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자산업법위반

사건번호:

2016도17437

선고일자:

2017030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자신이 공급받은 종자의 포장을 뜯거나 열어서 나누어 포장한 뒤 배송하는 방식으로 인터넷을 통해 다수인에게 판매하는 행위를 업으로 하는 경우, 다시 포장하는 방식이 규격화되어 있지 않고 주문받은 바에 따라 달라져도 종자산업법 제2조 제8호에서 정한 ‘종자업’에 해당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종자산업법(2016. 12. 27. 법률 제1448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조, 제2조 제8호, 제37조 제1항, 제54조 제5호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노세연 【원심판결】 서울동부지법 2016. 10. 6. 선고 2016노558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종자산업법에서 고품질 종자의 유통·보급을 통한 농림업의 생산성 향상 등을 도모하고 관련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해 종자보증제도와 품질표시제도를 두고 있는 점, 종자산업법의 입법 목적, 종자를 다시 포장하여 판매하는 행위를 종자업으로 규정하게 된 경위 등에 비추어 보면, 자신이 공급받은 종자의 포장을 뜯거나 열어서 나누어 포장한 뒤 배송하는 방식으로 인터넷을 통해 다수인에게 판매하는 행위를 업으로 하는 경우, 다시 포장하는 방식이 규격화되어 있지 않고 주문받은 바에 따라 달라진다고 하더라도 종자산업법 제2조 제8호에서 정한 종자업에 해당한다. 원심은 판시와 같은 사정을 들어, 피고인이 종자산업법에 따른 등록을 하지 아니한 채 인터넷을 통해 불특정 다수인을 상대로 다수의 종자를 대량 포장된 것에서 개별 소량으로 다시 포장하여 판매하는 행위를 업으로 함으로써 무등록 종자업을 하였다고 판단하였다. 앞서 본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종자산업법 제2조 제8호의 종자를 다시 포장하여 판매하는 행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기택(재판장) 김용덕 김신(주심) 김소영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대마 씨앗, 마약 판매일까? 아니일까?

껍질이 붙어있는 대마초 씨앗을 사고파는 것은 대마 매매로 처벌할 수 없다.

#대마초 씨앗#매매#불법 아님#무죄

상담사례

씨앗, 제대로 안 자라면 보상 받을 수 있을까? 🌱 (종자 하자 판단 기준)

씨앗 하자 판단 기준은 특별한 품질 보증이 없다면 일반적인 재배 환경에서 평균적인 수확을 기대할 수 있는 품질인지 여부다.

#씨앗#하자#보상#합리적 기대

민사판례

훔친 종자, 영업비밀 침해로 인정될까? - 부정경쟁방지법 위반 사례

남의 영업비밀이 담긴 자료를 훔치거나 속여서 빼내는 등 부정한 방법으로 얻었다면, 그 자료를 실제로 사용하지 않았더라도 영업비밀을 '취득'한 것으로 인정된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영업비밀#부정취득#대법원#부정경쟁행위

형사판례

PC방 명의, 종업원 앞으로 해도 괜찮을까?

PC방 사업자가 자신의 PC방을 종업원 명의로 등록했더라도, 실제로 등록이 완료되었다면 미등록 PC방 영업으로 처벌할 수 없다. PC방 등록은 장소에 대한 허가이기 때문이다.

#PC방#명의대여#종업원#등록

민사판례

씨앗에 문제가 있으면 누구 책임일까요? 품종 특성과 재배 주의사항에 대한 이야기

농민이 씨앗을 심었는데 수확이 잘 안 됐습니다. 씨앗 회사가 씨앗의 특징과 주의사항을 제대로 알려주지 않아서 생긴 문제라고 주장했지만, 법원은 회사가 충분히 설명 의무를 다했다고 판단했습니다.

#씨앗 하자#종묘업자#설명 의무#수확량 감소

형사판례

벌꿀 소분 판매, 신고해야 할까요?

신고 없이 벌꿀을 소분하여 판매하는 것은 식품위생법 위반이다. 직접 채취한 벌꿀을 소분 판매하는 양봉업자는 예외이지만, 그 외의 경우는 반드시 신고해야 한다.

#벌꿀#소분판매#신고의무#식품위생법 위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