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처리특례법위반

사건번호:

2012도568

선고일자:

201309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자동차 운전자인 피고인이 업무상 과실로 甲에게 상해를 가하였다고 하여 교통사고처리 특례법 위반으로 기소된 사안에서, 의식불명 상태에 있는 성년자 甲의 아버지가 피고인에 대한 처벌을 희망하지 아니한다는 의사를 표시하였더라도 甲의 의사표시로서 소송법상 효력이 없다고 본 원심판단을 정당하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교통사고처리 특례법 제3조 제1항, 제2항, 형법 제268조, 형사소송법 제26조, 제225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손영수 【원심판결】 서울중앙지법 2011. 12. 22. 선고 2011노4052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피해자가 의식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 이상 피해자에게 반의사불벌죄에서 처벌희망 여부에 관한 의사표시를 할 수 있는 소송능력이 있다고 할 수 없고, 피해자의 아버지가 피해자를 대리하여 피고인에 대한 처벌을 희망하지 아니한다는 의사를 표시하는 것 역시 허용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피해자가 성년인 이상 의사능력이 없다는 것만으로 피해자의 아버지가 당연히 법정대리인이 된다고 볼 수도 없으므로, 피해자의 아버지가 피고인에 대한 처벌을 희망하지 아니한다는 의사를 표시하였더라도 그것이 반의사불벌죄에서의 처벌희망 여부에 관한 피해자의 의사표시로서 소송법적으로 효력이 발생할 수는 없다고 판단하였다. 관련 법리에 비추어 기록을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이 유추해석의 범위와 한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교통사고처리 특례법 제3조 제2항을 위반한 위법이 없다. 형사소송법 제26조나 제225조를 유추적용함으로써 성년인 피해자가 의식불명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그의 아버지가 피해자를 대리하거나 혹은 독립하여 반의사불벌죄에서의 처벌 불희망 의사표시를 유효하게 할 수 있다고 보아야 한다는 상고이유의 주장은 독자적인 견해에 불과하여 받아들일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소영(재판장) 신영철 이상훈(주심) 김용덕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교통사고 합의 후 마음이 바뀌어도 처벌은 어려워요!

교통사고 피해자가 가해자와 합의 후 처벌을 원하지 않는다는 의사를 명확히 밝혔다면, 이후 마음을 바꿔 처벌을 원한다고 해도 가해자는 처벌받지 않는다.

#교통사고#합의#처벌불원#번복불가

형사판례

반의사불벌죄, 처벌 안 한다는 말 진심인가요?

반의사불벌죄(피해자가 원하지 않으면 처벌할 수 없는 범죄)에서 피해자가 처벌을 원하지 않는다는 의사를 명확하게 표현하지 않으면, 처벌을 원하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명예훼손#고소취소#반의사불벌죄#처벌불원의사

형사판례

피해자가 처벌 원하지 않는다는데, 유죄? 뭔가 이상합니다!

피해자가 처벌을 원하지 않는다는 의사를 1심 판결 선고 전에 밝혔다면, 법원은 이를 확인하고 판결에 반영해야 한다.

#처벌불원#유죄판결#파기환송#협박죄

형사판례

미성년자 성범죄, 합의하면 처벌 안 할 수 있을까? - 처벌불원 의사표시에 대한 판례 해설

청소년 성범죄 피해자가 가해자와 합의 후 처벌을 원치 않는다는 의사를 분명히 밝혔다면, 이후 마음이 바뀌어 처벌을 원한다 해도 가해자는 처벌받지 않는다는 판례입니다. 핵심은 피해자의 진정한 의사가 명확하게 표현되었는지에 있습니다.

#청소년 성범죄#피해자#처벌불원#합의

형사판례

협박죄와 정보통신망법 위반, 그리고 피해자의 처벌불원 의사

사이버 협박을 포함한 협박죄는 피해자가 처벌을 원하지 않으면 처벌할 수 없는 범죄(반의사불벌죄)이며, 피해자의 변호사도 피해자를 대신하여 처벌을 원하지 않는다는 의사를 밝힐 수 있다. 법원은 피해자가 처벌을 원하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할 의무가 있다.

#협박죄#사이버협박#반의사불벌죄#처벌불원

형사판례

아이의 마음도 중요해요: 폭행 사건에서 처벌불원 의사표시

아동학대 사건에서 피해 아동의 법정대리인이 처벌불원 의사를 밝히더라도, 법원은 아동 본인의 진정한 의사가 반영되었는지 확인해야 할 의무가 있다.

#아동학대#처벌불원#아동 의사 확인#법정대리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