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입국관리법위반

사건번호:

2021도404

선고일자:

2021102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출입국사범 사건에서 지방출입국ㆍ외국인관서의 장의 적법한 고발이 있었는지 판단하는 방법 [2] 피고인이 체류자격을 가지지 아니한 사람을 고용하여 출입국관리법을 위반하였다는 공소사실이 제1심에서 유죄로 인정되고, 검사가 양형부당을 이유로 항소하였는데, 원심이 직권으로 출입국관리법 제101조 제1항에 따른 지방출입국ㆍ외국인관서의 장의 고발이 없었음을 이유로 제1심판결을 파기하고 공소를 기각한 사안에서, 기록에 의하면 피고인에 대한 공소가 이루어지기 전에 이미 공소사실에 관한 적법한 고발이 있었음을 알 수 있으므로, 원심이 그와 같은 사정에 관하여 추가로 조사ㆍ확인하지 아니한 채 고발이 없었다고 단정한 것에 심리미진 또는 법리오해의 잘못이 있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1] 출입국사범 사건에서 지방출입국ㆍ외국인관서의 장의 적법한 고발이 있었는지 여부가 문제 되는 경우에 법원은 증거조사의 방법이나 증거능력의 제한을 받지 아니하고 제반 사정을 종합하여 적당하다고 인정되는 방법에 의하여 자유로운 증명으로 그 고발 유무를 판단하면 된다. [2] 피고인이 취업활동을 할 수 있는 체류자격을 가지지 아니한 외국인을 고용하여 출입국관리법을 위반하였다는 공소사실이 제1심에서 유죄로 인정되고, 검사가 이에 대해 양형부당을 이유로 항소하였는데, 원심이 직권으로 출입국관리법 제101조 제1항에 따른 지방출입국ㆍ외국인관서의 장의 고발이 없었음을 이유로 제1심판결을 파기하고 공소를 기각한 사안에서, 기록에 의하면 피고인에 대한 공소가 이루어지기 전에 이미 공소사실에 관한 적법한 고발이 있었음을 알 수 있으므로, 원심이 그와 같은 사정에 관하여 추가로 조사하여 확인하지 아니한 채 막연히 위와 같은 고발이 없었다고 단정한 것에 출입국사범 사건에서 고발 유무의 조사에 관하여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아니하거나 적당하다고 인정되는 방법에 의하여 자유로운 증명으로 고발 유무를 판단하도록 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있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출입국관리법 제2조 제10호의2, 제14호, 제101조 제1항, 형사소송법 제308조 / [2] 구 출입국관리법(2020. 3. 24. 법률 제1708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94조 제9호, 출입국관리법 제2조 제10호의2, 제14호, 제18조 제3항, 제101조 제1항, 형사소송법 제308조, 제327조 제2호

참조판례

[1] 대법원 2001. 2. 9. 선고 2000도1216 판결(공2001상, 678)

판례내용

【피 고 인】 피고인 【상 고 인】 검사 【변 호 인】 변호사 강상수 【원심판결】 제주지법 2020. 12. 10. 선고 2020노39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제주지방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출입국사범 사건에서 지방출입국ㆍ외국인관서의 장의 적법한 고발이 있었는지 여부가 문제 되는 경우에 법원은 증거조사의 방법이나 증거능력의 제한을 받지 아니하고 제반 사정을 종합하여 적당하다고 인정되는 방법에 의하여 자유로운 증명으로 그 고발 유무를 판단하면 된다(대법원 2001. 2. 9. 선고 2000도1216 판결 등 참조). 원심판결 이유와 기록에 의하면, 이 사건 공소는 피고인이 체류자격을 가지지 아니한 사람을 고용하여 출입국관리법 제94조 제9호, 제18조 제3항을 위반하였다는 공소사실로 2019. 11. 27. 제기되었고, 이에 대하여 제1심은 공소사실을 모두 유죄로 인정하여 피고인에게 징역 1년 6개월, 집행유예 3년을 선고하였는데, 검사가 제1심판결에 대하여 양형부당을 이유로 항소를 제기하자, 원심은 검사의 양형부당 주장에 관한 판단을 생략한 채 직권으로 이 사건에 관하여 출입국관리법 제101조 제1항에 따른 지방출입국ㆍ외국인관서의 장의 고발이 없었음을 이유로 제1심판결을 파기하고 피고인에 대한 공소를 기각하였음을 알 수 있다. 기록에 의하면 피고인에 대한 공소가 이루어지기 전인 2019. 10. 30.경 이미 이 사건 공소사실에 관한 적법한 고발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원심은 그와 같은 사정에 관하여 추가로 조사하였더라면 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었음에도 막연히 위와 같은 고발이 없었다고 단정하고 말았다. 이러한 원심의 판단에는 출입국사범 사건에서 고발 유무의 조사에 관하여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아니하거나 적당하다고 인정되는 방법에 의하여 자유로운 증명으로 고발 유무를 판단하도록 한 법리를 오해함으로써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ㆍ판단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조재연(재판장) 민유숙 이동원(주심) 천대엽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외국인 불법고용, 회사 대표의 책임은 어디까지?

회사 직원이 불법체류 외국인을 고용했을 때, 대표이사가 단순히 그 사실을 알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는 것만으로는 처벌할 수 없다. 대표이사가 직접 고용에 관여했거나, 고의적으로 눈감아준 정황 등이 있어야 처벌이 가능하다.

#불법체류 외국인 고용#대표이사 책임#죄형법정주의#출입국관리법

형사판례

경찰이 출입국사범 수사해도 될까? 고발 없이도 가능할까?

출입국관리사무소장 등의 고발 권한이 있더라도, 일반 경찰도 출입국사범을 수사할 수 있고, 고발 전에 수사를 했다고 해서 그 수사가 항상 불법인 것은 아닙니다.

#출입국사범#경찰 수사권#고발 전 수사#적법성

형사판례

고발이 필요한 범죄, 법원은 꼭 확인해야 할까요?

고발이 있어야만 재판을 시작할 수 있는 범죄의 경우, 법원은 고발이 제대로 되었는지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피고인이나 검사가 이의를 제기하지 않더라도 법원 스스로 확인해야 합니다.

#고발#법원 확인 의무#직권조사#하도급법 위반

형사판례

불법체류 외국인 파견근로자, 사용사업주 처벌될까?

취업비자 없는 외국인을 파견업체 통해 고용한 경우, 파견받은 회사 사장은 출입국관리법 위반으로 처벌되지 않는다. '고용'은 직접 노무 제공을 받고 보수를 지급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불법체류 외국인#파견근로#고용#출입국관리법 위반

형사판례

취업규칙 미게시로 인한 공소기각, 과연 정당할까?

회사 대표가 취업규칙을 사업장에 게시하지 않은 혐의로 기소되었는데, 공소장에 어느 사업장에 게시하지 않았는지 불명확하다는 이유로 1심과 2심에서 공소기각 판결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대법원은 공소장이 불명확하더라도 법원은 검사에게 설명을 요구해야 하며, 그렇게 하지 않고 바로 공소기각 판결을 내린 것은 잘못이라고 판단하여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하도록 돌려보냈습니다.

#취업규칙#미게시#공소기각#파기

형사판례

외국인 근로자 알선도 직업안정법 적용 대상일까? - 상상적 경합과 상고심 판단 범위에 대한 고찰

돈을 받고 외국인 근로자를 국내 기업에 알선하는 행위도 직업안정법상 허가받아야 하는 유료직업소개사업에 해당한다. 따라서 허가 없이 외국인 근로자를 알선하면 직업안정법 위반으로 처벌받을 수 있다.

#외국인 근로자#알선#직업안정법#유료직업소개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