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도

사건번호:

2012도15303

선고일자:

2013022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이른바 명의신탁 자동차의 소유권 귀속관계 [2] 피고인이 자신의 명의로 등록된 자동차를 사실혼 관계에 있던 甲에게 증여하여 甲만이 이를 운행·관리하여 오다가 서로 별거하면서 재산분할 내지 위자료 명목으로 甲이 소유하기로 하였는데, 피고인이 이를 임의로 운전해 간 사안에서, 자동차 등록명의와 관계없이 피고인과 甲 사이에서는 甲을 소유자로 보아야 한다는 이유로 절도죄를 인정한 원심판단을 정당하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형법 제329조, 자동차관리법 제6조 / [2] 형법 제329조, 자동차관리법 제6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89. 9. 12. 선고 88다카18641 판결, 대법원 2003. 5. 30. 선고 2000도5767 판결(공2003하, 1487), 대법원 2007. 1. 11. 선고 2006도4498 판결(공2007상, 317), 대법원 2012. 4. 26. 선고 2010도11771 판결(공2012상, 943)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원심판결】 대전지법 2012. 11. 15. 선고 2012노1873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자동차 소유관계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주장에 대하여 자동차에 대한 소유권의 득실변경은 등록을 함으로써 그 효력이 생기고 등록이 없는 한 대외적 관계에서는 물론 당사자의 대내적 관계에서도 소유권을 취득할 수 없는 것이 원칙이지만, 당사자 사이에 소유권을 등록명의자 아닌 자가 보유하기로 약정하였다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그 내부관계에 있어서는 등록명의자 아닌 자가 소유권을 보유하게 된다고 할 것이다(대법원 1989. 9. 12. 선고 88다카18641 판결, 대법원 2003. 5. 30. 선고 2000도5767 판결 등 참조). 원심은, 피고인 명의로 등록되어 있지만 피해자가 점유·관리하여 온 이 사건 승용차를 피고인이 임의로 운전해 감으로써 이를 절취하였다는 내용의 이 사건 공소사실에 대하여, 그 판시 증거들에 의하여 피고인이 사실혼 관계에 있던 피해자에게 이 사건 승용차를 선물하여 증여한 이래 피해자만이 이 사건 승용차를 운행하며 관리하여 온 사실, 피고인과 피해자가 별거하면서 재산분할 내지 위자료 명목으로 피해자가 이 사건 승용차를 소유하기로 한 사실 등을 인정한 다음, 이 사건 승용차는 그 등록명의와 관계없이 피고인과 피해자 사이에서는 피해자를 소유자로 보아야 한다는 이유로 피고인의 행위가 절도행위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였다. 앞서 본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사실인정과 판단은 모두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되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이 논리와 경험칙을 위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거나 자동차 소유관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는 등으로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할 수 없다. 2. 양형부당의 주장에 대하여 형사소송법 제383조 제4호에 의하면 양형부당을 사유로 한 상고는 사형, 무기 또는 10년 이상의 징역이나 금고가 선고된 사건에서만 허용되는 것이므로, 피고인에게 벌금형이 선고된 이 사건에서는 원심의 형의 양정이 부당하다는 취지의 주장은 적법한 상고이유가 되지 못한다. 3. 결론 이에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창석(재판장) 양창수 박병대(주심) 고영한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아내 명의 차, 내 마음대로 가져가도 될까? - 배우자 명의 재산과 절도죄

자동차 명의가 아내 앞으로 되어 있더라도, 남편이 마음대로 차를 가져가면 절도죄가 성립한다. 특히 차를 실제로 소유하고 있던 사람(이 사례에서는 구매자)과는 친족 관계가 아니므로, 친족 간의 범행을 가볍게 처벌하는 친족상도례도 적용되지 않는다.

#절도죄#친족상도례#차량 명의#점유

형사판례

엄마 명의 차 몰래 가져가면 절도일까?

다른 사람 이름으로 등록한 차를 담보로 준 후 몰래 가져가면 절도죄로 처벌받는다. 법적으로 차량 명의자가 진짜 주인이기 때문이다.

#명의신탁#자동차#담보#절도죄

형사판례

내 차를 내가 가져왔는데 왜 절도죄?

빌린 차를 돈을 못 갚아 빼앗긴 후, 되찾아 소유자에게 돌려줬더라도 절도죄가 성립한다는 판결.

#절도죄#불법영득의사#절취#차량

형사판례

내 차지만 내 명의가 아닌 차, 팔면 절도일까 사기일까?

차량을 다른 사람 명의로 등록했을 때(명의신탁), 실소유주가 아닌 명의자가 차를 처분해도 사기죄가 성립하지 않지만, 실소유주 몰래 제3자와 공모하여 차를 가져간 경우 절도죄가 성립할 수 있다.

#차량 명의신탁#절도죄#사기죄#실소유주

민사판례

도난차량 사고, 차 주인은 언제 책임을 져야 할까?

누군가 내 차를 훔쳐가서 사고를 냈다면, 나는 책임을 져야 할까? 이 판례는 차량 절도 후 발생한 사고에서 차량 소유주의 책임 범위를 다룹니다. 단순히 차를 도난당했다는 사실만으로는 차량 소유주의 책임이 없지만, 차량 관리에 심각한 과실이 있었다면 책임을 져야 할 수도 있습니다.

#차량절도#사고책임#소유주책임#차량관리

형사판례

같이 쓰는 물건도 훔칠 수 있을까? 공동소유 물건의 절도

다른 사람과 함께 소유한 물건이라도, 마음대로 가져가면 절도죄가 성립할 수 있습니다.

#공동소유#절도죄#불법영득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