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료부과처분취소청구의소

사건번호:

2017두31248

선고일자:

201704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甲 시가 국유재산인 토지 상에 근로자 종합복지관 등을 건축하여 점유·사용하고 있다는 이유로 해당 국유지의 관리청인 乙 시가 사용료 부과처분을 한 사안에서, 乙 시가 甲 시에 국유재산에 대한 사용료 또는 점용료를 부과하기 위해서는, 乙 시가 甲 시에 국유재산의 점용·사용을 허가하였거나 그에 관한 협의 또는 승인이 있었던 경우라야 한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甲 시가 국유재산인 토지 상에 근로자 종합복지관 등을 건축하여 점유·사용하고 있다는 이유로 해당 국유지의 관리청인 乙 시가 사용료 부과처분을 한 사안에서, 구 국유재산법(2016. 3. 2. 법률 제1404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2조 제1항에 의하면 행정재산을 사용허가한 때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요율과 산출방법에 따라 매년 사용료를 징수하고,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 제13조 제1항에 의하면 공유수면관리청은 점용·사용허가나 공유수면의 점용·사용협의 또는 승인을 받은 자로부터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매년 공유수면 점용료 또는 사용료를 징수하여야 하므로, 乙 시가 甲 시에 국유재산에 대한 사용료 또는 점용료를 부과하기 위해서는 乙 시가 甲 시에 국유재산의 점용·사용을 허가하였거나 그에 관한 협의 또는 승인이 있었던 경우라야 함에도, 점용·사용허가 등이 있었는지에 관하여 심리하지 아니한 채 오히려 甲 시가 국유재산에 관한 점용·사용허가를 받지 않고 이를 점유·사용하고 있다고 보면서도 사용료 부과처분이 적법하다고 본 원심의 판단에 법리를 오해하여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아니한 잘못이 있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구 국유재산법(2016. 3. 2. 법률 제1404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2조 제1항,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 제13조 제1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서울특별시 (소송대리인 법무법인(유한) 한결 담당변호사 김장식) 【피고, 피상고인】 광명시장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일원송헌 담당변호사 김용준 외 1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16. 11. 29. 선고 2016누62339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상고이유서 제출기간이 지난 후에 제출된 상고이유보충서 등의 기재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범위 내에서)를 판단한다. 1. 원심은 그 판시와 같이, 원고가 이 사건 제1, 2국유재산에 관하여 적법한 절차에 따라 점용·사용허가를 받지 않은 채 그 지상에 이 사건 시설을 건축하여 점유·사용하고 있는 이상, 원고가 피고로부터 이 사건 제1, 2국유재산에 관하여 묵시적으로 무상 사용수익허가를 받았다고 할 수는 없다는 등의 이유로 이 사건 각 사용료 부과처분이 적법하다고 판단하였다. 2. 그러나 원심의 이러한 판단은 아래와 같은 이유로 받아들이기 어렵다. 구 국유재산법(2016. 3. 2. 법률 제1404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2조 제1항에 의하면 행정재산을 사용허가한 때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요율과 산출방법에 따라 매년 사용료를 징수하고,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 제13조 제1항에 의하면 공유수면관리청은 점용·사용허가나 공유수면의 점용·사용협의 또는 승인을 받은 자로부터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매년 공유수면 점용료 또는 사용료를 징수하여야 한다. 따라서 피고가 원고에게 이 사건 제1, 2국유재산에 대한 사용료 또는 점용료를 부과하기 위해서는, 피고가 원고에게 제1, 2국유재산의 점용·사용을 허가하였거나 그에 관한 협의 또는 승인이 있었던 경우라야 한다. 그럼에도 원심은 이러한 점용·사용허가 등이 있었는지에 관하여 심리하지 아니한 채, 오히려 원고가 제1, 2국유재산에 관한 점용·사용허가를 받지 않고 이를 점유·사용하고 있다고 보면서도 이 사건 각 사용료 부과처분이 적법하다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원심의 판단에는 국유재산 및 공유수면 사용에 대한 사용료 부과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아니함으로써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 3. 그러므로 나머지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을 생략한 채,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상옥(재판장) 김창석 조희대(주심)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국유지 사용료와 법정지상권에 대한 대법원 판결 해설

국가 소유 땅을 사용할 때 내는 사용료 부과는 국가의 공권력 행사이므로 행정처분에 해당하고, 만약 관습법상 법정지상권이 성립된 경우에는 사용료(지료)를 법원에서 결정한다.

#국유재산#사용료#행정처분#관습법상 법정지상권

민사판례

국유지·공유지 사용료 미납, 건물 철거,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국가나 지자체 소유의 일반 공유재산을 빌려 쓰고 대부료를 안 냈을 때, 그리고 허가 없이 공유재산에 시설물을 설치했을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일반 민사소송을 제기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관련 법률에 따라 행정적인 절차를 통해 해결해야 합니다.

#공유재산#대부료#불법시설물#철거

민사판례

공영주택 아파트 부지 점유, 부당이득일까?

서울시가 국가 소유 땅에 공영 아파트를 짓고 분양했는데, 나중에 국가가 토지 사용료를 내라고 소송을 걸었지만 대법원은 아파트 주민들이 사용료를 낼 필요가 없다고 판결했습니다.

#국유지#공영아파트#토지사용료#분쟁

일반행정판례

광명역 복합환승시설, 점용료 내야 할까? 공공시설 무상귀속에 대한 오해와 진실

광명역 복합환승시설 건설 사업에서, 새로 지어진 환승시설이 국가에 무상으로 귀속되는지, 그리고 사업시행자가 해당 부지에 대한 점용료를 내야 하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대법원은 환승시설이 무상귀속 대상이 아니며, 사업시행자는 점용료를 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광명역#복합환승시설#무상귀속#점용료

일반행정판례

바다도 함부로 쓸 수 없다? 공유수면 점용료에 대한 오해와 진실!

바다나 강처럼 국가 소유인 공유수면을 사용할 허가를 받으면, 실제로 사용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사용료를 내야 한다.

#공유수면#점사용료#납부의무#실사용여부무관

일반행정판례

공유지 불법 점유, 누구에게 책임을 물어야 할까?

허가 없이 공유지를 점유한 사람에게 땅을 빌려서 사용한 경우, 실제 사용자에게 변상금을 부과할 수 있다.

#변상금#공유지#무단점유#실제 사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