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절결정(상)

사건번호:

2014후2283

선고일자:

2015012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특허

사건종류코드:

400106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4호의 규정 취지와 현저한 지리적 명칭 등이 다른 식별력 없는 표장과 결합에 의하여 본래의 현저한 지리적 명칭 등을 떠나 새로운 관념을 낳거나 새로운 식별력을 형성하는 경우,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4호의 적용이 배제되는지 여부(적극) / 출원상표가 상표법 제6조 제1항 각 호의 식별력 요건을 갖추고 있는지에 관한 판단의 기준 시점 [2] 특허청 심사관이 지정상품을 농산물이유식 등으로 하는 “”로 구성된 출원상표가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4호, 제7호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상표등록을 거절하는 결정을 한 사안에서, 위 출원상표는 충분한 식별력을 가지므로 상표등록이 허용되어야 한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1]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4호는 현저한 지리적 명칭·그 약어 또는 지도만으로 된 상표는 등록을 받을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표는 현저성과 주지성 때문에 상표의 식별력을 인정할 수 없어 어느 특정 개인에게만 독점사용권을 부여하지 않으려는 데 규정의 취지가 있다. 이에 비추어 보면,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4호의 규정은 현저한 지리적 명칭 등이 다른 식별력 없는 표장과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기는 하나, 그러한 결합에 의하여 본래의 현저한 지리적 명칭 등을 떠나 새로운 관념을 낳거나 새로운 식별력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위 법조항의 적용이 배제된다. 한편 출원상표가 상표법 제6조 제1항 각 호의 식별력 요건을 갖추고 있는지 여부에 관한 판단의 기준 시점은 원칙적으로 상표에 대하여 등록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 시이고, 거절결정에 대한 불복 심판에 의하여 등록 허부가 결정되는 경우에는 심결 시이다. [2] 특허청 심사관이 지정상품을 농산물이유식 등으로 하는 “”로 구성된 출원상표가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4호, 제7호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상표등록을 거절하는 결정을 한 사안에서, 위 출원상표는 현저한 지리적 명칭인 ‘서울’과 흔히 있는 명칭인 ‘대학교’가 불가분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단순히 ‘서울에 있는 대학교’라는 의미가 아니라 ‘서울특별시 관악구 등에 소재하고 있는 국립종합대학교’라는 새로운 관념이 일반 수요자나 거래자 사이에 형성되어 충분한 식별력을 가지므로 위 지정상품에 대한 상표등록이 허용되어야 한다고 본 원심판단에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상표법 제6조 제1항 / [2]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4호, 제7호, 제2항

참조판례

[1] 대법원 2012. 4. 13. 선고 2011후1142 판결(공2012상, 811), 대법원 2012. 12. 13. 선고 2011후958 판결(공2013상, 193)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소송대리인 특허법인 아주양헌 담당변리사 정은섭 외 1인) 【피고, 상고인】 특허청장 【원심판결】 특허법원 2014. 9. 18. 선고 2014허2092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4호는 현저한 지리적 명칭·그 약어 또는 지도만으로 된 상표는 등록을 받을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표는 그 현저성과 주지성 때문에 상표의 식별력을 인정할 수 없어 어느 특정 개인에게만 독점사용권을 부여하지 않으려는 데 그 규정의 취지가 있다. 이에 비추어 보면,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4호의 규정은 현저한 지리적 명칭 등이 다른 식별력 없는 표장과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기는 하나, 그러한 결합에 의하여 본래의 현저한 지리적 명칭 등을 떠나 새로운 관념을 낳거나 새로운 식별력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위 법조항의 적용이 배제된다(대법원 2012. 12. 13. 선고 2011후958 판결 등 참조). 한편 출원상표가 상표법 제6조 제1항 각 호의 식별력 요건을 갖추고 있는지 여부에 관한 판단의 기준 시점은 원칙적으로 상표에 대하여 등록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 시이고, 거절결정에 대한 불복 심판에 의하여 등록 허부가 결정되는 경우에는 그 심결 시이다(대법원 2012. 4. 13. 선고 2011후1142 판결 등 참조). 2. 원심은, (1) 판시와 같은 사실관계에 의하여 알 수 있는 사정들에 비추어 보면, 지정상품을 농산물이유식 등 원심 별지 기재 지정상품으로 하고 “”로 구성된 이 사건 출원상표(출원번호 생략)는 현저한 지리적 명칭인 ‘서울’과 흔히 있는 명칭인 ‘대학교’가 불가분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단순히 ‘서울에 있는 대학교’라는 의미가 아니라 ‘서울특별시 관악구 등에 소재하고 있는 국립종합대학교’라는 새로운 관념이 일반 수요자나 거래자 사이에 형성되어 충분한 식별력을 가지므로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4호, 제7호에 모두 해당하지 아니하여, 위 각 지정상품에 대한 상표등록이 허용되어야 하며, (2)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4호, 제7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이상, 상표법 제6조 제2항에 의하여 각 지정상품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사용에 의한 식별력을 취득하였는지 여부를 별도로 따질 필요가 없다는 취지로 판단하였다. 3. 원심판결 이유를 적법하게 채택된 증거들을 비롯한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위와 같은 원심의 판단은 앞서 본 법리에 기초한 것으로서,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지정상품에 관한 상표의 식별력 판단과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4호, 제7호 및 제2항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아니하는 등의 위법이 없다. 피고가 상고이유에서 들고 있는 대법원판결은 이 사건과 사안이 다르므로, 이 사건에 원용하기에 적절하지 아니하다. 4.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소영(재판장) 이인복 김용덕(주심) 고영한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미국 지명 들어간 대학교 이름, 상표등록 될까?

미국에 있는 대학교가 'AMERICAN UNIVERSITY'라는 이름으로 한국에서 상표등록을 할 수 있는지 여부가 쟁점이었으며, 대법원은 등록을 허용했습니다. 'AMERICAN'과 'UNIVERSITY'는 각각 지리적 명칭과 기술적 표현이지만, 결합하여 해당 대학교를 특정하는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식별력을 갖게 되었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미국 대학교#상표등록#AMERICAN UNIVERSITY#지리적 명칭

특허판례

도시, 의류 상표에서 흔한 단어?! "CITY"는 식별력이 없다?

의류 상표에서 'CITY'처럼 흔히 쓰이는 단어는 식별력이 약해서 상표의 핵심으로 보기 어렵고, 따라서 'CityLine'과 'CITY NOBLE'은 유사한 상표가 아니라는 판결.

#상표#유사성#CITY#식별력

특허판례

'아카데미' 상표, 서적에 써도 될까? 품질표시만으로 볼 수 없다!

"아카데미"라는 상표는 서적, 어학 학습 교재 등에 사용될 경우 상품의 품질만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므로 상표 등록이 가능하다.

#상표#아카데미#등록가능#품질표시

특허판례

상표 "3-NITRO", 상품의 보통 명칭 아니다!

화학물질 명칭이 포함된 "3-NITRO" 상표가 상품의 보통 명칭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상품 출처를 구분할 수 있는 식별력이 있는지 여부가 쟁점이 된 사건에서, 대법원은 "3-NITRO"가 보통 명칭이 아니며 식별력도 있다고 판단하여 상표 등록을 허용했습니다.

#3-NITRO#상표#등록#보통명칭

특허판례

SK 선키스트, SK유통 상표권 분쟁 승소! 상표 유사성 판단은 어떻게?

상표의 일부인 'SK' 부분만으로는 상표의 유사성을 판단할 수 없으며, 'sk Sunkist'와 도형이 포함된 'SK유통' 상표는 전체적인 호칭과 관념이 달라 유사하지 않다고 판결.

#상표#유사성#SK#sk Sunkist

특허판례

한국어 상표와 영어 상표, 과연 같을까요? 상표권 분쟁 이야기

"한국리서어치"라는 회사가 기존 상표 "(주) 한국 리서어치(HANKOOK RESEARCH)"와 유사한 영어 번역 "(주) 코리아 리서어치(KOREA RESEARCH CO. LTD)"를 연합상표로 등록하려 했는데, 특허청은 거절했지만 대법원은 이를 뒤집고 등록을 허용했습니다.

#한국어 상표#영어 번역#연합상표#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