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집행정지

사건번호:

2010부1

선고일자:

20100407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국가가 가집행선고부 판결에 대하여 상소를 제기하면서 강제집행의 정지신청을 한 경우, 법원이 이를 인용하면서 담보제공을 명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122조, 제500조 제1항, 제501조, 제502조 제3항, 인지 첩부 및 공탁 제공에 관한 특례법 제3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8. 6. 16.자 98그28 결정(공1998하, 1943)

판례내용

【신청인, 특별항고인】 대한민국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나은 담당변호사 석윤수) 【피신청인, 상대방】 【원심결정】 대전고법 2010. 1. 26.자 2010아3 결정 【주 문】 원심결정을 파기하고, 이 사건을 대전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특별항고이유를 판단한다. 기록에 의하면, 신청인은 2010. 1. 25. 신청인과 상대방 피신청인 사이의 대전지방법원 2009구합166 손실보상금 청구사건에 관하여 같은 법원이 2009. 11. 25.에 선고한 가집행선고부 판결에 기한 강제집행의 정지신청을 하였고, 이에 대하여 원심이 2010. 1. 26. 위 강제집행 정지신청이 이유 있다고 하여 위 가집행선고부 판결에 기한 강제집행은 신청인이 담보로 1억 9,000만 원을 현금으로 공탁할 것을 조건으로 대전고등법원 2010누21 손실보상금 청구사건의 판결선고시까지 이를 정지한다는 내용으로 강제집행의 일시정지를 명하는 결정을 한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민사소송법 제500조 제1항, 제501조는 가집행선고부 판결에 대하여 상소의 제기가 있는 경우에 법원은 당사자의 신청에 따라 담보를 제공하게 하거나 담보를 제공하지 아니하게 하고 강제집행의 일시정지를 명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고, 민사소송법 제502조 제3항에 의하여 강제집행정지의 담보에 준용되는 같은 법 제122조는 담보의 제공은 당사자들 사이에 특별한 약정이 없는 한 금전 또는 법원이 인정하는 유가증권을 공탁하거나, 대법원규칙이 정하는 바에 따라 지급을 보증하겠다는 위탁계약을 맺은 문서를 제출하는 방법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한편 인지 첩부 및 공탁 제공에 관한 특례법 제3조는 국가는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소송 및 행정소송을 수행할 때 민사소송법에 따른 공탁을 하지 아니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국가가 가집행선고부 판결에 대하여 상소를 제기하면서 그 판결에 기한 강제집행의 정지신청을 하고 법원이 그 정지신청이 이유 있다고 판단하여 이를 인용하는 경우, 법원은 신청인인 국가로 하여금 담보를 제공하지 아니하게 하고 강제집행의 일시정지를 명하여야 한다 ( 대법원 1998. 6. 16.자 98그28 결정 참조). 그런데도 원심이 국가로서 가집행선고부 판결에 기한 강제집행의 정지신청을 한 신청인에게 위와 같이 담보를 제공할 것을 조건으로 강제집행의 일시정지를 명한 것은 인지 첩부 및 공탁 제공에 관한 특례법 제3조의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이 점을 지적하는 특별항고이유는 이유 있다. 그러므로 원심결정을 파기하고, 이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안대희(재판장) 박시환 차한성 신영철(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국가는 소송에서 담보 제공 안 해도 돼요! (강제집행 정지 신청 시)

국가가 소송에서 패소하여 가집행이 가능한 판결을 받고 항소하면서 강제집행 정지 신청을 할 경우, 법원은 국가에 담보 제공을 요구할 수 없다.

#국가#강제집행 정지#담보 면제#인지첩부및공탁제공에관한특례법

민사판례

항소심에서 이겼는데 왜 돈을 못 받죠? 집행 속행에 대한 이야기

1심에서 일부 승소하고, 상대방이 항소했지만 기각된 경우, 상대방이 상고하면서 집행정지를 받았더라도, 승소한 측은 집행속행을 신청할 수 없다.

#가집행#상소#집행정지#집행속행

민사판례

국가도 공탁해야 하나요? 강제집행 정지와 특별항고 이야기

국가가 민사소송에서 패소하여 강제집행 정지 결정을 받았는데, 해당 결정이 법률 및 대법원 판례에 어긋난다고 주장하며 특별항고를 제기했습니다. 그러나 대법원은 단순한 법률 위반만으로는 특별항고 사유가 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특별항고를 기각했습니다.

#특별항고#기각#국가#공탁면제

민사판례

항소심에서 뒤집혔지만, 아직 안심은 금물! 가집행 정지 담보는 왜 돌려받기 어려울까?

1심에서 패소하여 가집행을 당하지 않기 위해 담보를 제공했고, 2심에서 승소했더라도 대법원 판결 확정 전까지는 담보를 돌려받을 수 없다.

#가집행#담보#항소심 승소#대법원 확정 전

민사판례

제3자가 대신 담보 공탁, 강제집행 정지 가능할까?

법원이 강제집행정지를 위한 담보 제공을 명령했을 때, 담보 제공 의무가 있는 당사자 본인이 아니라 제3자가 그 당사자를 위해 담보를 제공할 수 있다.

#강제집행정지#담보#제3자#제공

민사판례

가집행 취소됐을 때, 상대방에게 손해배상 받을 수 있을까?

법원의 가집행 판결에 불복하여 상소하면서, 강제집행을 막기 위해 돈을 공탁했는데 나중에 가집행 판결이 취소된 경우, 공탁으로 인한 손해를 상대방에게 청구할 수 있는지 여부와 그 조건에 대한 판례입니다. 단순히 가집행 판결이 취소되었다고 해서 바로 손해배상을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가집행#정지#공탁금#손해배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