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무효(상)

사건번호:

2014후2764

선고일자:

2015032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특허

사건종류코드:

400106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선등록상표 “”의 등록권리자이고 선출원상표 “”의 출원인인 甲 주식회사가 등록상표 “”의 등록권리자인 乙 주식회사를 상대로 등록상표가 선등록상표 및 선출원상표와의 관계에서 상표법 제7조 제1항 제7호, 제8조 제1항에 해당한다며 등록무효심판을 청구하였으나 특허심판원이 청구를 기각한 사안에서, 등록상표는 상표법 제7조 제1항 제7호 및 제8조 제1항에 해당하여 등록무효사유가 있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상표법 제7조 제1항 제7호, 제8조 제1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주식회사 엠유스포츠 (소송대리인 특허법인 태평양 담당변리사 임유근 외 1인) 【피고, 상고인】 주식회사 엠유에스앤씨 (소송대리인 특허법인 에이아이피 담당변리사 이수완 외 5인) 【원심판결】 특허법원 2014. 11. 21. 선고 2014허4517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문자와 문자 또는 문자와 도형 등이 결합된 상표는 상표를 구성하는 전체에 의하여 생기는 외관, 호칭, 관념을 기준으로 하여 상표의 유사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원칙이나, 그 결합관계 등에 따라서는 ‘독립하여 자타 상품을 식별할 수 있는 구성 부분’만으로도 거래될 수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그 부분을 분리·추출하여 그로부터 생기는 호칭 또는 관념을 기준으로 상표의 유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표의 일부 구성 부분이 독립하여 자타 상품을 식별할 수 있는 부분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그 부분이 지니고 있는 관념, 지정상품과의 관계, 거래사회의 실정 등을 감안하여 객관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대법원 2014. 6. 26. 선고 2012다12849 판결 등 참조). 2.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채용 증거들을 종합하여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오른쪽 표의 윗 부분과 같이 구성된 이 사건 등록상표(상표등록번호 생략) 중 “” 부분은 그 지정상품과 관련하여 독립하여 자타 상품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력이 있는 요부에 해당한다고 판단하고, 그 요부에 해당하는 “”와 (오른쪽 표의 중간 부분 및 아랫 부분과 같이 구성된) 선등록상표 및 선출원상표를 대비하면, 색채나 “?”의 유무 등에서 외관의 차이가 있으나, 모두 “엠유에스”로 호칭되어 전체적으로 표장이 유사하므로, 이 사건 등록상표는 상표법 제7조 제1항 제7호 및 제8조 제1항에 해당하여 등록무효사유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위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이러한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상표의 유사 여부 판단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는 등의 위법이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인복(재판장) 김용덕 고영한(주심) 김소영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골프용품 상표권 침해, 유사상표 판단은 어떻게?

골프용품 회사 A가 자사 상표와 유사한 상표를 사용한 B회사를 상대로 상표권 침해 소송을 제기한 사건에서, 대법원은 일부 표장에 대해서는 B회사의 상표가 A회사 상표와 유사하여 혼동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고 판단하고 원심 판결을 파기환송했습니다.

#골프용품#상표권 침해#상표 유사#혼동 우려

특허판례

먼저 등록된 비슷한 상표가 있다면? 내 상표는 무효?

나중에 등록된 상표라도, 등록 당시 유사한 선출원 상표가 거절된 상태였다면 유효하지만, 선출원 상표가 권리 포기로 소멸된 *이후*에 등록된 것이라면 무효입니다.

#유사상표#선출원#등록무효#권리포기

특허판례

비슷한 상표, 무조건 안 된다고? 유사상표 판단 기준 알아보기

두 상표/서비스표에 비슷한 부분이 있더라도 전체적인 느낌이 다르고 소비자가 헷갈릴 가능성이 없다면 유사 상표로 볼 수 없다.

#유사상표#전체적 인상#소비자 혼동#등록무효심판

특허판례

선등록된 연합상표와 유사한 상표는 등록 무효!

이미 등록된 두 개의 상표를 합친 것과 유사한 상표는 소비자 혼동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등록이 무효라는 판결.

#상표 등록 무효#연합상표#유사상표#소비자 혼동

특허판례

비슷한 상표, 누구 거야? 상표 유사 판단 기준

발음이 비슷한 상표는 상품 종류가 같거나 비슷할 경우, 소비자가 상품 출처를 혼동할 수 있으므로 유사상표로 본다는 대법원 판결.

#유사상표#호칭#발음#소비자 혼동

특허판례

상표권 침해? 비슷한 상표는 안돼요!

출원상표 ""가 기존 상표 ""와 유사하며, 지정상품도 유사하여 상표 등록이 거절된 사례입니다. 단순히 앞에 다른 단어가 추가되었다고 해서 유사하지 않다고 볼 수 없으며, 지정상품이 기계류라는 큰 범주에서 유사하다면 세부적인 용도 차이가 있어도 혼동을 일으킬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상표유사성#상표등록거절#지정상품유사#혼동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