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금융거래법위반

사건번호:

2021도1116

선고일자:

2021050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전자금융거래법 제6조 제3항 제2호에서 정한 ‘접근매체의 대여’ 및 ‘대가’의 의미 / 위 조항 위반죄가 성립하기 위하여 접근매체를 대여하는 자는 대가를 수수ㆍ요구 또는 약속하면서 접근매체를 대여한다는 인식을 가져야 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전자금융거래법 제6조 제3항 제2호, 제49조 제4항 제2호, 형법 제13조

참조판례

대법원 2017. 8. 18. 선고 2016도8957 판결(공2017하, 1822), 대법원 2019. 6. 27. 선고 2017도16946 판결(공2019하, 1507), 대법원 2021. 4. 15. 선고 2020도16468 판결(공2021상, 1008)

판례내용

【피 고 인】 피고인 【상 고 인】 피고인 【원심판결】 창원지법 2021. 1. 8. 선고 2020노1190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창원지방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이 사건 공소사실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피고인은 2019. 7. 23. 성명불상자로부터 ‘불법대출이기 때문에 경찰서나 금융감독원에 신고하는 것을 방지하고 원리금 인출에 사용하기 위하여 본인 명의 계좌에 연결된 체크카드가 필요하다. 체크카드를 빌려주면 대출을 해주겠다.’는 제안을 받고, 같은 날 피고인 명의로 개설된 신한은행 계좌의 접근매체인 체크카드를 택배를 통해 성명불상자에게 교부하고, 위 체크카드의 비밀번호를 알려줌으로써 접근매체를 대여하였다. 2. 전자금융거래법 제6조 제3항 제2호에서 정한 ‘접근매체의 대여’란 대가를 수수ㆍ요구 또는 약속하면서 일시적으로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접근매체 이용자의 관리ㆍ감독 없이 접근매체를 사용해서 전자금융거래를 할 수 있도록 접근매체를 빌려주는 행위를 말하고(대법원 2017. 8. 18. 선고 2016도8957 판결 참조), 여기에서 ‘대가’란 접근매체의 대여에 대응하는 관계에 있는 경제적 이익을 말한다(대법원 2019. 6. 27. 선고 2017도16946 판결 참조). 이때 접근매체를 대여하는 자는 접근매체 대여에 대응하는 경제적 이익을 수수ㆍ요구 또는 약속하면서 접근매체를 대여한다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대법원 2021. 4. 15. 선고 2020도16468 판결 참조). 3. 원심판결 이유와 적법하게 채택된 증거에 따르면 다음 사실을 알 수 있다. 가. 피고인은 2019. 7. 23. 성명불상자가 보낸 월변대출 관련 광고성 문자를 보고 카카오톡 문자로 월변대출 문의를 하였다. 나. 성명불상자는 카카오톡 문자로 피고인에게 대출에 따른 월 이자, 원금 상환방식과 필요한 대출서류 등을 알려주면서, 원금과 이자의 상환은 피고인의 계좌와 체크카드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므로, 원금과 이자를 상환할 체크카드를 자신에게 맡겨야 한다고 안내하였다. 그 후 피고인이 성명불상자에게 대출에 필요한 서류를 전송하자 성명불상자는 “카드를 오늘 발송하면 대출금을 내일 받을 수 있다.”라고 안내하였다. 다. 피고인은 성명불상자의 요구에 따라 성명불상자에게 대출금을 지급받을 계좌번호, 카드에 대한 은행명과 비밀번호 등을 알려준 다음, 2019. 7. 23. 택배를 이용하여 체크카드(이하 ‘이 사건 카드’라고 한다)를 건네주었다. 라. 성명불상자는 2019. 7. 24. 피고인에게 카드 인출 한도를 확인한다고 하면서 이 사건 카드와 연결된 계좌에 입금된 돈을 인출하였다. 마. 피고인은 이 사건 이전에 보이스피싱 범행에 연루된 적이 없다. 4. 위와 같은 사실을 위에서 본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피고인은 대출금과 이자를 지급하기 위해 필요하다는 성명불상자의 기망으로 이 사건 카드를 교부한 사람으로서, 피고인이 대출의 대가로 접근매체를 대여했다거나 이 사건 카드를 교부할 당시 그러한 인식을 하였다고 단정하기 어렵다. 그런데도 원심은 피고인이 성명불상자로부터 향후 대출을 받을 수 있는 무형의 기대이익을 대가로 약속하고 성명불상자에게 접근매체를 대여한 것으로 보아 이 사건 공소사실을 유죄로 판단하였다. 원심판결에는 제6조 제3항 제2호에서 정한 ‘대가를 약속하면서 접근매체를 대여하는 행위’와 고의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 이를 지적하는 피고인의 상고이유 주장은 정당하다. 5. 나머지 상고이유 주장에 관한 판단을 생략한 채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ㆍ판단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동원(재판장) 김재형(주심) 민유숙 노태악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대출 미끼로 체크카드 넘겼다면? 전자금융거래법 위반일까?

대출을 약속받고 체크카드와 비밀번호를 넘겼더라도, 단순히 대출을 기대했을 뿐 대가를 받고 카드를 빌려준 것이라는 인식이 없다면 전자금융거래법 위반이 아닐 수 있다.

#대출#체크카드#전자금융거래법 위반#접근매체 대여

형사판례

체크카드 줬다고 무조건 불법일까? 대출 미끼 접근매체 대여, 유죄일까 무죄일까?

대출을 받기 위해 체크카드를 넘겨준 경우, 대출이라는 '대가'를 바라고 접근매체를 대여한 것으로 볼 수 있는지, 즉 전자금융거래법 위반으로 처벌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대법원은 단순히 대출을 기대하고 체크카드를 넘겨준 행위만으로는 접근매체 대여죄의 고의가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원심을 파기환송했습니다.

#접근매체대여죄#체크카드#대출사기#고의

형사판례

내 체크카드 빌려줬는데... 이것도 범죄라고? 대출 미끼 접근매체 대여, 무죄라고?

대출을 약속받고 자신의 체크카드를 퀵서비스로 보내준 행위가 전자금융거래법 위반에 해당할 수 있다는 대법원 판결. 단순히 속아서 넘겨준 것이 아니라, 대출이라는 대가를 바라고 카드를 양도한 것으로 볼 여지가 있다는 판단.

#대출#체크카드 양도#전자금융거래법 위반#대법원

형사판례

내 체크카드 빌려준 것도 죄가 될까요? 대출사기 주의!

대출을 미끼로 체크카드를 받아간 경우, 카드 소유권을 완전히 넘겨준 것인지(양도), 아니면 잠시 빌려준 것인지(대여)에 따라 전자금융거래법 위반 여부가 달라진다는 판결. 단순히 카드를 건네줬다는 사실만으로는 유죄로 판단할 수 없고, 소유권 이전 의도가 있었는지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는 내용.

#체크카드#양도#대여#소유권

형사판례

대출 미끼 접근매체 양도, 함정에 빠지지 마세요!

대출을 빌미로 접근매체(체크카드 등)를 넘겨준 경우, 단순히 사용을 위임한 것인지 아니면 불법적으로 양도한 것인지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한 판례입니다. 대출 목적이라도 상황에 따라 불법 양도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대출#접근매체#양도#위임

형사판례

돈 받기로 약속만 하고 통장 빌려준 건 죄가 될까? - 대가 약속과 접근매체 대여에 대한 법원의 판단

돈을 주겠다는 약속만 받고 계좌를 빌려준 경우, 실제로 돈을 받지 않았다면 과거 전자금융거래법 위반으로 처벌할 수 없다. 법에 "대가를 받고"라고 명시되어 있으므로, 약속만으로는 처벌할 수 없다는 것이 죄형법정주의 원칙에 부합한다는 판결.

#전자금융거래법#대가약속#계좌대여#죄형법정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