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위반(주거침입강간등)·특정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보복범죄 등)·부착명령

사건번호:

2012도544,2012전도12

선고일자:

2012031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피고인이 피해자의 주거에 침입하여 강간하려다 미수에 그침과 동시에 자기의 형사사건의 수사 또는 재판과 관련하여 수사단서를 제공하고 진술한 것에 대한 보복 목적으로 그를 폭행하였다는 내용으로 기소된 사안에서,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보복범죄등)죄 및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위반(주거침입강간등)죄가 각 성립하고 두 죄가 상상적 경합관계에 있다고 본 원심판단을 수긍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형법 제40조, 제260조 제1항, 제297조, 제319조 제1항,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5조의9 제2항,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3조 제1항, 제14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고인 겸 피부착명령청구자】 【상 고 인】 피고인 겸 피부착명령청구자 【변 호 인】 변호사 나윤주 【원심판결】 서울고법 2011. 12. 22. 선고 2011노3125, 2011전노423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피고사건에 관하여 가. 죄수(罪數)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였다는 상고이유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피고인 겸 피부착명령청구자(이하 ‘피고인’이라 한다)가 이 사건 강간 범행 과정에서 한 폭행행위는 단순한 폭행이 아니라 보복의 목적을 가지고 한 것으로서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5조의9 제2항의 구성요건에 해당하는데, 그것이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위반(주거침입강간등)죄의 구성요건에 완전히 포섭되지 않는 점,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보복범죄등)죄가 범죄 신고자 등의 보호 외에 국가의 형사사법 기능을 보호법익으로 하는 죄인 데 반하여 강간죄는 개인의 성적 자기결정권을 보호법익으로 하는 죄로서 양(兩)죄는 그 보호법익을 달리하는 점 등에 비추어 볼 때,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보복범죄등)죄가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위반(주거침입강간등)죄에 흡수되는 법조경합의 관계에 있다고 볼 수 없고 양죄는 상상적 경합관계에 있다고 판단하였다. 관련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이 죄수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없다. 나. 나머지 상고이유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를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그 판시와 같은 사정을 들어 피고인의 심신장애에 관한 주장을 배척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심신장애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없다. 그리고 기록에 의하면, 피고인은 제1심판결에 대하여 항소하면서 항소이유로 누범가중에 관한 법리오해, 심신장애 및 양형부당만을 주장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원심판결에 사실오인의 위법이 있다는 주장은 적법한 상고이유가 될 수 없다. 한편 형사소송법 제383조 제4호에 의하면 사형, 무기 또는 10년 이상의 징역이나 금고가 선고된 사건에서만 양형부당을 사유로 한 상고가 허용되므로, 피고인에 대하여 그보다 가벼운 형이 선고된 이 사건에서 형의 양정이 부당하다는 취지의 주장은 적법한 상고이유가 되지 못한다. 2. 부착명령청구사건에 관하여 피고인이 피고사건에 관하여 상고를 제기한 이상 특정 범죄자에 대한 위치추적 전자장치 부착 등에 관한 법률 제9조 제8항의 규정에 의하여 부착명령청구사건에 관하여도 상고를 제기한 것으로 의제되나, 상고장에 이유의 기재가 없고 상고이유서에도 이에 대한 불복이유의 기재를 찾아볼 수 없다. 3. 결론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전수안(재판장) 양창수 이상훈(주심) 김용덕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강간죄 고소기간과 폭행·협박죄의 관계

강간죄의 고소기간이 지난 후 고소가 이루어진 경우, 강간 과정에서 발생한 폭행·협박에 대해 따로 처벌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다수의견은 강간죄 고소기간이 지나면 폭행·협박도 처벌할 수 없다고 판단했지만, 소수의견은 피해자가 원한다면 처벌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강간죄#고소기간#폭행·협박죄#법조경합

형사판례

주거침입강간미수를 주거침입강제추행으로 바꿔 처벌할 수 있을까?

법원은 공소장에 적힌 죄명과 다른 죄명으로 피고인을 처벌하려면 공소장을 변경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피고인이 자신에게 적용될 수 있는 형량 등을 예측하기 어려워 제대로 방어할 수 없게 된다.

#공소장변경#죄명변경#방어권#주거침입강간미수

형사판례

강도 후 방화 살인, 죄목은 하나? 둘?

돈을 빼앗은 후 살해하기 위해 불을 지르면 강도살인죄와 방화치사죄 모두에 해당하지만, 하나의 행위로 두 가지 죄를 저지른 것으로 보기 때문에 더 무거운 죄인 강도살인죄 하나에 대해서만 처벌합니다.

#강도살인#방화치사#상상적 경합#무기징역

형사판례

항소이유서 안 냈다고 항소 기각? 그래도 죄는 하나로 봐야죠! (경합범과 항소심)

한 사람이 여러 죄를 저질렀는데, 이 죄들이 따로 재판받다가 항소심에서 하나로 합쳐진 경우, 비록 일부 사건에 대해 항소이유서를 제출하지 않았더라도 항소심 법원은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경합범 규정에 따라 다시 판결해야 한다.

#경합범#항소심#병합#항소이유서

형사판례

껴안으려는 시도만으로도 강제추행미수죄가 성립할까? 기습추행과 미수범 처벌에 대한 고찰

밤길에 혼자 걷는 여성을 뒤따라가 껴안으려고 시도했지만, 여성이 눈치채고 소리쳐서 미수에 그친 경우에도 강제추행미수죄가 성립한다는 대법원 판결.

#강제추행미수죄#기습추행#폭행#유형력

형사판례

가족에게 폭행·협박으로 재물 탈취, 하나의 강도죄인가? 여러 개의 강도죄인가?

강도가 한 집에서 가족 구성원 여러 명을 폭행·협박하여 재물을 빼앗았을 때, 피해자가 여러 명이라도 강도죄는 하나로 봅니다.

#강도죄#상상적 경합#가족#단일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