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탁의무이행청구

사건번호:

2019다249381

선고일자:

2022041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추심명령을 얻은 추심채권자가 제3채무자의 금전채권에 대하여 다시 추심명령을 얻어 추심금을 지급받은 경우, 최초 추심명령의 발령법원에 추심신고를 하여야 하는지 여부(적극) 및 이때 신고 전에 압류 등의 경합이 있는 경우, 발령법원에 추심한 금액을 바로 공탁하고 사유를 신고해야 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민사집행법 제229조, 제232조, 제236조

참조판례

대법원 2005. 7. 28. 선고 2004다8753 판결(공2005하, 1411), 대법원 2007. 11. 15. 선고 2007다62963 판결(공2007하, 1920)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원고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지정 담당변호사 심기종 외 2인) 【피고, 상고인】 신성토건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에스앤파트너스 담당변호사 송길용 외 1인) 【원심판결】 광주고법 2019. 6. 19. 선고 2019나20138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상고이유서 제출기간이 지난 다음 제출된 보충변론서는 이를 보충하는 범위에서)를 판단한다. 1. 추심채권자의 추심금 공탁의무와 신고의무에 관한 법리 추심명령을 얻은 추심채권자는 집행법원의 수권에 따라 일종의 추심기관으로서 채무자를 대신하여 추심의 목적에 맞도록 채권을 행사해야 한다. 특히 압류 등의 경합이 있는 경우에는 압류 또는 배당에 참가한 모든 채권자를 위하여 제3채무자로부터 채권을 추심해야 하므로, 추심채권자는 피압류채권의 행사에 제약을 받게 되는 채무자를 위하여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의무를 가지고 채권을 행사해야 한다. 나아가 추심채권자가 제3채무자로부터 추심금을 지급받으면 추심한 채권액을 법원에 신고하고 그 신고 전에 압류 등의 경합이 있는 경우에는 바로 추심금을 공탁하고 그 사유를 신고함으로써(민사집행법 제236조 제1항, 제2항 참조), 압류 또는 배당에 참가한 모든 채권자들이 배당절차에서 채권의 만족을 얻도록 할 의무를 부담한다(대법원 2005. 7. 28. 선고 2004다8753 판결 참조). 이러한 법리는 제3채무자가 추심명령에 기초한 추심에 응하지 않아 추심채권자가 제3채무자를 상대로 추심의 소를 제기한 후 얻어낸 집행권원에 기초하여 제3채무자의 재산에 대하여 강제집행을 한 결과 추심금을 받은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추심명령을 얻은 추심채권자가 제3채무자의 금전채권에 대하여 다시 추심명령을 얻어 추심금을 지급받으면 최초 추심명령의 발령법원에 추심신고를 하고 그 신고 전에 압류 등의 경합이 있는 경우에는 위 발령법원에 추심한 금액을 바로 공탁하고 그 사유를 신고해야 한다(대법원 2007. 11. 15. 선고 2007다62963 판결 참조). 2. 원심판단의 당부 가. 원심판결 이유에 따르면 다음 사실을 알 수 있다. 피고는 채무자인 주식회사 보경(이하 ‘보경’이라 한다)이 이 사건 조합에 대하여 가지는 이 사건 용역대금 채권에 관하여 광주지방법원에서 이 사건 제1 채권압류·추심명령을 받았다. 보경의 다른 채권자인 원고는 위 용역대금 채권의 일부로서 보경이 위 조합에 대하여 가지는 판결금 채권을 가압류하였다. 피고는 이 사건 제1 채권압류·추심명령의 제3채무자인 이 사건 조합을 상대로 추심의 소를 제기하여 승소판결을 받았고, 이를 집행권원으로 위 조합이 주식회사 신한은행(이하 ‘신한은행’이라 한다)에 대하여 가지는 예금 채권에 관하여 수원지방법원 안양지원에서 이 사건 제2 채권압류·추심명령을 받았다. 그 후 신한은행의 집행공탁에 따라 개시된 배당절차에서 피고는 추심금 406,305,621원을 지급받았다. 원고는 이 사건 제1 채권압류·추심명령의 발령법원인 광주지방법원에 판결금 채권에 관하여 배당요구를 하였는데, 당시 피고는 광주지방법원에 추심신고를 하지 않았다. 나. 원심은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판단하였다. 피고는 이 사건 제1 채권압류·추심명령에 따른 추심권 행사로 얻어낸 집행권원에 기초하여 이 사건 제1 채권압류·추심명령의 제3채무자인 이 사건 조합의 재산에 대하여 강제집행을 하였고, 그 배당절차에서 406,305,621원을 지급받았다. 원고가 이 사건 제1 채권압류·추심명령 사건에서 피고의 추심신고 전에 배당요구를 하였으므로, 피고는 민사집행법 제236조 제2항에 따라 이 사건 제1 채권압류·추심명령의 발령법원인 광주지방법원에 위 금원을 공탁하고 그 사유를 신고할 의무가 있다. 다. 원심판결 이유를 위에서 본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판결은 정당하고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민사집행법 제236조 제1항, 제2항에 관한 법리 등을 오해한 잘못이 없다. 3. 결론 피고의 상고는 이유 없어 이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노정희(재판장) 김재형(주심) 안철상 이흥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돈 받아냈으면 혼자 먹지 말고 나눠야죠! - 추심금 공탁 의무

여러 채권자가 같은 채무자의 재산에 대해 압류를 경쟁하는 상황에서 먼저 추심명령을 받은 채권자가 돈을 받았다면, 그 돈을 법원에 공탁해야 합니다.

#추심명령#공탁#압류경합#배당

민사판례

돈 받아간 뒤에 압류 들어오면 어떡하죠?

빚을 받을 권리를 다른 사람에게 넘겨서 돈을 받았는데, 그 후에 다른 채권자가 압류를 걸어온 경우, 이미 받은 돈은 압류 대상이 되지 않습니다.

#추심#압류#배당#제3채무자

민사판례

돈 받아간 채권자, 잠깐! 다른 채권자도 있다면 꼭 알아두세요!

여러 채권자가 같은 채무자의 재산에 대해 압류 등을 한 경우, 법원의 허가를 받아 돈을 먼저 추심한 채권자는 추심한 돈을 즉시 법원에 공탁하고 다른 채권자들에게 알려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만약 이를 지연하면, 지연 기간에 대한 이자(지연손해금)도 함께 공탁해야 합니다.

#추심채권자#공탁#지연손해금#배당

민사판례

돈 받을 권리 압류가 여러 건 얽혔을 때, 누구에게 돈을 줘야 할까요?

같은 돈에 대해 여러 차례 압류가 들어왔을 때, 압류된 총액이 실제 돈보다 적어 압류가 겹치지 않더라도, 제3채무자(돈을 줘야 하는 사람)가 누구에게 돈을 줘야 할지 판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돈을 법원에 공탁하고 책임에서 벗어날 수 있다.

#압류#공탁#제3채무자#면책

민사판례

돈 받을 곳이 여러 곳일 때, 돈 맡기는 방법

여러 채권자가 같은 돈에 대해 압류를 걸어놓은 상황(압류경합)에서, 그중 한 채권자가 일부 금액에 대한 추심 소송에서 이겨 확정판결을 받았더라도, 채무자가 그 판결에 따른 강제집행을 막으려면 압류된 돈 전체를 법원에 공탁해야 한다는 판례입니다.

#압류경합#추심판결#공탁#강제집행

민사판례

공탁금 회수를 둘러싼 여러 압류, 누가 먼저 가져갈까?

법원은 가압류와 세금 체납으로 인한 압류가 동시에 걸린 공탁금에 대해, 공탁관이 배당절차를 시작하는 '사유신고'를 했다 하더라도 이것만으로는 다른 채권자가 배당을 요구할 수 있는 기간이 끝났다고 볼 수 없다고 판결했습니다.

#가압류#체납처분#공탁금#배당요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