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당이득금반환

사건번호:

2015다57645

선고일자:

201801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사립학교법에 의하여 설립된 학교법인 또는 사립학교에 근무하는 사무직원의 보수·복무 등 근로조건에 관한 사항이 근로기준법의 적용을 받는지 여부 및 근로자가 지급을 청구할 수 있는 임금의 의미와 범위 [2] 단체협약 등을 통해 임금인상의 일환으로 사립학교교직원 연금법상 개인부담금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학교법인이 부담하기로 정한 경우, 학교법인이 이를 직접 납부할 의무를 부담하게 되는지 여부(적극) 및 이 경우 학교법인이 자신이 납부하여야 할 개인부담금을 교비에서 지급하였다는 사정만으로 단체협약이 무효라거나 교직원이 학교법인에 대한 관계에서 개인부담금 상당액을 부당이득하였다고 볼 수 있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1] 사립학교법에 의하여 설립된 학교법인 또는 사립학교에 근무하는 사무직원의 근무관계는 본질적으로 사법상의 고용계약관계이므로, 이러한 교직원의 보수·복무 등 근로조건에 관한 사항 중 사립학교교직원 연금법에서 정하고 있는 퇴직 시의 급여 등을 제외한 사항은 근로기준법의 적용을 받는다. 근로자가 지급을 청구할 수 있는 임금은 근로기준법 제2조에서 규정하는 임금을 의미하므로, 사용자가 근로의 대가로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일체의 금원으로서, 근로자에게 계속적·정기적으로 지급되고 그 지급에 관하여 단체협약, 취업규칙, 급여규정, 근로계약, 노동관행 등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지급의무가 지워져 있다면 명칭 여하를 불문하고 모두 이에 포함된다. [2] 사립학교교직원 연금법(이하 ‘사학연금법’이라고 한다)에서 급여에 드는 비용인 부담금 중 개인부담금을 교직원이 부담하도록 정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단체협약 등을 통해 임금인상의 일환으로 사학연금법상 개인부담금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학교법인이 부담하기로 정하였다면 학교법인은 이를 직접 납부할 의무를 부담하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 만약 학교법인이 위와 같이 자신이 납부하여야 할 개인부담금을 교비에서 지급하였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사정만으로 위와 같은 단체협약이 무효라거나 교직원이 학교법인에 대한 관계에서 개인부담금 상당액을 부당이득하였다고 볼 수도 없다.

참조조문

[1] 사립학교법 제70조의2 제1항, 근로기준법 제2조 제1항 제5호 / [2] 사립학교교직원 연금법 제2조 제1항 제8호, 제44조 제1항, 제45조 제1항, 사립학교법 제29조 제2항, 사립학교법 시행령 제13조 제2항 제1호, 민법 제741조

참조판례

[1] 대법원 2006. 12. 8. 선고 2006다48229 판결, 대법원 2012. 2. 9. 선고 2011다20034 판결(공2012상, 427)

판례내용

【원고(선정당사자),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학교법인 한신학원 (소송대리인 변호사 정영대) 【원심판결】 수원지법 2015. 9. 4. 선고 2014나41633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사립학교법에 의하여 설립된 학교법인 또는 사립학교에 근무하는 사무직원의 근무관계는 본질적으로 사법상의 고용계약관계이므로, 이러한 교직원의 보수·복무 등 근로조건에 관한 사항 중 사립학교교직원 연금법(이하 ‘사학연금법’이라고 한다)에서 정하고 있는 퇴직 시의 급여 등을 제외한 사항은 근로기준법의 적용을 받는다(대법원 2006. 12. 8. 선고 2006다48229 판결 등 참조). 근로자가 지급을 청구할 수 있는 임금은 근로기준법 제2조에서 규정하는 임금을 의미하므로, 사용자가 근로의 대가로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일체의 금원으로서, 근로자에게 계속적·정기적으로 지급되고 그 지급에 관하여 단체협약, 취업규칙, 급여규정, 근로계약, 노동관행 등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지급의무가 지워져 있다면 그 명칭 여하를 불문하고 모두 이에 포함된다(대법원 2012. 2. 9. 선고 2011다20034 판결 등 참조). 사학연금법상 급여에 드는 비용으로 교직원이 부담하는 금액인 개인부담금(제2조 제1항 제8호)은 교직원이 그가 임명된 날이 속하는 달부터 퇴직한 날의 전날 또는 사망한 날이 속하는 달까지 부담하되(제44조 제1항), 해당 학교기관의 장이 매월 보수에서 징수하여 보수지급일부터 3일 이내에 공단에 내야 한다(제45조 제1항). 한편, 사립학교법상 학교법인의 교비회계에 속하는 수입에 의한 지출이 허용되는 교비회계의 세출에는 학교운영에 필요한 인건비가 포함된다(사립학교법 제29조 제2항, 사립학교법 시행령 제13조 제2항 제1호). 따라서 비록 사학연금법에서 급여에 드는 비용인 부담금 중 개인부담금을 교직원이 부담하도록 정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단체협약 등을 통해 임금인상의 일환으로 사학연금법상 개인부담금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학교법인이 부담하기로 정하였다면 학교법인은 이를 직접 납부할 의무를 부담하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 만약 학교법인이 위와 같이 자신이 납부하여야 할 개인부담금을 교비에서 지급하였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사정만으로 위와 같은 단체협약이 무효라거나 교직원이 학교법인에 대한 관계에서 위 개인부담금 상당액을 부당이득하였다고 볼 수도 없다. 2. 원심은, ① 원고(선정당사자, 이하 ‘원고’라고 한다) 및 선정자들(이하 원고를 포함하여 ‘원고 등’이라고 한다)이 소속된 노동조합과 피고 사이에 이 사건 단체협약 조항을 통해 사학연금 개인부담금의 일부 또는 전부를 피고가 부담하기로 한 사실, ② 이에 따라 2005. 3.부터 2012. 10.까지 피고가 원고 등의 개인부담금을 교비로 지급한 사실, ③ 교육부장관이 2012. 12. 7.경 개인부담금의 교비지급을 금지하고 피고에게 기지급한 교비를 환수할 것을 요구한 사실, ④ 이에 따라 피고가, 2013. 3.부터 지급할 급여에서 공제하는 방식으로, 위와 같이 교비로 지급한 개인부담금 중 이 사건 공제금 상당액을 원고 등으로부터 환수한 사실 등을 인정하였다. 이어서 원심은 그 판시와 같은 이유로, 피고가 원고 등의 동의 없이 피고가 부담하였던 개인부담금을 환수한 것은 법률적 근거가 없고, 피고는 원고 등에게 이 사건 공제금을 부당이득으로 반환하여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앞서 본 법리에 따른 것으로서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사립학교법이나 탈법행위에 관한 법리 등을 오해한 잘못이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별 지] 선정자 명단: 생략] 대법관 김신(재판장) 박상옥 이기택(주심) 박정화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사립학교 사무직원도 근로기준법 보호받는다! 부당해고 시 임금은 어떻게?

사립학교 사무직원에게도 근로기준법이 적용되므로, 부당해고 시 기본급뿐 아니라 특근수당, 성과상여금 등 모든 임금을 받을 수 있다.

#사립학교#사무직원#근로기준법#부당해고

민사판례

사립학교 사무직원도 근로기준법 보호받는다! 시간외 수당, 야간 수당, 휴일 수당 모두 받을 수 있을까?

사립학교 사무직원에게도 근로기준법이 적용되므로, 정당한 시간외 근로수당, 야간근로수당, 휴일근로수당을 지급해야 한다. 격일제 근무라고 해서 예외는 아니다. 포괄임금제는 근로자에게 불이익하지 않고 정당한 경우에만 유효하다.

#사립학교#사무직원#근로기준법#시간외수당

민사판례

사립학교 직원 징계권, 누구에게 있을까? 징계와 관련된 3가지 쟁점 해설

사립학교 직원에 대한 징계권은 법 개정으로 학교법인에 있으며, 징계위원회 구성에 대한 합의는 중재 재정서에 명시되어야 효력이 있고, 징계 이후 유죄 판결은 징계 정당성 판단에 참작될 수 있다.

#사립학교#징계권#학교법인#징계위원회 구성

민사판례

사립학교 교원 임용계약, 그 진실은?

사립학교 교원 임용계약은 사립학교법 절차를 따르지만, 그 본질은 일반적인 고용계약과 같아서 계약의 무효·취소, 조건 설정 등 민법상 계약 규정이 적용된다.

#사립학교#교원#임용계약#사법상 고용계약

일반행정판례

사립학교 교장도 '교원'일까요? 사립학교법 적용 범위에 대한 법원의 판단

사립학교법에서 '교원'이라는 단어는 특별한 예외 규정이 없는 한 교장도 포함한다. 따라서 교원의 임면 절차 등을 규정한 사립학교법 제54조도 교장에게 적용된다.

#사립학교#교원#교장#사립학교법 제54조

일반행정판례

군인연금 받으면서 사립학교 교원으로 일하면 연금 끊기나요? (1988년 개정 군인연금법 관련)

1988년 군인연금법 개정으로 사립학교 교원으로 일하면서 군인연금을 받는 경우 연금 지급이 정지될 수 있게 되었는데, 법 개정 *전부터* 사립학교 교원으로 일하던 사람은 바뀐 법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판결. 단, 법 개정 전에 *정식*으로 임용된 교원만 해당.

#군인연금#사립학교 교원#연금 지급 정지#법 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