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행유예취소인용결정에대한재항고

사건번호:

2018모3621

선고일자:

20190104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1] 형사소송법 제411조의 취지 및 항고심에서 항고인이 항고에 대한 의견진술을 한 경우, 형사소송법 제411조를 위반한 것인지 여부(소극) [2] 국선변호인 제도가 인정되는 경우 및 집행유예 취소청구 사건의 심리절차에서도 인정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1] 형사소송법 제411조 / [2] 형사소송법 제33조

참조판례

[1] 대법원 2003. 9. 22.자 2003모300 결정, 대법원 2008. 1. 2.자 2007모601 결정(공2008상, 247), 대법원 2016. 1. 20.자 2016모73 결정, 대법원 2018. 6. 22.자 2018모1698 결정(공2018하, 1428) / [2] 대법원 2013. 2. 13.자 2013모281 결정

판례내용

【재항고인】 재항고인 【변 호 인】 법무법인 태양일리오스 담당변호사 송재우 【원심결정】 의정부지법 2018. 12. 7.자 2018로162 결정 【주 문】 재항고를 기각한다. 【이 유】 재항고이유를 판단한다. 1. 형사소송법 제411조는 당사자에게 항고에 관하여 그 이유서를 제출하거나 의견을 진술하고 유리한 증거를 제출할 기회를 부여하려는 데 취지가 있으므로(대법원 2003. 9. 22.자 2003모300 결정 등 참조), 항고심에서 항고인이 항고에 대한 의견진술을 한 경우에는 위와 같은 기회가 있었다고 봄이 상당하므로 형사소송법 제411조를 위반하였다고 볼 수 없다(대법원 2016. 1. 20.자 2016모73 결정 등 참조). 기록에 의하면, 원심법원은 재항고인에게 항고기록접수통지서를 발송하여 2018. 12. 4. 재항고인이 유치되어 있던 의정부교도소에서 이를 수령한 사실, 원심은 재항고인에게 항고기록접수통지서가 송달된 후 3일째인 2018. 12. 7. 재항고인의 항고를 기각한 사실, 한편 제1심 국선변호인이 제출한 즉시항고장에는 항고이유가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재항고인이 제출한 즉시항고장에는 항고이유가 기재되어 있으며, 그 내용은 연로한 모친과 단둘이 살고 있으니 한 번만 기회를 달라는 것으로서 제1심법원에서 제출한 의견서, 반성문, 최후진술서 및 심문기일의 진술과 같은 내용인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정을 위에서 본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재항고인은 원심에서 항고에 관한 의견을 진술하고 유리한 증거를 제출할 기회를 부여받았으며 실제로 항고에 관한 의견을 진술하였으므로, 원심결정에 형사소송법 제411조를 위반한 잘못이 있다거나 사선변호인을 선임할 시간적 여유가 없었다는 주장은 받아들일 수 없다. 재항고이유로 인용한 선례는 이 사건과 사안이 다르므로 이 사건에 원용할 수 없다. 2. 국선변호인 제도는 구속영장실질심사, 체포·구속 적부심사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공판절차에서 피고인의 지위에 있는 자에게만 인정되고 이 사건과 같이 집행유예의 취소청구 사건의 심리절차에서는 인정되지 않는다(대법원 2013. 2. 13.자 2013모281 결정 참조). 원심이 제1심과는 달리 국선변호인을 선정하지 않았는데도 재판서에는 ‘변호사 ○○○’을 국선변호인으로 기재한 것은 잘못이지만, 국선변호인을 선정하지 않은 조치에 어떠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3. 그러므로 재항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조희대(재판장) 김재형 민유숙(주심) 이동원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국선변호인의 항소이유서 제출 기회를 보장해야 합니다

법원은 피고인의 국선변호인이 항소이유서를 제출할 수 있는 기간을 충분히 보장해야 하며, 기간 만료 전에 항소를 기각해서는 안 됩니다.

#국선변호인#항소이유서#제출기회 보장#기각

형사판례

항고했는데 답변할 기회도 안 줬다고? 법원, 절차 어겼다!

집행유예 취소에 불복하여 항고했는데, 법원이 항고인에게 아무런 설명 기회도 주지 않고 바로 항고를 기각한 것은 잘못이라는 판결.

#항고#집행유예 취소#의견진술 기회#소송기록 접수 통지

형사판례

국선변호인 선정 지연과 항소이유서 제출 기간 도과, 그리고 항소이유 판단

법원이 국선변호인을 늦게 선정하는 바람에 피고인이 항소이유서 제출 기간을 놓쳤다가 뒤늦게 사선변호인을 선임한 경우, 법원은 사선변호인에게도 충분한 항소이유서 작성 기간을 줘야 한다. 또한, 법원이 일부 항소이유만 판단했더라도, 판결 결과에 영향이 없다면 문제가 되지 않는다.

#국선변호인 지연#사선변호인 항소이유서 제출기간#항소이유 판단#양형부당

형사판례

국선변호인 선정 지연으로 항소이유서 제출 기회를 놓쳤다면?

법원의 잘못으로 국선변호인 선임이 늦어져 피고인이 항소이유서 제출 기간을 놓친 경우, 뒤늦게 사선변호인을 선임했더라도 법원은 사선변호인에게 충분한 기간을 주어 항소이유서를 제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항소이유서#국선변호인#선임 지연#사선변호인

형사판례

국선변호인 선정 지연으로 항소 기각? 안 됩니다!

피고인이 국선변호인 선정을 신청했는데 법원이 이를 지연하여 항소이유서 제출 기간을 놓친 경우, 법원은 항소를 기각해서는 안 되고 피고인에게 변호인의 조력을 받아 항소이유서를 제출할 기회를 줘야 한다.

#국선변호인#선정 지연#항소이유서#제출 기회

형사판례

구속과 상고에 대한 오해와 진실

이 판결은 '구속된 때'의 의미와 검사만 항소한 경우 피고인의 상고 가능 범위에 대해 다룹니다. 즉, (1) 단순히 다른 사건으로 구속된 것은 해당 사건에서 '구속된 때'로 볼 수 없으며, (2) 검사만 항소한 경우, 피고인은 형량 외 다른 이유로 상고할 수 없습니다.

#구속#상고#상고이유#불이익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