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합격처분취소

사건번호:

2018두48199

선고일자:

201904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국가공무원 5급 공개경쟁채용시험 논술형 필기시험의 채점위원이 하는 채점행위의 법적 성질(=재량행위)

판결요지

참조조문

공무원임용시험령 제22조 제3항, 제23조 제2항, 행정소송법 제27조

참조판례

대법원 2007. 1. 11. 선고 2004두10432 판결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원고 【피고, 피상고인】 인사혁신처장 【원심판결】 서울고법 2018. 6. 5. 선고 2018누35683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논술형 시험의 채점위원은 그 시험의 목적과 내용 등을 고려하여 법령이 정하는 범위 내에서 전문적인 지식에 근거하여 그 독자적 판단과 재량에 따라 답안을 채점할 수 있다(대법원 2007. 1. 11. 선고 2004두10432 판결 참조). 2.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정들을 알 수 있다. 가. 원고는 2016년도 국가공무원 5급(기술) 공개경쟁채용시험에 응시하여 제2차 논술형 필기시험(이하 ‘이 사건 제2차 시험’이라 한다)을 거쳐 제3차 면접시험을 치렀으나, 불합격처분을 받았다. 나. 이 사건 제2차 시험 중 기계설계 과목의 제3문 2번 문제(이하 ‘이 사건 문제’라 한다)는, 레버를 3회전 시킬 때 수직방향으로 15㎜ 이동하는 사각 나사잭(screw jack)으로 5kN의 수직하중을 들어 올리려고 할 경우 최대전단응력이론 및 최대주응력이론을 이용하여 나사에 발생하는 최대응력(N/㎟)을 각각 구하라는 것이었는데, 나사 외경, 나사 유효지름, 컬러부 마찰반경, 나사면 마찰계수, 하중지지대와 컬러부 마찰계수 등이 관련 조건으로 제시되어 있었다. 다. 원고는 나사면의 마찰 등 나사부와 관련된 조건만을 고려한 방식으로 문제를 풀이하여 이 사건 문제에 배정된 점수를 얻지 못하였다. 3. 원심은 위와 같은 사실관계에 기초하여, 수험생은 나사부와 관련된 조건뿐 아니라 컬러부와 관련된 조건도 고려하라는 출제의도를 파악할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이는 점 등을 이유로 들어, 이 사건 문제의 출제의도가 불명확하므로 원고의 풀이 또한 정답으로 인정되어 점수를 받았어야 한다는 취지의 원고 주장을 배척하고, 이 사건 문제에 대한 채점 과정이 재량권을 일탈·남용한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판단하였다. 원심판결 이유를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위와 같은 원심의 판단에 논술형 시험의 채점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는 등의 잘못이 없다. 4.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상환(재판장) 박상옥 안철상(주심) 노정희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감정평가사 시험, 합격 기준은 누가 정할까?

감정평가사 시험의 합격 기준을 절대평가로 할지, 상대평가로 할지, 그리고 시험위원회 운영 방식은 행정청(건설교통부장관)의 재량에 속하며, 시험위원회 운영 규정은 국민에게 직접적인 구속력이 없다.

#감정평가사#시험#합격기준#행정청 재량

일반행정판례

세무사 시험 채점 방식과 출제 범위 논란, 법원의 판단은?

세무사 시험에서 3번의 채점 결과를 평균 내는 방식과 출제 범위에 포함되지 않은 내용을 시험 문제로 출제한 것이 적법한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법원은 채점 방식은 문제없고, 출제된 문제 역시 출제 범위 내의 관련 법률에 대한 이해를 묻는 것이므로 적법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세무사 시험#채점 방식#출제 범위#소송

일반행정판례

경찰 공무원 시험 부정행위, 응시자격 제한 기간은 언제부터?

경찰공무원 시험에서 부정행위를 한 사람에게 적용되는 5년 응시자격 제한 기간은 부정행위가 적발되어 시험이 무효 처리된 시점, 즉 면직 처분이 확정된 날로부터 시작한다. 경찰공무원임용령 제46조 제1항은 기속행위를 규정하므로, 행정청은 부정행위자에게 반드시 응시자격 제한 처분을 해야 한다.

#경찰공무원#시험#부정행위#응시자격 제한

일반행정판례

별정직 공무원의 직권면직, 정당한가?

지방자치단체장이 별정직 공무원을 직권면직할 때는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근거가 필요하며, 그 근거의 타당성은 해당 직무의 특성, 임용 조건, 면직 사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해야 한다.

#별정직 공무원#직권면직#정당성#객관적 근거

일반행정판례

검사 임용 면접, 면접관의 재량은 어디까지?

검사 임용 면접에서 떨어졌다고 해서 무조건 위법은 아닙니다. 면접관의 판단은 존중되어야 하며, 명백하게 부당한 경우가 아니라면 법원이 개입하기 어렵습니다.

#검사 임용#면접 불합격#면접위원 재량#위법 아님

일반행정판례

지방공무원 시험, 장애인 선발은 어떻게?

7급 지방공무원 시험에서 장애인을 뽑지 않았다고 소송이 제기되었는데, 법원은 여러 시험을 묶어서 장애인 의무고용 비율을 계산해도 되고, 소수점 이하는 버려도 된다고 판결했습니다.

#지방공무원#장애인#의무고용#판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