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주명의변경절차이행청구

사건번호:

2018다239899

선고일자:

2018101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제1심판결서 정본이 적법하게 송달되지 않은 경우, 그 판결에 대한 항소기간이 진행하는지 여부(소극) [2] 甲이 乙 주식회사를 상대로 제기한 소송의 소장 부본과 제1심판결서 정본이 乙 회사의 종전 본점 소재지에서 수령권한이 없는 사람들에게 송달되는 바람에 乙 회사가 제1심법원에 소송기록의 열람, 복사를 신청한 이후에야 제1심에서 무변론 판결이 선고된 사실을 알게 되었는데, 그때로부터 2주가 지난 후에 乙 회사가 항소를 제기한 사안에서, 위 항소를 추완항소로 취급하여 위 항소가 추완항소 기간이 지난 후 제기되어 부적법하다고 본 원심판단에는 판결서 정본의 송달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잘못이 있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민사소송법 제210조 제2항, 제396조 제1항 / [2] 민사소송법 제173조 제1항, 제210조 제2항, 제396조 제1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원고 (소송대리인 변호사 홍성훈) 【피고, 상고인】 주식회사 디에이치코퍼레이션 【원심판결】 서울고법 2018. 5. 4. 선고 2017나2024128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원심은 이 사건 소장 부본과 제1심판결서 정본이 피고의 종전 본점 소재지에서 수령권한이 없는 사람들에게 송달되어, 피고가 책임질 수 없는 사유로 항소기간을 지킬 수 없었다 하더라도 2017. 4. 12. 제1심법원에 소송기록의 열람, 복사 신청을 하여 제1심의 무변론 판결이 선고된 사실을 알게 된 이상, 그때부터 2주가 지난 후에 제기된 이 사건 항소는 부적법하다고 판단하여 이를 각하하였다. 그러나 항소기간은 판결서 정본이 송달된 날부터 진행하고 판결서 송달 전에도 항소를 제기할 수 있을 따름이므로(민사소송법 제396조 제1항, 제210조 제2항), 제1심판결서 정본이 적법하게 송달되지 않았다면 그 판결에 대한 항소기간은 진행되지 않는다. 피고가 소송기록의 열람, 복사 신청을 하여 전자적 방법에 의하여 기록을 열람하면서 제1심판결서도 열람할 수 있었다고 할지라도 민사소송법에 따른 송달이 이루어져야 제1심판결서 정본의 송달 효력이 발생한다고 할 것인데 기록상 피고가 제1심판결서 정본을 수령하였다고 볼 만한 사정이 발견되지 않는다. 따라서 원심으로서는 피고에 대한 제1심판결서 정본의 송달 효력이 발생하였다고 볼 만한 사정 유무를 심리·판단할 필요가 있고, 그 송달이 없다면 이 사건 항소는 추완항소가 아니라 판결서 정본 송달 전의 항소로 취급하여야 할 것이다 그런데도 원심은 제1심판결서 정본을 수령한 사람에게 그 수령권한이 없다고 판단하면서도 피고가 전자문서로 구성된 이 사건 소송기록의 열람, 복사 신청을 한 사정만을 인정한 다음 추완항소 기간 도과로 이 사건 항소를 각하하고 말았다.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에는 판결서 정본의 송달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않은 잘못이 있고 그러한 잘못은 판결에 영향을 미쳤음이 분명하다. 이 점을 지적하는 취지의 상고이유 주장은 정당하다.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조희대(재판장) 김재형 민유숙(주심) 이동원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판결문 못 받았는데 항소기간 지났다고요? 억울합니다!

법원 판결문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다면, 항소 기간은 시작되지 않고 판결도 확정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나중에 판결문을 받고 항소하더라도 유효합니다.

#판결문#송달#항소기간#확정

민사판례

소송 서류 못 받았다고? 항소 기간 지켜야 한다!

소송 중 주소 등의 변경으로 서류를 일반적인 방법으로 전달할 수 없어 법원 게시판 등에 공고하는 '공시송달'을 한 경우, 소송 당사자는 스스로 소송 진행 상황을 확인해야 할 책임이 있습니다. 이를 게을리하여 항소 등의 기간을 놓쳤다면, '본인 책임 없는 사유'로 구제받을 수 없습니다. 또한, 타인에게 서류를 전달한 경우, 그 타인이 정말로 함께 사는 사람이었는지, 그로 인해 소송 사실을 몰랐는지 등은 소송 당사자가 입증해야 합니다.

#공시송달#기간도과#책임소재#본인입증책임

형사판례

소송 서류, 제대로 보냈나요? - 공시송달의 함정

피고인의 사무실 주소가 있음에도 확인하지 않고, 바로 공시송달(법원 게시판에 붙이는 것)로 재판 진행을 통지한 것은 잘못이며, 공시송달 후에도 충분한 시간을 주지 않고 재판을 진행한 것도 잘못이다.

#공시송달#주소확인의무#송달기간#재판무효

민사판례

회사 직원이 소송 서류 받았다면? 송달 효력 발생 시점과 상소기간 도과 책임

법원이 소송 서류를 회사 직원에게 전달하면, 그 시점에 송달 효력이 발생합니다. 본인이 직접 서류를 받지 못했거나 소송 진행 상황을 몰랐더라도 기간 내 상소하지 않으면 책임을 져야 합니다.

#송달#회사직원#효력발생#상소기간

민사판례

소송 중 주소 변경? 항소 기간 놓치면 책임은 누구에게?

소송 시작 후 주소 변경 등으로 연락이 끊겨 공시송달로 진행된 경우, 피고는 소송 진행 상황을 스스로 확인해야 할 의무가 있으며, 이를 게을리하여 판결을 몰랐다는 이유로 항소 기간을 놓친 것은 피고의 책임이다.

#공시송달#피고#주의의무#항소기간 도과

일반행정판례

주소 잘못 적어서 날아간 소송, 다시 살릴 수 있을까?

법원이 소송 서류를 잘못된 주소로 보내 송달이 안 되어 항소 기간을 놓쳤더라도, 당사자에게 책임이 없는 경우에는 구제받을 수 있다.

#잘못된 송달#항소기간 도과#구제#책임 없는 사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