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생

사건번호:

2014마1157

선고일자:

20151229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1] 회생계획의 인가 요건으로 구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243조 제1항 제2호 전단에서 정한 회생계획의 ‘공정·형평’의 의미 [2] 채권자들 사이에 채권의 변제순위에 관한 합의가 되어 있으나 구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193조 제3항에 따라 제1회 관계인집회의 기일 전날까지 법원에 증명자료가 제출되지 않은 경우, 법원이 회생계획의 인가 여부에 관한 결정을 할 때 합의를 반드시 고려하여야 하는지 여부(원칙적 소극)

판결요지

[1] 법원이 회생계획의 인가를 하기 위하여는 구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2014. 12. 30. 법률 제1289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채무자회생법’이라고 한다) 제243조 제1항 제2호 전단에 따라 회생계획이 공정하고 형평에 맞아야 하는데, 여기서 말하는 공정·형평이란 구체적으로는 채무자회생법 제217조 제1항이 정하는 권리의 순위를 고려하여 이종(異種)의 권리자들 사이에는 회생계획의 조건에 공정하고 형평에 맞는 차등을 두어야 하고, 채무자회생법 제218조 제1항이 정하는 바에 따라 동종(同種)의 권리자들 사이에는 회생계획의 조건을 평등하게 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2] 구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2014. 12. 30. 법률 제1289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93조 제3항 전문은 “제1회 관계인집회의 기일 전날까지 전부 또는 일부의 채권자들 사이에 그들이 가진 채권의 변제순위에 관한 합의가 되어 있는 때에는 회생계획안 중 다른 채권자를 해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변제순위에 관한 합의가 되어 있는 채권에 관한 한 그에 반하는 규정을 정하여서는 아니 된다.”라고 규정하여, 같은 종류의 채권을 가진 채권자들 사이에 채권의 변제순위에 관한 합의가 있는 경우 이를 반영한 회생계획안이 작성되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다만 같은 항 후문은 “이 경우 채권자들은 합의를 증명하는 자료를 제1회 관계인집회의 기일 전날까지 법원에 제출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채권자들 사이에 채권의 변제순위에 관한 합의가 되어 있더라도, 제1회 관계인집회의 기일 전날까지 법원에 증명자료가 제출되지 않았다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법원이 회생계획의 인가 여부에 관한 결정을 할 때 채권자들 사이의 채권의 변제순위에 관한 합의를 반드시 고려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참조조문

[1] 구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2014. 12. 30. 법률 제1289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17조 제1항, 제218조 제1항, 제243조 제1항 제2호 / [2] 구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2014. 12. 30. 법률 제1289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93조 제3항

참조판례

[1] 대법원 1998. 8. 28.자 98그11 결정(공1998하, 2493)

판례내용

【재항고인】 기술신용보증기금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지엘 담당변호사 이소희) 【원심결정】 서울고법 2014. 7. 1.자 2012라1506 결정 【주 문】 재항고를 기각한다. 【이 유】 재항고이유를 판단한다. 1. 법원이 회생계획의 인가를 하기 위하여는 구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2014. 12. 30. 법률 제1289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채무자회생법’이라고 한다) 제243조 제1항 제2호 전단에 따라 회생계획이 공정하고 형평에 맞아야 하는바, 여기서 말하는 공정·형평이란 구체적으로는 채무자회생법 제217조 제1항이 정하는 권리의 순위를 고려하여 이종(異種)의 권리자들 사이에는 회생계획의 조건에 공정하고 형평에 맞는 차등을 두어야 하고, 채무자회생법 제218조 제1항이 정하는 바에 따라 동종(同種)의 권리자들 사이에는 회생계획의 조건을 평등하게 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대법원 1998. 8. 28.자 98그11 결정 등 참조). 한편 채무자회생법 제193조 제3항 전문은 “제1회 관계인집회의 기일 전날까지 전부 또는 일부의 채권자들 사이에 그들이 가진 채권의 변제순위에 관한 합의가 되어 있는 때에는 회생계획안 중 다른 채권자를 해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변제순위에 관한 합의가 되어 있는 채권에 관한 한 그에 반하는 규정을 정하여서는 아니 된다.”고 규정하여, 같은 종류의 채권을 가진 채권자들 사이에 채권의 변제순위에 관한 합의가 있는 경우 이를 반영한 회생계획안이 작성되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다만 같은 항 후문은 “이 경우 채권자들은 합의를 증명하는 자료를 제1회 관계인집회의 기일 전날까지 법원에 제출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채권자들 사이에 채권의 변제순위에 관한 합의가 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제1회 관계인집회의 기일 전날까지 법원에 그 증명자료가 제출되지 않았다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법원이 회생계획의 인가 여부에 관한 결정을 함에 있어 채권자들 사이의 채권의 변제순위에 관한 합의를 반드시 고려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2. 원심결정 이유 및 기록에 의하면, ① 이 사건 회생계획안은 재항고인의 이 사건 구상금채권을 중소기업은행, 주식회사 국민은행, 케이디에프제사차유동화전문 유한회사(이하 위 채권자들을 ‘중소기업은행 등’이라고 한다)의 대여금채권과 같은 종류의 회생채권으로 취급하여 회생계획의 조건에 차등을 두지 않은 점, ② 재항고인 등이 제1회 관계인집회의 기일 전날까지 채권의 변제순위에 관한 합의를 증명하는 자료를 제출하지 않은 점 등의 사정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사정을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보면, 설령 재항고인의 주장과 같이 재항고인과 중소기업은행 등 사이에 적용되는 이 사건 지침 등에 따라 재항고인의 이 사건 구상금채권이 중소기업은행 등의 대여금채권에 비하여 우선변제권을 보유하기로 한 것이라도, 채무자회생법 제193조 제3항에서 정한 기한 내에 채권의 변제순위에 관한 합의를 증명하는 자료가 제출되지 아니한 이상, 위와 같은 이 사건 지침 등의 내용을 반영하지 않고 재항고인의 이 사건 구상금채권과 중소기업은행 등의 대여금채권을 같은 종류의 채권으로 취급하여 회생계획의 조건에 차등을 두지 않고 평등하게 하였다고 하여 재항고인의 주장처럼 이 사건 회생계획이 공정하고 형평에 맞지 않는다고 볼 수는 없다. 같은 취지로 이 사건 회생계획을 인가한 제1심결정을 유지한 원심의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재판에 영향을 미친 헌법·법률·명령 또는 규칙의 위반이 없다. 3. 그러므로 재항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김창석(재판장) 이상훈 조희대 박상옥(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기업 회생, 정리계획 인가의 공정성과 형평성은 어떻게 판단될까?

부실기업 정리 시 채권자 등 이해관계인들의 권리 변동을 정하는 정리계획은 공정하고 형평해야 하며, 채권 종류에 따라 합리적인 차등을 둘 수 있지만, 부당한 차별은 허용되지 않는다는 판례입니다. 특히 보증채권은 주채권보다 불리한 조건으로 처리될 수 있지만, 주주보다 불리하게 또는 다른 유사 채권보다 과도하게 불리하게 설정되어서는 안 됩니다.

#회사정리계획#공정성#형평성#채권자

민사판례

회사 정리계획, 공정하고 형평해야 인정!

부도난 회사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채권자들에게 빚을 어떻게 갚을지 정하는 정리계획은 모든 채권자에게 공정하고 형평성 있게 만들어져야 합니다. 이 판례에서는 한국산업은행에게 다른 채권자들보다 유리한 조건으로 빚을 갚도록 한 정리계획은 공정하지 않다고 판단했습니다.

#회사정리계획#공정성#형평성#한국산업은행

민사판례

회사 정리계획, 채권자와 주주의 권리, 그리고 공정성과 형평성에 대한 이야기

회사정리절차에서 정리계획에 채권자 일부가 동의하지 않더라도 법원은 특정 조건 하에 계획을 인가할 수 있습니다. 이때 채권자 보호를 위한 조항을 마련해야 하며, 회사 재산은 '청산가치'를 기준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또한, 정리계획은 채권자와 주주 사이에 공정하고 형평하게 권리를 조정해야 하며, 같은 종류의 권리자들 사이에서는 실질적인 평등을 유지해야 합니다. 특히 보증채권의 경우, 다른 정리채권보다 불리하게 취급할 수 있습니다.

#회사정리계획#채권자보호#청산가치#공정·형평

민사판례

회사 정리계획 변경, 쟁점과 판단 기준 살펴보기

회사 경영 악화로 기존 회사정리 계획을 변경하는 과정에서 채권자들이 변경계획에 불복하여 특별항고했으나, 대법원은 변경계획이 법률과 공정·형평의 원칙에 어긋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기각했습니다.

#회사정리#변경계획#특별항고#기각

민사판례

회생담보권과 회생채권, 둘 다 인정될 수 있을까?

돈을 받아야 할 채권자가 회생절차에 들어간 채무자에게 담보가 있는 돈(회생담보권)을 신고할 때, 같은 돈을 담보 없는 돈(회생채권)으로 중복 신고해서는 안된다는 판결.

#회생담보권#회생채권#중복신고#유치권

민사판례

퇴직 임원의 미지급 급여, 회생계획에서 면제될 수 있을까?

회사가 회생절차를 밟으면서 회생계획에 따라 특수관계인의 채권을 면제하기로 했는데, 회생절차 개시 전에 해임된 이사의 퇴직금 채권도 면제 대상에 포함되는지 여부가 문제된 사건입니다. 대법원은 회생계획의 내용을 종합적으로 해석해야 한다며, 단순히 해임된 이사가 회생절차 개시 당시 임원이 아니라는 이유만으로 면제 대상에서 제외해서는 안 된다고 판단했습니다.

#회생계획#특수관계인#전직임원#퇴직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