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권이전등기

사건번호:

2017다253522

선고일자:

2019071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필의 토지의 일부를 특정하여 양도받고 편의상 그 전체에 관하여 공유지분등기가 경료된 후 특정 부분이 전전 양도되고 그에 따라 공유지분등기도 전전 경료된 경우, 최초 양도인과 특정 부분의 최후 양수인 사이의 법률관계 및 구분소유적 공유관계를 주장하여 특정 토지 부분을 취득했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주장·증명하여야 할 내용

판결요지

참조조문

민법 제103조[명의신탁], 민사소송법 제288조

참조판례

대법원 2015. 2. 12. 선고 2012다103813 판결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원고 1 외 1인 (소송대리인 변호사 백성욱) 【피고, 상고인】 대한민국 (소송대리인 정부법무공단 담당변호사 조철호 외 3인) 【원심판결】 부산지법 2017. 7. 21. 선고 2017나41542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부산지방법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1필의 토지의 일부를 특정하여 양도받고 편의상 그 전체에 관하여 공유지분등기를 경료한 경우에는 상호명의신탁에 의한 수탁자의 등기로서 유효하고, 그 특정 부분이 전전 양도되고 그에 따라 공유지분등기도 전전 경료되면 상호명의신탁한 지위도 전전 승계되어 최초의 양도인과 그 특정 부분의 최후의 양수인과의 사이에 명의신탁 관계가 성립하지만, 이러한 구분소유적 공유관계는 부동산의 위치와 면적을 특정하여 2인 이상이 구분소유하기로 하는 약정이 있어야만 적법하게 성립할 수 있으므로, 구분소유적 공유관계를 주장하여 특정 토지 부분을 취득했다고 주장하는 사람은 구분소유약정의 대상이 되는 해당 토지의 위치뿐만 아니라 면적까지도 주장·증명해야 한다(대법원 2015. 2. 12. 선고 2012다103813 판결 참조). 2. 가. 원심은 그 판시와 같은 이유로 부산 사하구 (주소 1 생략) 전 258㎡ 및 (주소 2 생략) 대 1,061㎡(이하 통틀어 ‘이 사건 각 토지’라고 한다) 중 원심 별지 도면 표시 ㉰ 부분 91㎡, ㉳ 부분 317㎡를 원고 1 소유로, 같은 도면 표시 ㉮ 부분 166㎡, ㉲ 부분 119㎡, ㉵ 부분 3㎡를 원고 2 소유로, 같은 도면 표시 ㉯ 부분 1㎡, ㉱ 부분 83㎡, ㉴ 부분 539㎡를 피고 소유로 하는 구분소유적 공유관계가 성립하였다고 판단하였다. 나. 그러나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그대로 수긍하기 어렵다. 1) 원심판결 이유와 기록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가) 원고 1은 위 ㉰ 부분 91㎡, ㉳ 부분 317㎡를 점유하고 있고, 원고 2는 위 ㉮ 부분 166㎡, ㉲ 부분 119㎡, ㉵ 부분 3㎡를 점유하고 있는데, 원고들은 자신들이 점유하고 있는 부분을 특정하여 매수하였다고 주장한다. 나) 등기부상 원고 1의 지분에 상응하는 면적은 154.554㎡, 원고 2의 지분에 상응하는 면적은 269.711㎡인데, 원고 1이 점유하고 있는 면적은 408㎡, 원고 2가 점유하고 있는 면적은 288㎡로 상당한 차이가 있다. 다) 원고들은 자신들이 점유하고 있는 부분을 특정하여 매수하였음을 인정할 수 있는 매매계약서 등 객관적인 증거자료를 제출하지 않았다. 라) 원고 1은 1985. 5. 17. 부산 사하구 (주소 1 생략) 지상 시멘트 블록조 스레트지붕 단층주택 115.25㎡에 관하여 소유권보존등기를 마쳤다. 그런데 원고 1은 그로부터 5년가량이 지난 1990. 5. 31.이 되어서야 이 사건 각 토지에 관한 지분을 취득하였는바, 원고 1이 위 주택과 함께 그 부지를 매수하였다고 단정할 수 없다. 마) 원고 2는 ㉠ 부산 사하구 (주소 1 생략) 지상 블록조 스레트지붕 단독주택 1층 66.93㎡(이하 ‘㉠ 주택’이라고 한다), ㉡ 같은 지상 블럭조 스레트지붕 단층 단독주택 61.6㎡(이하 ‘㉡ 주택’이라고 한다)를 소유하고 있다. 그런데 원고 2가 취득한 이 사건 각 토지에 관한 지분은 2011. 8. 5. 이전까지는 4인이 나누어 보유하고 있었고, 그중 2인은 ㉠, ㉡ 주택의 소유자가 아니었는바, 원고 2가 소유하고 있는 이 사건 각 토지에 관한 지분이 ㉠, ㉡ 주택의 부지 부분을 표상하는 것이라고 단정할 수 없다. 바) 피고는 2007. 8.경부터 부산 사하구 (주소 1 생략) 전 258㎡에 관하여 원고 1이 그 지분을 초과하여 점유하고 있는 면적에 대해 변상금을 부과해 왔는데, 원고 1은 별다른 이의를 제기하지 아니한 채 변상금을 납부하여 왔다. 2) 위와 같은 사실관계를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이 사건 각 토지의 공유자들 사이에 원고들이 주장하는 형태의 구분소유적 공유관계가 성립한 사실이 증명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다. 그럼에도 원심은 원고들과 피고 사이에 원고들이 주장하는 형태의 구분소유적 공유관계가 성립하였다는 전제하에 피고로 하여금 원고들이 점유하고 있는 부분에 관하여 상호명의신탁해지를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절차를 이행할 것을 명하였다. 이러한 원심판결에는 구분소유적 공유관계의 성립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나머지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 주장은 이유 있다. 3. 결론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선수(재판장) 권순일 이기택(주심) 박정화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땅 일부만 샀는데 전체 지분 등기했다면? 나머지 땅은 어떻게 될까?

한 필지 토지의 일부만 사고팔았지만, 편의상 전체 토지 지분에 대한 등기를 했다가 나중에 토지를 나누고 그중 일부에 대한 명의신탁을 해소했더라도, 나머지 토지의 명의신탁까지 자동으로 해소되는 것은 아니다.

#토지#명의신탁#일부매매#지분등기

민사판례

땅 일부만 팔았는데, 등기는 전체가 넘어갔다면?

등기부상 분할되지 않은 토지의 일부만 매도했지만 전체 토지에 대한 소유권 이전등기를 했을 경우, 매도하지 않은 부분은 명의신탁으로 간주되며, 이후 제3자가 전체 토지를 매수하고 등기를 마치면 그 제3자는 전체 토지에 대한 유효한 소유권을 갖게 된다.

#토지 일부 매도#전체 등기#명의신탁#제3자 소유권 취득

민사판례

땅 일부만 팔았는데 전체 소유권이 넘어갔다면? 명의신탁일 가능성 높아!

땅의 일부만 팔기로 했는데, 땅 분할 없이 전체 땅의 소유권이 넘어갔다면 팔지 않은 땅 부분에 대해서는 명의신탁으로 본다는 판례입니다.

#토지 일부 매매#전체 소유권 이전#명의신탁#판례

민사판례

땅 일부만 사고 전체 지분 등기했을 때, 진짜 주인은 누구?

한 필지의 일부만 사고팔았지만, 편의상 전체 지분에 대해 공동 소유 등기를 했다면, 이는 명의신탁으로 인정되며, 그 일부 지분이 다른 사람에게 다시 팔리면 명의신탁 관계도 함께 넘어간다는 판결입니다.

#토지#일부양도#지분등기#명의신탁

민사판례

땅 일부만 사고 싶었는데, 지분등기는 왜 전체 면적으로 했을까? - 구분소유적 공유와 명의신탁

토지의 일부만 사고팔았더라도 등기 편의상 전체 지분에 대해 공유지분등기를 했다면, 실제로 사고판 땅 부분에 대해서는 명의신탁과 구분소유가 성립한다는 판결입니다. 즉, 등기부상에는 전체 지분을 공유하는 것처럼 보여도 실제 매매 목적은 특정 부분이었으므로, 그 부분에 대해서는 명의신탁과 구분소유가 인정된다는 것입니다. 특히 이러한 구분소유적 공유관계는 경매를 통해 지분을 취득한 경우에도 그대로 유지됩니다.

#토지 일부 매매#지분등기#명의신탁#구분소유

민사판례

땅 지분, 잘못 등기해도 괜찮을까? 그리고 내 땅을 지키려면 어떤 소송을 해야 할까?

땅 일부를 살 때 편의상 전체 땅에 대한 지분으로 등기했더라도 실제 면적과 지분 비율이 달라도 등기는 유효하며, 다른 사람의 권리 관계를 확인하는 소송은 자신의 권리에 직접적인 위협이 있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토지#지분등기#면적 불일치#명의신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