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령

사건번호:

2014도12022

선고일자:

2015012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타인의 부동산을 보관 중인 자가 그 부동산에 근저당권설정등기를 마침으로써 횡령행위가 기수에 이른 후 같은 부동산에 별개의 근저당권을 설정하거나 해당 부동산을 매각한 행위가 별도로 횡령죄를 구성하는지 여부(원칙적 적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형법 제355조 제1항

참조판례

대법원 2013. 2. 21. 선고 2010도10500 전원합의체 판결(공2013상, 599)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법무법인 신율 담당변호사 김대일 【원심판결】 서울중앙지법 2014. 8. 29. 선고 2014노2136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에 대하여 판단한다. 상고이유의 요지는, 피고인이 피해자와의 명의신탁 약정에 따라 이 사건 토지 등의 전소유자와 매매계약을 체결하였으므로 이는 계약명의신탁에 해당하고, 피고인이 이 사건 토지 등에 관하여 근저당권을 설정하는 등으로 이를 횡령하였다는 범죄사실로 이미 유죄판결이 확정된 바 있으므로 이 사건 공소사실은 그 확정판결의 기판력에 저촉되며, 원심의 형이 너무 무거우므로, 원심판결이 위법하다는 취지이다. 타인의 부동산을 보관 중인 자가 불법영득의사를 가지고 그 부동산에 근저당권설정등기를 경료함으로써 일단 횡령행위가 기수에 이르렀다 하더라도 그 후 같은 부동산에 별개의 근저당권을 설정하여 새로운 법익침해의 위험을 추가함으로써 법익침해의 위험을 증가시키거나 해당 부동산을 매각함으로써 기존의 근저당권과 관계없이 법익침해의 결과를 발생시켰다면, 이는 당초의 근저당권 실행을 위한 임의경매에 의한 매각 등 그 근저당권으로 인해 당연히 예상될 수 있는 범위를 넘어 새로운 법익침해의 위험을 추가시키거나 법익침해의 결과를 발생시킨 것이므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불가벌적 사후행위로 볼 수 없고, 별도로 횡령죄를 구성한다(대법원 2013. 2. 21. 선고 2010도10500 전원합의체 판결 참조). 그리고 사실의 인정과 그 전제로 행하여지는 증거의 취사선택 및 평가는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사실심법원의 전권에 속하는 것이고, 형사소송법 제383조 제4호에 의하면 사형, 무기 또는 10년 이상의 징역이나 금고가 선고된 사건에 한하여 양형부당을 이유로 상고할 수 있다. 그런데 원심이 적법하게 채택한 증거와 기록을 살펴보아도 이 사건 토지 등의 전소유자와 매매계약을 체결한 당사자가 피해자라고 본 원심의 사실인정에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났다고 볼 만한 사유를 찾을 수 없고, 기록에 의하면 피고인이 이 사건 토지 등에 근저당권을 설정하여 이를 횡령하였다는 범죄사실로 유죄판결이 선고되어 확정된 바 있으나, 이 사건 공소사실은 위와 같이 판결이 확정된 범죄사실 후에 피고인이 다시 근저당권을 설정하거나 피해자에게 반환을 거부한 것으로서, 앞서 본 법리에 의하면 별도로 횡령죄를 구성한다. 그리고 10년 미만의 징역형이 선고된 이 사건에서 원심의 형이 너무 무겁다는 취지의 주장은 적법한 상고이유가 아니다. 상고이유는 모두 받아들일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고영한(재판장) 이인복(주심) 김용덕 김소영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내 건물인 척 등기하면 횡령죄?

타인의 미등기 건물을 관리하던 사람이 자기 명의로 소유권 보존등기를 하고, 추가로 근저당권 설정까지 한 경우, 소유권 보존등기를 한 시점에 이미 횡령죄가 성립하며, 그 이후 근저당 설정 행위는 처벌 대상이 아닌 사후행위라는 판결.

#미등기건물#보관자#소유권보존등기#횡령죄

형사판례

명의신탁 부동산에 대한 근저당 설정, 횡령죄 성립할까?

부동산의 진짜 주인(신탁자)이 다른 사람(수탁자) 이름으로 등기해 놓은 후, 수탁자가 멋대로 근저당권을 설정하면 횡령죄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부동산실명제 이후에도 마찬가지입니다.

#명의신탁#근저당#횡령죄#부동산실명제

형사판례

명의신탁 부동산에 근저당 설정한 경우 횡령죄의 이득액 산정

타인 명의의 부동산을 담보로 대출받는 경우, 횡령액은 부동산 시가가 아닌 대출금(채권최고액)을 기준으로 한다.

#부동산#명의신탁#근저당#횡령액

형사판례

남의 땅 함부로 담보 잡고 팔았다간 큰일나요! - 횡령죄와 불가벌적 사후행위

타인의 부동산을 맡아 관리하던 사람이 그 부동산을 담보로 돈을 빌린 후(근저당 설정), 그 부동산을 팔아버리는 경우, 담보 설정 행위와 별개로 매매 행위도 횡령죄에 해당하는가? 대법원은 "원칙적으로 그렇다"고 판단하며 기존 판례를 변경했습니다.

#부동산 횡령#추가 처분행위#횡령죄 성립#근저당 설정

상담사례

여러 번 근저당 잡혔을 때, 경매대금은 어떻게 나눠질까?

동일 거래로 발생한 다수 근저당 설정 시 경매대금 배분은 설정 순서가 아닌 민법에 따른 변제 충당 순서(채무자→채권자→이자→변제기)를 따른다.

#근저당#경매대금#배당순위#동일거래

민사판례

여러 개의 근저당,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같은 사람끼리 같은 거래에서 생긴 여러 빚을 갚기 위해 같은 물건에 여러 근저당을 설정했을 때, 각 근저당의 담보 범위는 거래에서 생긴 모든 빚 전체이며, 돈을 갚을 때는 빚 전체의 원금과 이자에 먼저 충당해야 한다.

#근저당권#담보범위#변제충당#전체채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