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22.03.31

일반행정판례

군인 사망보상금과 국가배상, 그리고 소송의 종류

군인이 복무 중 사망하는 안타까운 사건이 발생하면 유족들은 슬픔을 극복하는 것과 동시에 법적인 문제에 직면하게 됩니다. 특히 국가배상과 군인연금 관련 보상 문제는 복잡하고 어려워 일반인이 이해하기 쉽지 않은데요, 오늘은 관련된 법적 쟁점들을 살펴보겠습니다.

1. 사망보상금과 국가배상금의 관계

군 복무 중 사망한 경우 유족은 국가에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만약 국가배상을 받았다면, 군인연금에서 지급되는 사망보상금에서 국가배상금을 공제할 수 있을까요? 이에 대해 대법원은 사망보상금 중 일실손해에 해당하는 부분, 즉 망인이 살아있었다면 벌었을 수입에 대한 보상 부분만큼만 국가배상금에서 공제할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정신적 고통에 대한 위자료 등은 공제 대상이 아닙니다. (관련 판례는 본문에 언급되어 있지 않으나, 판결 이유 중 "대법원 2018. 7. 20. 선고 2018두36691 판결 등 참조"에서 유사한 법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군인연금 관련 소송은 어떻게 해야 할까?

군인연금법에 따른 급여(사망보상금 등)를 받으려면 먼저 국방부장관 등에게 급여 지급을 청구해야 합니다. 만약 청구가 거부되거나 일부만 인정되는 경우, 바로 국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할 수는 없습니다. 먼저 국방부장관 등의 결정에 대해 항고소송을 제기하여 급여를 받을 권리를 인정받아야 합니다. 그 후에야 국가를 상대로 당사자소송을 통해 급여 지급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구 군인연금법 제10조 제1항, 제11조, 제31조 제1항, 관련 시행령 및 시행규칙 참조, 대법원 1995. 9. 15. 선고 93누18532 판결, 대법원 2010. 5. 27. 선고 2008두5636 판결 참조)

3. 소송 종류를 잘못 선택했다면?

만약 실수로 항고소송을 제기해야 할 사건을 당사자소송으로 잘못 제기했다면 어떻게 될까요? 법원은 원고의 신청에 따라 소의 변경을 허가할 수 있습니다. 즉, 당사자소송을 항고소송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행정소송법 제21조, 제42조 참조, 대법원 2016. 5. 24. 선고 2013두14863 판결 참조) 특히 원고가 고의나 중대한 과실 없이 소송 종류를 잘못 선택한 경우, 법원은 원고에게 소 변경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해야 합니다.

4. 행정처분은 언제 효력이 발생할까?

행정처분은 단순히 내부적으로 결정되었다고 해서 효력이 발생하는 것이 아닙니다. 처분의 주체, 내용, 절차와 형식 등 모든 요건을 갖추고 외부에 공식적으로 표시되어야 효력이 발생합니다. (행정소송법 제1조, 대법원 2019. 7. 11. 선고 2017두38874 판결 참조) 이 사건에서 원고에게 사망보상금 일부만 지급된 것은 내부 결재만 있었을 뿐 공식적인 처분으로 보기 어려웠습니다.

이처럼 군인 사망보상금 관련 소송은 복잡한 법적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따라서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정확한 소송 절차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 내용은 일반적인 정보 제공 목적이며, 구체적인 사안에 대해서는 법률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군인 사망보상금과 국가배상, 그리고 소송의 종류에 대한 이야기

군 복무 중 사망한 사람의 유족이 국가배상을 받은 경우, 국가는 사망보상금에서 정신적 손해배상금까지 공제할 수 없으며, 군인연금 관련 소송은 정해진 절차(행정소송)를 따라야 한다.

#군인#사망보상금#국가배상#정신적 손해배상

일반행정판례

군인 유족, 국가배상 받으면 군인연금 사망보상금 못 받을 수도 있다?

군인이 공무 중 사망하여 유족이 국가로부터 손해배상을 받았다면, 군인연금에서 지급하는 사망보상금은 받을 수 없다. 왜냐하면 군인연금법은 다른 법에 따라 국가배상처럼 같은 종류의 보상을 받은 경우, 군인연금을 이중으로 지급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가배상#군인연금#사망보상금#중복지급 금지

민사판례

군인의 사망에 대한 국가배상 책임, 다른 보상 제도가 있다면?

군인이 공무 중 사망했을 때, 유족이 국가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지, 그리고 국가유공자법 등 다른 법에 따른 보상을 받을 권리가 있다면 국가배상을 청구할 수 없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결론적으로, 다른 법에 따른 보상을 받을 권리가 있다면, 실제로 보상을 신청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국가배상은 청구할 수 없습니다.

#군인#유족#국가배상#국가유공자

민사판례

군인이 직무 수행 중 사망했을 때 국가 배상은 어떻게 될까요?

군인이 직무 수행 중 사망한 경우, 그 사망 원인이 상관의 불법행위라 하더라도 국가배상 책임을 물을 수 없다는 판례입니다. 즉, 직무와 관련된 사망은 '순직'으로 처리되어 다른 보상 절차를 따르게 됩니다.

#군인#순직#국가배상책임#불법행위

일반행정판례

군인 공상, 국가배상 받았어도 보훈급여금 받을 수 있을까?

군인 등이 공무 중 다쳐서 국가배상을 받았더라도, 보훈보상 대상자라면 보훈보상금도 받을 수 있다.

#국가배상#보훈보상금#중복수령#보훈보상대상자

상담사례

공익근무 중 사고 사망, 국가배상 받을 수 있을까?

공익근무요원은 군인이 아니므로, 다른 보상금 수령 여부와 관계없이 공익근무 중 사고 사망 시 국가배상 청구가 가능하다.

#공익근무요원#사고 사망#국가배상#군인 여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