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호사법위반

사건번호:

2018도1629

선고일자:

2018062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변호사법 제111조 제1항에서 정한 ‘청탁 또는 알선을 한다는 명목으로’ 및 ‘알선’의 의미 / 알선과 수수한 금품 사이에 대가성이나 관련성이 있는지 판단하는 기준

판결요지

참조조문

변호사법 제111조 제1항

참조판례

대법원 2006. 4. 14. 선고 2005도7050 판결(공2006상, 833), 대법원 2007. 6. 28. 선고 2002도3600 판결(공2007하, 1195), 대법원 2008. 1. 31. 선고 2007도8117 판결(공2008상, 342), 대법원 2015. 4. 23. 선고 2014도16274 판결, 대법원 2017. 1. 12. 선고 2016도15470 판결(공2017상, 427)

판례내용

【피 고 인】 피고인 【상 고 인】 검사 【원심판결】 전주지법 2018. 1. 12. 선고 2017노1037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변호사법 제111조 제1항은 공무원이 취급하는 사건 또는 사무에 관하여 청탁 또는 알선을 한다는 명목으로 금품·향응, 그 밖의 이익을 받는 등의 행위를 처벌하는 조항으로, ‘청탁 또는 알선을 한다는 명목으로’는 ‘청탁 또는 알선을 내세우거나 이에 관하여’를 뜻한다(대법원 2006. 4. 14. 선고 2005도7050 판결 참조). ‘알선’이라 함은 ‘일정한 사항에 관하여 어떤 사람과 상대방 사이에서 중개하거나 편의를 도모하는 것’을 뜻하고, 알선행위가 과거의 것이나 정당한 직무행위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도 포함하며, 알선 명목으로 금품 등을 주고받았다면 실제로 알선행위를 하였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범죄가 성립한다(대법원 2008. 1. 31. 선고 2007도8117 판결, 대법원 2015. 4. 23. 선고 2014도16274 판결 등 참조). 그러나 금품 등은 어디까지나 청탁 혹은 알선행위의 대가라는 명목으로 주고받아야 하고, 알선과 금품 사이에 대가성이나 관련성이 있는지는 알선의 내용, 알선자와 이익 제공자 사이의 친분관계, 이익의 다과, 이익을 주고받은 경위와 시기 등 여러 사정을 종합하여 결정하여야 한다(대법원 2007. 6. 28. 선고 2002도3600 판결, 대법원 2017. 1. 12. 선고 2016도15470 판결 등 참조). 원심은 이 사건 공소사실에 대하여 범죄의 증명이 없다고 보아 이를 유죄로 판단한 제1심판결을 파기하고 피고인에게 무죄를 선고하였다. 원심판결 이유를 앞에서 본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판결이유에 불명확한 부분이 있지만, 원심의 결론은 수긍할 수 있다. 원심의 판단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변호사법 위반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 검사의 상고는 이유 없으므로 이를 기각하기로 하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창석(재판장) 조희대 김재형(주심) 민유숙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공무원 관련 사건 청탁과 단순 노무 제공, 그 차이는?

공무원의 사건/사무와 관련하여 단순히 노무를 제공하고 그 대가를 받은 것은 변호사법 위반(청탁/알선 명목 금품 수수)이 아니다.

#변호사법위반#단순노무제공#청탁알선#중개행위

형사판례

변호사의 청탁 알선과 금품 수수, 어디까지 처벌될까?

이 판례는 변호사가 누구에게 청탁할지 명확히 밝히지 않고 돈을 받더라도, 또는 정상적인 변호 활동 외의 방법으로 청탁한다는 명목으로 돈을 받으면 변호사법 위반이라는 것을 보여줍니다. 또한, 단순 편의 제공 대가가 아닌 청탁 명목이 포함된 금품 수수는 전액 변호사법 위반에 해당합니다.

#변호사#청탁알선#금품수수#변호사법위반

형사판례

공무원 알선수재, 돈 받은 게 꼭 뇌물일까?

공무원이 직무 관련 청탁을 받고 금품을 받았을 때, 그것이 '알선의 대가'인지 판단하는 기준은 단순히 시간적 선후관계가 아니라, 청탁과 금품 수수 사이에 전체적·포괄적인 대가 관계가 존재하는지 여부입니다.

#알선수재죄#대가성#전체적·포괄적 관계#청탁

형사판례

막연한 기대와 알선수재죄, 그 경계는?

단순히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자 또는 막연히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으로 금품을 제공한 경우, 구체적인 청탁이 없다면 알선수재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알선수재죄#막연한 기대#금품 제공#구체적 청탁

형사판례

공무원의 알선뇌물수수, 직무 관련성 판단은 어떻게?

이 판례는 알선뇌물수수죄가 성립하기 위해 알선 대상이 구체적으로 특정되어야 하는지, 뇌물 수수 당시 해결해야 할 현안이 존재해야 하는지, 그리고 직무 관련성과 직무 외 행위에 대한 사례가 혼재된 경우 뇌물죄 성립 여부에 대한 판단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알선뇌물수수죄#직무관련성#뇌물#신용카드

형사판례

막연한 기대감과 금품 수수, 과연 알선수재죄일까?

단순히 잘 보이려고 주고받은 돈은 알선수재죄로 처벌할 수 없다. 알선수재죄가 성립하려면, 공무원의 직무와 관련된 '구체적인' 청탁과 그 대가성이 입증되어야 한다.

#알선수재죄#성립요건#직무관련성#청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