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번호:
2019도7563
선고일자:
2022072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변호사법 제112조 제3호에서 ‘변호사를 표시 또는 기재’한다고 함의 의미 및 이러한 행위가 있었는지 판단하는 방법
변호사법은 제112조 본문과 같은 조 제3호 전단에서 ‘변호사가 아니면서 변호사나 법률사무소를 표시 또는 기재한 자’를 처벌하도록 정하고 있다. 여기서 ‘변호사를 표시 또는 기재’한다고 함은 ‘변호사’라는 명칭을 사용하여 ‘변호사법에 따른 변호사’임을 표시 또는 기재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행위를 처벌하는 취지는 법률 소비자를 보호하고 법률 시장의 혼란을 방지하고자 함에 있으므로, ‘변호사를 표시 또는 기재’하는 행위가 있었는지는 ‘변호사’라는 명칭이 사용된 경위와 방법, 표시 또는 기재된 내용의 전체적인 맥락, 변호사 자격에 관한 오인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하여야 한다.
변호사법 제112조 제3호
【피 고 인】 피고인 【상 고 인】 검사 【원심판결】 서울동부지법 2019. 5. 16. 선고 2018노1433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변호사법은 제112조 본문과 같은 조 제3호 전단에서 ‘변호사가 아니면서 변호사나 법률사무소를 표시 또는 기재한 자’를 처벌하도록 정하고 있다. 여기서 ‘변호사를 표시 또는 기재’한다고 함은 ‘변호사’라는 명칭을 사용하여 ‘변호사법에 따른 변호사’임을 표시 또는 기재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행위를 처벌하는 취지는 법률 소비자를 보호하고 법률 시장의 혼란을 방지하고자 함에 있으므로, ‘변호사를 표시 또는 기재’하는 행위가 있었는지는 ‘변호사’라는 명칭이 사용된 경위와 방법, 표시 또는 기재된 내용의 전체적인 맥락, 변호사 자격에 관한 오인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하여야 한다. 원심은 판시와 같은 이유로 이 사건 공소사실에 대하여 범죄의 증명이 없다고 보아 무죄로 판단하였다. 원심판결 이유를 위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판단에 논리와 경험의 법칙에 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거나 변호사법 제112조 제3호에서 정한 ‘변호사를 표시 또는 기재’한 행위의 의미 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안철상(재판장) 김재형 노정희 이흥구(주심)
민사판례
변호사는 상인이 아니기 때문에 상법상 상호등기를 할 수 없고, 따라서 변호사의 상호등기 신청을 거부한 등기관의 처분은 정당하다.
상담사례
변호사 자격 없이 타인의 소송을 실질적으로 주도하면, 의뢰인 이름으로 진행하더라도 변호사법 위반이다.
형사판례
공인중개사가 '법률중개사' 또는 '부동산법률중개사'처럼 법률 관련 용어를 사용했다고 해서 무조건 변호사법 위반은 아닙니다. 표시 방법과 전체적인 맥락을 고려하여 실제로 법률 사무를 취급하는 것처럼 보이는지 판단해야 합니다.
형사판례
변호사가 자신의 명의를 사무직원에게 빌려주고, 사무직원이 그 명의를 이용하여 마치 변호사처럼 등기 업무를 처리하면 변호사와 사무직원 모두 처벌받을 수 있다. 단순히 사무직원으로 등록되어 있다는 형식적인 사실보다는, 실질적으로 사무직원이 독자적으로 업무를 처리했는지가 중요하다.
형사판례
변호사가 아닌 사람이 법률 사건을 대리하는 것은 변호사법 위반입니다. '대리'에는 단순히 법률상 대리뿐 아니라, 사실상 사건 처리를 주도하는 등 실질적으로 대리와 같은 효과를 내는 행위도 포함됩니다.
형사판례
법원은 기소된 혐의보다 가벼운 죄를 직권으로 인정할 수 있지만, 피고인의 방어권을 침해하거나 형평성에 크게 어긋나지 않는 한 그렇게 하지 않아도 위법하지 않습니다. 또한, 변호사법 위반으로 얻은 돈은 사용처와 관계없이 추징 대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