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환거래법 위반

사건번호:

2011도11064

선고일자:

201209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甲 주식회사 임원인 피고인이, 甲 회사가 乙 주식회사로부터 받은 광고비 전액중 해외 광고매체사로부터 수령할 수수료를 공제한 잔액만을 지급하는 방법으로 해외 광고매체사와 사이에 채권·채무를 결제하면서 이를 신고하지 아니하였다고 하여 구 외국환거래법위반으로 기소된 사안에서, 위와 같은 처리 방법이 같은 법 제16조 제1호에 규정된 ‘상계 등의 방법으로 채권·채무를 소멸시키거나 상쇄시키는 방법으로 결제하는 경우’에 해당한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구 외국환거래법(2009. 1. 30. 법률 제935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6조 제1호, 제28조 제1항 제2호(현행 제29조 제1항 제6호, 제32조 제1항 제3호 참조), 외국환거래법 부칙(2009. 1. 30. 법률 제9351호) 제3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김승섭 【원심판결】 서울중앙지법 2011. 8. 10. 선고 2010노4960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원심은, 이 사건 공소사실 기재와 같이 이 사건 거래 과정에서 해외 광고매체사가 광고비 중 공소외 1 주식회사(이하 ‘ 공소외 1 회사’)의 수수료를 제외한 나머지 금액에 대한 송장을 공소외 1 회사에 보내고, 공소외 1 회사가 공소외 2 주식회사(이하 ‘ 공소외 2 회사’)로부터 광고비 전액을 받아 그 중 위 송장 기재 금액만을 해외 광고매체사에 지급한 행위에 대하여, 그 판시와 같은 사실관계 등을 토대로, 공소외 1 회사가 공소외 2 회사로부터 광고비로 받은 금전은 불특정물로서 공소외 1 회사는 해외 광고매체사에 대해 광고비 상당의 금전지급의무를 부담하는 것인데, 공소외 1 회사가 해외 광고매체사에 위 공소사실 기재와 같은 방법으로 수수료를 제외한 나머지 광고비만을 지급하는 것은 공소외 1 회사와 해외 광고매체사 사이에 광고비에서 매체수수료를 공제하고 지급하기로 하는 상관행 내지 명시적 또는 묵시적 약정에 따라 현실적인 외환의 이동 없이 계정의 차감 정리를 통해 이를 결제하는 것으로서 외국환거래법 제16조 제1호가 정한 상계에 해당하여 신고대상이라는 취지로 판단하였다. 원심이 인정한 위와 같은 거래의 내용 및 기록에 의하면, 공소외 1 회사는 공소외 2 회사에 대하여 해외 광고매체사의 광고료를 청구하고 지급받을 권리가 있지만 공소외 1 회사에 귀속될 수수료는 해외 광고매체사에 대해서만 청구할 수 있을 뿐 공소외 2 회사에 대해서 청구할 권리는 없다 할 것이다. 따라서 공소외 1 회사가 공소외 2 회사로부터 지급받은 광고료에서 해외 광고매체사로부터 수령할 수수료를 공제한 잔액만을 송금하고 그 수수료를 지급받은 것으로 처리하는 것은, 그것이 원심 판시와 같이 반드시 상계에 해당한다고 할 것은 아니라 하더라도 적어도 외국환거래법 제16조 제1호에 규정된 ‘상계 등의 방법으로 채권·채무를 소멸시키거나 상쇄시키는 방법으로 결제하는 경우’에는 해당하는 것으로 봄이 상당하다. 따라서 그에 따른 신고의무를 위반한 것으로 본 원심판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이 외국환거래법의 신고대상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는 등으로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은 없다. 이에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창석(재판장) 양창수 박병대(주심) 고영한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해외 여행사에 원화 계좌로 입금? 외국환거래법 위반!

국내 여행사가 해외 여행사에 여행 수속을 의뢰하고 국내 은행에 있는 해외 여행사의 원화 계좌로 비용을 지급하는 경우, 외국환거래법상 신고 의무가 면제되지 않는다.

#외국환거래법#신고의무#해외여행사#국내여행사

세무판례

해외 광고주 대상 광고, 영세율 적용될까?

국내 광고매체사가 광고대행사를 통해 외국 광고주에게 광고용역을 제공한 경우, 광고대행사가 준위탁매매인 역할을 했다면 광고매체사가 직접 광고주에게 용역을 제공한 것으로 간주하여 부가가치세 영세율을 적용한다.

#광고용역#외국광고주#영세율#광고대행사

세무판례

외국 광고주 대상 광고, 세금계산서 발행, 그리고 가산세에 대한 이야기

국내 광고매체사가 대행사를 통해 외국 광고주에게 광고용역을 제공한 경우, 이는 영세율 적용 대상이며, 광고업은 세금계산서 발급 의무가 면제되지 않고, 세금계산서 미교부 가산세는 합법적이다.

#외국광고주#광고용역#영세율#세금계산서

형사판례

'상계 등'의 의미, 외국환거래법 위반?

국제 무역에서 실물 이동 없이 가격 차이만 정산하는 거래 방식(북 아웃, 써클 아웃, 쇼튼 체인)은 외국환거래법상 사전 신고 의무가 있는 '상계 등'의 결제 방식에 해당하지 않는다.

#외국환거래법#사전신고#상계#북아웃

형사판례

외국환거래법 위반, 돈 전달도 불법일까?

한국과 외국 사이에 돈을 주고받는 것과 직접 관련된 부수적인 업무도 외국환거래법상 허가받지 않은 '외국환업무'에 해당하여 처벌될 수 있다.

#외국환거래법#무등록 외국환업무#자금운반#부대업무

형사판례

외국환거래법 위반, 꼼수는 통하지 않습니다!

겉으로 보기에는 물건을 사고파는 중계무역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돈을 빌리는 자본거래인 경우에도 외국환거래법상 신고 의무가 있다는 판결입니다. 신용장을 개설하고 돈이 국내 은행에 들어왔다고 해서 신고 의무가 면제되는 것은 아닙니다.

#중계무역#자본거래#신고의무#외국환거래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