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헌법률심판제청

사건번호:

2014아178

선고일자:

20141224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소송을 대리한 변호사에게 당사자가 지급하였거나 지급할 보수를 대법원규칙이 정하는 금액 범위 안에서 소송비용으로 인정한 민사소송법 제109조 제1항의 ‘소송을 대리한 변호사’에는 보조참가인을 대리한 변호사도 포함되고, 위 조항이 보조참가인의 변호사보수를 소송비용에 산입하여 패소한 당사자 또는 보조참가인의 부담으로 한 것이 헌법상 재판을 받을 권리, 포괄위임입법금지의 원칙, 명확성의 원칙 등에 위배된다고 볼 수 없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109조 제1항, 헌법 제12조, 제27조, 제75조, 제108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신청인(선정당사자)】 【주 문】 이 사건 위헌법률심판제청신청을 기각한다. 【이 유】 1. 위헌제청대상 법률조항 민사소송법 제109조 제1항은 “소송을 대리한 변호사에게 당사자가 지급하였거나 지급할 보수는 대법원규칙이 정하는 금액의 범위 안에서 소송비용으로 인정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이하 ‘이 사건 조항’이라 한다). 2. 신청인의 주장 이 사건 조항이 보조참가인이 지급한 변호사보수를 소송비용으로 명시적으로 인정하고 있지 않음에도 법원은 보조참가인의 변호사보수도 소송비용에 포함하고 있고, 이 사건 조항은 변호사보수 중 소송비용에 산입되는 범위를 대법원규칙에 위임하고 있는데, 그에 따라 제정된 변호사보수의 소송비용산입에 관한 규칙 제6조 제1항은 같은 규칙 제3조 및 제5조에 따라 산정한 금액 전부를 소송비용에 산입하는 것이 현저히 부당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법원이 상당한 정도까지 감액 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현저히 부당하다는 점이 명확하지 않으므로, 이 사건 조항은 명확성의 원칙, 포괄위임금지의 원칙, 입법유보의 원칙 등에 위배되며, 당사자에게 그가 예상할 수 없었던 보조참가인이 지출한 변호사보수까지 부담하도록 하여 재판받을 권리를 침해한다. 3. 판단 소송수행을 위하여 지출한 비용 중에서 어느 범위의 것을 소송비용으로 하여 패소한 당사자에게 부담시킬 것인가, 특히 변호사보수를 소송비용에 산입하여 패소한 당사자로부터 이를 상환받을 수 있게 할 것인지는 국가의 재정규모, 국민의 권리의식과 경제적·사회적 여건, 소송실무에서 변호사대리의 정도 및 변호사강제주의를 채택하였는지 여부 등을 고려하여 국민의 효율적인 권리보호와 소송제도의 적정하고 합리적인 운영이 가능하도록 입법자가 법률로 정할 성질의 것이다. 소송대리인은 당사자 또는 보조참가인의 이름으로 대리인임을 표시하여 당사자 등을 대신하여 자기의 의사결정에 의하여 소송행위를 하는 사람이므로, 보조참가인을 대리한 변호사도 이 사건 조항이 정하는 ‘소송을 대리한 변호사’에 포함된다고 할 것인바, 민사소송법이 당사자로 하여금 제3자의 참가에 대한 이의신청권 및 법원의 참가허부결정에 대한 즉시항고권(제73조)을 보장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하면, 이 사건 조항이 보조참가인의 변호사보수를 소송비용에 산입하여 패소한 당사자 또는 보조참가인의 부담으로 한 것은 정당한 권리행사를 위하여 보조참가하거나 부당한 보조참가에 대하여 응소하려는 당사자를 위하여 실효적인 권리구제를 보장하고, 부당한 보조참가 등을 방지하여 사법제도의 적정하고 합리적인 운영을 도모하려는 것이므로 입법 목적이 정당하고, 이로써 정당한 권리실행을 위하여 보조참가한 사람은 지출한 변호사비용을 상환받을 수 있게 되고 패소할 경우 상환할 변호사비용의 부담으로 인하여 부당한 참가를 자제하게 될 것이므로 방법의 적정성도 인정된다. 그리고 이 사건 조항 및 변호사보수의 소송비용산입에 관한 규칙은 패소한 당사자 또는 보조참가인이 부담하게 되는 구체적인 소송비용의 상환범위를 합리적으로 제한하고 있고, 정당한 권리행사를 위하여 소송제도를 이용하려는 사람을 위한 실효적인 권리구제수단 마련 및 사법제도의 적정하고 합리적인 운영이라는 중대한 공익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피해의 최소성 및 법익의 균형성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이 사건 조항은 재판받을 권리를 침해하지 아니한다. 나아가 이 사건 조항은 변호사보수 중 소송비용에 산입되는 범위를 대법원규칙으로 정하도록 위임하고 있는바, 그 입법 목적, 적용범위, 규정형식 및 내용 등에 비추어 볼 때 위임사항의 내용과 범위가 구체적으로 특정되어 포괄위임입법을 금지하는 헌법 제75조나 대법원의 규칙제정권을 정한 헌법 제108조, 명확성의 원칙 등에 위배된다고 볼 수 없다(헌법재판소 2011. 5. 26. 선고 2010헌바204 결정 등 참조). 4. 결론 그러므로 이 사건 위헌법률심판제청신청을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별 지] 선정자 명단: 생략] 대법관 김신(재판장) 민일영(주심) 박보영 권순일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보조참가인이 있는 소송, 소송비용은 누가 얼마나 내야 할까?

소송에서 보조참가인이 일부만 이겼을 때, 법원이 보조참가로 발생한 소송비용에 대해 명확히 판단하지 않으면 재판에 누락이 있는 것으로 봐야 한다는 판례입니다.

#보조참가#일부승소#소송비용#재판누락

민사판례

소송비용 확정신청, 변호사 보수는 어디까지?

본안 소송 변호사가 소송비용 확정 신청도 별도 위임 없이 대리할 수 있고, 그에 대한 보수는 이미 지급된 본안 소송 보수가 기준 금액보다 적을 경우에만 차액 범위 내에서 추가로 인정된다.

#소송비용 확정#변호사 보수#본안 소송#기준 금액

민사판례

변호사 보수, 누가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소송비용 분담과 법원의 역할

별개의 소송이 병합되어 같은 변호사가 대리하게 된 경우, 변호사 보수는 각 소송별로 따로 계산해야 합니다. 또한, 소송비용 확정 결정은 원래 사건을 담당했던 재판부가 해야 합니다.

#변호사 보수#소송비용 확정#병합 소송#관할 법원

민사판례

소송구조 변호사 보수와 소송비용, 누가 얼마나 내야 할까?

소송에서 진 쪽이 소송비용을 부담해야 하는데, 형편이 어려워 소송구조(법원의 지원)를 받은 사람의 변호사 비용 등은 국가가 대신 지급하고 나중에 소송에서 이긴 상대방에게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이 판결은 소송구조를 받은 사람이 여러 변호사를 선임한 경우에도 국가가 상대방에게 비용을 청구할 수 있는 범위와 방법에 대해 명확히 했습니다.

#소송구조#변호사 보수#비용 추심#대법원 판결

민사판례

내 돈 내고 변호사 썼는데 왜 소송비용 못 받아? - 제3자 변호사 비용, 소송비용으로 인정될까?

수탁자가 소송을 당했을 때, 위탁자가 신탁계약에 따라 변호사를 선임하고 보수를 지급하기로 약정했다면, 이 보수는 수탁자가 지급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소송비용에 포함됩니다. 소송에서 이긴 쪽은 진 쪽에게 이 변호사 보수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신탁재산#소송비용#변호사보수#위탁자

민사판례

소송비용, 어디까지 따져볼 수 있을까? 공동소송인의 변호사 보수 계산은 어떻게?

여러 명이 함께 소송을 진행하면서 같은 변호사를 선임한 경우, 소송비용 중 변호사 보수는 각자 따로 계산해서 합산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소송 가액을 기준으로 한 번에 계산해야 한다. 만약 소송 내용이 겹치는 부분이 있다면, 가장 큰 금액의 소송 가액만 기준으로 계산한다. 또한, 소송비용 확정 절차에서는 비용 금액만 정할 수 있고, 누가 비용을 부담할지는 다시 다룰 수 없다.

#공동소송#소송비용#변호사보수#계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