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중앙전공사망심사결정취소

사건번호:

2017두42521

선고일자:

2017082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행정청의 어떤 행위가 항고소송의 대상이 될 수 있는지 결정하는 방법 [2] 군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가 총기 사고로 사망한 甲의 아들에 대하여 내무부조리와 지휘관 등의 관리 소홀이 중요한 원인이 되어 사망하였다는 내용의 진상규명결정을 하자 甲이 국방부 중앙전공사망심사위원회에 사망구분재심사를 요청하였으나 망인이 순직요건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의결 결과를 통보받은 사안에서, 위 통보는 망인의 사망에 관한 사실관계를 확인해 주는 것에 불과하고 그 자체로써 망인의 유족인 甲의 권리의무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행위라고 볼 수 없다는 이유로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행정처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행정소송법 제2조 제1항 제1호 / [2] 행정소송법 제2조 제1항 제1호, 군인사법 제54조의2, 제54조의3

참조판례

[1] 대법원 2010. 11. 18. 선고 2008두167 전원합의체 판결(공2010하, 2279)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육군참모총장 【원심판결】 대전고법 2017. 4. 6. 선고 2016누11320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원고의 항소를 기각한다. 항소제기 이후의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행정청의 어떤 행위가 항고소송의 대상이 될 수 있는지의 문제는 추상적·일반적으로 결정할 수 없고, 구체적인 경우 행정처분은 행정청이 공권력의 주체로서 행하는 구체적 사실에 관한 법집행으로서 국민의 권리의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행위라는 점을 염두에 두고, 관련 법령의 내용과 취지, 그 행위의 주체·내용·형식·절차, 그 행위와 상대방 등 이해관계인이 입는 불이익과의 실질적 견련성, 그리고 법치행정의 원리와 당해 행위에 관련한 행정청 및 이해관계인의 태도 등을 참작하여 개별적으로 결정하여야 한다(대법원 2010. 11. 18. 선고 2008두167 전원합의체 판결 등 참조). 2. 가. 원심은 제1심판결 이유를 인용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을 인정하였다. ① 원고의 아들 망 소외인(이하 ‘망인’이라고 한다)은 1971. 1. 6. 육군에 입대한 후, 1971. 6. 13. 22:00경 경계근무 중 조장으로부터 질책을 받고 총기를 자신의 상복부에 발사하여 사망하였다. ② 군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는 2009. 8. 21. ‘망인은 선임병으로부터 당한 구타와 가혹행위 등 내무부조리와 이에 대한 지휘관 등의 관리 소홀이 중요한 원인이 되어 사망하였다고 인정한다’는 내용의 진상규명결정을 하였다. ③ 원고는 2014. 9. 29. 전공사상자 처리 훈령(2014. 8. 28.자 국방부훈령 제1691호, 이하 ‘이 사건 훈령’이라고 한다) 제6조에 따라 국방부 중앙전공사망심사위원회(이하 ‘심사위원회’라고 한다)에 사망구분재심사를 요청하였다. 심사위원회는 2015. 1. 8. 망인이 위 훈령 [별표 1] 전공사상분류기준표의 순직요건에 해당하지 아니한다고 의결하였고, 피고는 2015. 1. 30. 원고에게 위 의결 결과를 통보하였다(이하 ‘이 사건 통보’라고 한다). 나. 원심은 위 인정 사실을 기초로, 심사위원회의 ‘순직해당결정’을 받으면 사망일로부터 5년이 경과하여 소멸시효가 완성되었더라도 국방부가 사실상 사망보상금을 지급하고 있다거나, 실무상 별도의 심사 없이 국립묘지 안장 대상자 또는 특별진급 대상자로 인정된다는 등의 이유를 들어, 이 사건 통보가 항고소송의 대상인 처분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였다. 3. 그러나 원심의 위 판단은 아래와 같은 이유로 수긍할 수 없다. 가. ① 이 사건 훈령은 군의 전·공사상자의 구분과 확인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하고(제1조), 사망을 전사, 순직, 일반사망으로 구분하고 있으며(제3조), 각 군 참모총장이 보통전공사망심사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제3조에 따른 사망구분을 하고, 유족의 심사요청 등 일정한 경우에는 국방부장관이 중앙전공사망심사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제3조에 따른 사망구분을 하며(제6조), 각 군 참모총장은 사망이 확인되거나 구분된 때에는 일정한 경우 국가보훈처, 유족 등에게 통지하도록 정하고 있다(제8조). 그리고 2015. 6. 22. 개정된 군인사법에서는 전사자를 전사자, 순직자, 일반사망자로 구분하면서 구체적 구분기준, 방법 등에 필요한 사항을 대통령령에 위임하고 있고(제54조의2), 전공사상심사위원회에 대한 근거 규정(제54조의3)이 신설되었다. ② 한편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보훈보상대상자 지원에 관한 법률, 군인사법, 군인연금법, 국립묘지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등 사망구분과 관련된 법령에는 심사위원회의 심사에 따라 결정한다는 취지의 규정이 존재하지 아니한다. 나. 위와 같은 사실관계와 관련 법령의 내용 등을 위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망인이 국가유공자나 보훈보상대상자 요건에 해당되는지 여부나 사망보상금 지급 대상 또는 국립묘지 안장 대상자인지 여부 등은 각 관련 법령에 따라 관할 행정청이 독자적인 심사 및 판단과정을 거쳐 결정하고, 참고자료에 불과한 심사위원회의 사망구분에 기속되어야 한다고 볼 법적 근거가 없다. 따라서 이 사건 통보는 망인의 사망에 관한 사실관계를 확인해 주는 것에 불과하고, 그 자체로써 망인의 유족인 원고의 권리의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행위라고 볼 수 없으므로,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행정처분에 해당하지 아니한다(대법원 1995. 10. 12. 선고 95누7505 판결, 대법원 2015. 12. 10. 선고 2015두2390 판결 등 참조). 원심판결에는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행정처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 주장은 이유 있다. 4. 그러므로 나머지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을 생략한 채, 원심판결을 파기하되, 이 사건은 대법원이 직접 재판하기에 충분하므로 자판하기로 한다. 원고의 이 사건 소는 부적법하여 각하하여야 할 것인데, 이와 결론이 같은 제1심판결은 정당하므로, 원고의 항소는 이유 없어 기각하고, 항소제기 이후의 소송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용덕(재판장) 김신 박상옥(주심) 박정화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군 사망 사건에서 '순직' 인정 여부 통보는 행정소송 대상이 아니다.

군인 사망 후 '순직' 여부에 대한 국방부의 통보는 단순 사실 확인일 뿐, 유족의 권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행정처분이 아니므로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없다.

#군 사망#순직#국방부 통보#행정소송

일반행정판례

군인 사망보상금과 국가배상, 그리고 소송의 종류

군인 유족이 국가배상을 받은 후, 군인연금법에 따른 사망보상금 지급을 청구했으나 일부만 지급받자 국가를 상대로 당사자소송을 제기한 사건에서, 대법원은 이는 소송 형태를 잘못 선택한 것이라고 판단하고 사건을 환송했습니다. 사망보상금 지급은 행정청의 결정이 필요하며, 그 결정에 불복하는 경우 행정소송(항고소송)을 제기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군인#사망보상금#국가배상#당사자소송

민사판례

군인이 직무 수행 중 사망했을 때 국가 배상은 어떻게 될까요?

군인이 직무 수행 중 사망한 경우, 그 사망 원인이 상관의 불법행위라 하더라도 국가배상 책임을 물을 수 없다는 판례입니다. 즉, 직무와 관련된 사망은 '순직'으로 처리되어 다른 보상 절차를 따르게 됩니다.

#군인#순직#국가배상책임#불법행위

일반행정판례

군인 사망보상금과 국가배상, 그리고 소송의 종류에 대한 이야기

군 복무 중 사망한 사람의 유족이 국가배상을 받은 경우, 국가는 사망보상금에서 정신적 손해배상금까지 공제할 수 없으며, 군인연금 관련 소송은 정해진 절차(행정소송)를 따라야 한다.

#군인#사망보상금#국가배상#정신적 손해배상

민사판례

내무반 폭행 사망 사건, 국가 배상 책임은?

상급자의 폭행으로 사망한 군인의 경우, 이는 직무수행 중 발생한 사고로 볼 수 있으므로 국가배상 책임이 인정되며, 유족들은 국가유공자 및 군인연금법에 따른 보상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국가배상을 청구할 수 없다는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군내무반 폭행 사망#국가배상#순직#직무수행

일반행정판례

군 복무 중 공상과 순직 인정에 관하여

군복무 중 공상을 입고 전역한 후 그 공상으로 인해 사망한 경우에도 순직군경으로 인정될 수 있다.

#군복무#공상#전역 후 사망#순직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