징대상이 된 때에는 지방세법 제120조 제3항 및 제150조의2 제3항의 규정을 적용한다”고 정하고, 구 지방세법(2005. 1. 5. 법률 제733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제120조 제3항, 제150조의2 제3항은 “취득세·등록세를 비과세·과세면제 또는 경감받은 후에 당해 과세물건이 취득세·등록세 부과대상 또는 추징대상이 된 때에는 그 사유발생일부터 30일 이내에 정당한 세액을 신고납부하여야 한다”고 정하고 있다. 한편 임대사업자가 임대주택 건설용으로 취득한 토지가 이 사건 감면규정이 정한 사후감면요건을 충족하지 못하여 지방세 부과대상이 되는 경우에는 이 사건 감면조례 제34조의 “당해 과세물건이 과세대상이 된 때”에 해당하여 구 지방세법 제120조 제3항, 제150조의2 제3항이 적용되므로 임대사업자는 그 사유발생일부터 30일 이내에 세액을 신고납부하여야 한다. 나아가 이 사건과 같이 임대주택용 토지에 대한 사후감면요건을 충족하지 못하여 과세대상이 된 경우 부과제척기간의 기산점은, “비과세 또는 감면받은 세액 등에 대한 추징사유가 발생하여 추징하는 경우에는 그 신고납부기한의 다음날”을 지방세를 부과할 수 있는 날로 정하는 구 지방세법 시행령(2005. 1. 5. 대통령령 제1866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4조의2 제2항에 따라, 당해 토지의 취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한 날에서 앞서 본 신고납부기한인 30일이 경과한 다음날이라고 할 것이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이 사건 토지의 취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한 2004. 12. 9.에서 신고납부기한 30일이 경과한 다음날인 2005. 1. 11.(신고납부기한의 종기인 같은 해 1. 9.이 일요일이므로 신고납부기한은 같은 해 1. 10.까지이다)부터 이 사건 토지에 대한 지방세 부과제척기간이 진행한다고 판단하였다. 위 법리에 비추어 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다.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은 부과제척기간에 관한 법리 오해의 위법이 없다. 3. 결론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지형(재판장) 양승태 전수안 양창수(주심)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건축 시작도 안 했는데, 종합토지세 감면 대상 토지라고? 안 돼요!

건물을 짓기 위해 준비만 하고 있고 실제 건축공사를 시작하지 않은 땅은, 착공하지 못한 이유가 타당하더라도 종합토지세 감면 대상이 되지 않는다.

#종합토지세#건축착공#토지#감면

민사판례

공장 이전 관련 취득세 감면, 6개월 내 착공 못했어도 돌려받을 수 있을까?

대도시에서 대도시 밖으로 공장을 이전할 때 취득세 감면 요건(6개월 이내 착공)을 지키지 못했더라도, 지자체의 귀책사유로 착공이 늦어졌다는 사정만으로는 이미 납부한 취득세가 부당이득이 되지는 않는다.

#취득세#감면요건 미충족#부당이득#공장이전

세무판례

신축주택 양도세 감면, 5년 이내면 전액 감면! 5년 후엔? 그리고 임대주택 종부세 혜택은?

이 판례는 신축주택을 5년 이내에 팔았을 때 양도소득세 감면 범위와, 임대주택을 종합부동산세 과세 대상에서 빼주는 요건에 대한 판결입니다. 핵심은 신축주택 5년 이내 양도시 양도세 전액 감면, 5년 이후 양도시 전체 양도차익에 비율을 곱해서 감면, 그리고 임대주택 종부세 합산배제는 2005년 1월 5일 이전 임대사업자 등록이 필수라는 것입니다.

#신축주택#양도소득세 감면#5년#비율

세무판례

임대주택 조기 분양시 특별부가세 감면? 안 돼요!

5년 의무 임대기간 내에 관할관청의 허가를 받아 임대주택을 분양했더라도 특별부가세 감면 대상이 아니라는 판결.

#임대주택#조기분양#특별부가세#감면

세무판례

임대주택 5년 내 팔았다고 무조건 세금 추징? 아니죠!

법에서 정한 절차를 거쳐 임대주택을 양도했다면, 5년 이내라도 취득세와 등록세를 추징당하지 않는다.

#임대주택#양도#취득세#등록세

세무판례

골프장 땅 샀는데 1년 넘게 삽도 못 떴다고? 세금 감면 없다!

골프장 건설 목적으로 토지를 샀지만 1년 안에 환경영향평가 등 필요한 절차를 진행하지 않아 사업계획 승인 신청조차 못 했다면, 토지 취득 후 1년 내 미착공에 대한 정당한 사유로 인정되지 않는다는 판결.

#골프장#토지#미착공#정당한 사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