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

사건번호:

2021도8468

선고일자:

2021090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사기죄의 요건인 ‘기망’의 의미 및 부작위에 의한 기망의 요건으로서 법률상 고지의무가 인정되는 경우 / 사기죄의 기망행위라고 하려면 불법영득의 의사 내지 편취의 범의를 가지고 상대방을 기망한 것이어야 하는지 여부(적극) [2] 국가연구개발사업 등에서 연구책임자가 산학협력단으로부터 학생연구비의 사용 용도와 귀속 여부를 기망하여 편취하는 경우, 산학협력단에 대한 관계에서 사기죄가 성립하는지 판단하는 기준

판결요지

참조조문

형법 제347조

참조판례

대법원 2006. 2. 23. 선고 2005도8645 판결(공2006상, 537), 대법원 2007. 10. 25. 선고 2005도1991 판결, 대법원 2019. 12. 27. 선고 2015도10570 판결(공2020상, 399)

판례내용

【피 고 인】 피고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법무법인 이안 담당변호사 황은정 【원심판결】 인천지법 2021. 6. 18. 선고 2020노2254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사기죄의 요건으로서의 기망은 널리 재산상의 거래관계에서 서로 지켜야 할 신의와 성실의 의무를 저버리는 적극적 또는 소극적 행위를 말하는 것으로서, 상대방을 착오에 빠지게 하여 행위자가 희망하는 재산적 처분행위를 하도록 하기 위한 판단의 기초 사실에 관한 것이어야 하고(대법원 2007. 10. 25. 선고 2005도1991 판결 등 참조), 그중 소극적 행위로서의 부작위에 의한 기망은 일반거래의 경험칙상 상대방이 그 사실을 알았더라면 당해 법률행위를 하지 아니하였을 것이 명백한 경우에는 신의칙에 비추어 그 사실을 고지할 법률상 의무가 인정된다고 할 것이다(대법원 2006. 2. 23. 선고 2005도8645 판결 등 참조). 나아가 사기죄는 보호법익인 재산권이 침해되었을 때 성립하는 범죄이므로, 사기죄의 기망행위라고 하려면 불법영득의 의사 내지 편취의 범의를 가지고 상대방을 기망한 것이어야 한다(대법원 2019. 12. 27. 선고 2015도10570 판결 등 참조). 이러한 법리는 국가연구개발사업 등에 있어 연구책임자가 산학협력단으로부터 학생연구비의 사용 용도와 귀속 여부를 기망하여 편취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즉, 연구책임자가 처음부터 소속 학생연구원들에 대한 개별 지급의사 없이 공동관리계좌를 관리하면서 사실상 그 처분권을 가질 의도하에 이를 숨기고 산학협력단에 연구비를 신청하여 이를 지급받았다면 이는 산학협력단에 대한 관계에 있어 기망에 의한 편취행위에 해당한다. 다만 연구책임자가 원래 용도에 부합하게 학생연구원들의 사실상 처분권 귀속하에 학생연구원들의 공동비용 충당 등을 위하여 학생연구원들의 자발적인 의사에 근거하여 공동관리계좌를 조성하고 실제로 그와 같이 운용한 경우라면, 비록 공동관리계좌의 조성 및 운영이 관련 법령이나 규정 등에 위반되더라도 그러한 사정만으로 불법영득의사가 추단되어 사기죄가 성립한다고 단정할 수 없다. 이 경우 사기죄 성립 여부는 공동관리계좌 개설의 경위, 실질적 관리 및 처분권의 귀속, 연구비가 온전히 법률상 귀속자인 학생연구원들의 공동비용을 위하여 사용되었는지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하여야 한다. 원심은 판시와 같은 이유로 의과대학 교수로서 연구책임자인 피고인이 국가연구개발사업과 관련하여 피해자 공소외 산학협력단 등으로부터 지급받은 학생연구비 중 일부를 실질적으로 학생연구원들이 아닌 자신이 관리하는 공동관리계좌에 귀속시킨 후 이를 개인적인 용도 등으로 사용하였다고 보아, 이 사건 공소사실을 유죄로 판단하였다. 원심판결 이유를 앞서 본 법리와 적법하게 채택된 증거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판단에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거나 사기죄의 기망행위, 인과관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민유숙(재판장) 조재연 이동원 천대엽(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연구비 부정 사용, 사기죄로 처벌될까? 대학 연구비와 관련된 사기죄 판결 살펴보기

대학교수가 연구과제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을 연구보조원으로 허위 등록하여 연구비를 받았다는 혐의로 기소된 사건에서, 대법원은 학생들이 연구에 전혀 참여하지 않았는지 여부 등을 충분히 심리하지 않은 원심판결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여 사건을 다시 심리하도록 파기환송했습니다.

#대학교수#연구비 사기#파기환송#허위 등록

형사판례

사립학교 교비, 함부로 쓰면 횡령입니다!

사립대학 직원이 국가에서 지원받은 교비회계 보조금을 학교법인의 수익용 부동산 구입에 사용한 것은 횡령죄에 해당한다.

#사립대학#교비회계#국고보조금#횡령

형사판례

회사 돈을 자기 마음대로 쓰면 사기죄일까? (feat. 대표의 횡령)

회사 대표가 사기꾼이면서 회사 돈을 속여서 가져갔을 때, 사기죄가 아닌 다른 죄(횡령 또는 배임)가 적용될 수 있다.

#법인대표#사기죄#횡령#배임

형사판례

1인 회사 사장님, 회사 돈 함부로 쓰면 횡령입니다! 사기죄는 실제 손해 없어도 성립해요.

1인 회사라도 회사와 주주는 법적으로 별개이므로, 주주가 회사 돈을 마음대로 쓰면 횡령죄가 된다. 또한 사기죄는 상대방에게 실제 손해가 발생하지 않아도 기망행위로 재산상 이익을 얻으면 성립한다.

#1인 회사#횡령죄#사기죄#대법원

형사판례

대학교비 횡령, 이사장은 유죄!

학교법인 이사장이 학교 교비와 산학협력단 자금을 마음대로 사용한 것은 업무상횡령죄에 해당한다. 특히, 정부 보조금은 용도가 엄격히 제한되어 있어 함부로 사용할 수 없다.

#학교법인#이사장#교비#산학협력단

형사판례

사립학교 교비 부정 사용, 횡령죄 성립될까?

이 판례는 사립학교 교비회계 자금을 다른 용도로 사용한 행위가 횡령죄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학교 관계자가 비자금 조성에 관여했을 때 업무상횡령죄가 성립하는지 여부를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교비회계 사용의 적법성 판단 기준과 비자금 조성 행위 자체의 불법영득 의사 인정 여부, 업무상횡령죄의 주체 요건 등이 핵심 쟁점입니다.

#사립학교#교비회계#횡령죄#업무상횡령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