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0.09.25

형사판례

소송 서류, 제대로 보냈나요? - 공시송달의 함정

법원에서 보내는 소송 서류, 제대로 받아보는 게 얼마나 중요한지 아시나요? 만약 못 받으면 재판에도 참여 못하고 불이익을 당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공시송달'은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오늘은 공시송달이 잘못된 사례를 통해 소송 서류 송달의 중요성을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피고인이 항소심 재판을 받게 되었습니다. 법원은 피고인에게 소송기록 접수 통지서 등을 보냈지만, 피고인의 주소지로 보낸 서류는 '이사불명'으로 반송되었습니다. 그러자 법원은 바로 '공시송달'로 전환하여 법원 게시판에 서류를 게시하고 재판 날짜를 통지했습니다. 피고인은 결국 재판에 출석하지 못했고, 법원은 피고인 없이 재판을 진행하여 판결을 내렸습니다.

문제점 1: 사무실 주소 확인 없이 공시송달?

공소장에는 피고인의 사무실 주소가 분명히 적혀있었습니다. 그런데 법원은 주소지로 서류가 반송되었다고 해서 바로 공시송달을 해버렸습니다. 형사소송법 제63조 제1항은 피고인의 주거, 사무소, 현재지 등을 알 수 없을 때에만 공시송달을 할 수 있다고 정하고 있습니다. 법원은 사무실 주소가 있는데도 확인조차 하지 않고 공시송달을 한 것이죠. 이는 명백한 위법입니다.

문제점 2: 너무 짧은 공시송달 기간!

법원은 공시송달로 재판 날짜를 통지하면서, 공시송달 후 5일도 지나지 않은 날짜를 재판 날짜로 잡았습니다. 형사소송법 제64조 제4항은 두 번째 이후의 공시송달은 5일이 지나야 효력이 발생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즉, 법원이 지정한 재판 날짜는 공시송달의 효력이 발생하기도 이었던 것입니다. 이 역시 위법입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위 두 가지 이유로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재판하도록 했습니다. 피고인에게 제대로 된 통지를 하지 않고 재판을 진행한 것은 심각한 절차적 위반이라고 본 것입니다. (대법원 1990.2.27. 선고 89도2619 판결)

결론

소송 절차에서 '송달'은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특히 공시송달은 최후의 수단이므로, 법원은 신중하게 판단하고 절차를 준수해야 합니다. 이 사례처럼 잘못된 공시송달은 재판의 공정성을 해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자신의 권리를 지키기 위해서는 소송 서류가 제대로 송달되었는지 꼼꼼하게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소장은 받았는데, 재판은 몰랐다고? - 발송송달의 함정

법원이 소송 관련 서류를 제대로 전달하지 않아 피고가 소송 진행 사실을 알지 못한 채 판결이 난 경우, 그 판결은 무효가 될 수 있습니다. 법원은 소장, 변론기일 통지서 등 중요 서류를 전달할 때 정해진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

#소송서류#송달절차#판결#무효

형사판례

공시송달이 잘못되면 어떻게 될까요? 항소심에서 바로잡아야 합니다!

피고인에게 제대로 연락하지 않고 공시송달로 재판을 진행한 것은 위법이며, 항소심에서는 이를 바로잡고 다시 재판해야 한다.

#공시송달#위법#항소심#재판

민사판례

공시송달로 소송 사실도 모른 채 패소했다면?

소송 상대방에게 소장 등의 서류가 공시송달로 전달되어 재판이 진행된 사실조차 모르고 패소한 경우, 상고를 통해 판결을 다시 받을 수 있다.

#공시송달#패소#상고#권리구제

형사판례

법원, 피고인 연락처 알면서도 공시송달? 절차 위반!

법원은 피고인의 주소를 모른다는 이유로 바로 공시송달을 할 것이 아니라, 연락 가능한 전화번호가 있는 경우 전화를 걸어 소재를 파악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이러한 노력 없이 공시송달 후 피고인 없이 진행된 재판은 위법이다.

#공시송달#소재파악#전화번호#위법

민사판례

소송 서류 못 받았는데 항소기간 지났다고? 억울한 사연!

회사가 재판 결과를 모르고 있다가 나중에 알게 되었더라도, 법원에서 보낸 판결문을 제대로 받지 못했다면 항소 기간은 지나지 않은 것으로 본다는 대법원 판결.

#판결문 송달#항소기간#추완항소#대법원

형사판례

공시송달,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 피고인에게 연락도 없이 재판? 이건 위법입니다!

검찰이 피고인의 전화번호를 잘못 적어서 법원이 피고인에게 제대로 연락하지 못하고 공시송달(법원 게시판에 게시하는 방법)로 재판을 진행한 경우, 이는 위법하며 판결은 무효입니다. 법원은 기록에 있는 다른 연락처를 확인하여 피고인에게 연락했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공시송달#전화번호 오류#판결 무효#소재파악 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