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행에관한이의

사건번호:

2022그529

선고일자:

20220517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공탁사유신고를 수리하지 않는 사법보좌관의 결정에 대한 불복 방법(=사법보좌관규칙 제3조 제2조에 따른 집행에 관한 이의) 및 이때 판사가 위 불수리 결정에 대하여 다시 판단하면서 취할 조치

판결요지

참조조문

민사집행법 제16조 제1항, 법원조직법 제54조 제2항, 사법보좌관규칙 제2조, 제3조 제2호

참조판례

대법원 1997. 1. 13. 자 96그63 결정(공1997상, 592)

판례내용

【특별항고인】 건설공제조합 【원심결정】 서울서부지법 2022. 1. 4. 자 2021타기10187 결정 【주 문】 원심결정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서부지방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1. 공탁사유신고를 수리하지 않는 집행법원의 결정은 즉시항고를 할 수 없는 집행법원의 재판으로서 그 결정에 대하여 불복이 있는 이해관계인은 민사집행법 제16조 제1항에 따라 집행에 관한 이의신청을 할 수 있고, 위 결정에 대하여는 대법원에 특별항고를 할 수 없다(대법원 1997. 1. 13. 자 96그63 결정 등 참조). 한편 법원조직법 제54조 제2항, 사법보좌관규칙 제2조, 제3조 제2호에 의하면, 사법보좌관의 처분 중 집행법원의 집행절차에 관한 재판으로서 즉시항고를 할 수 없는 것에 대하여는 민사집행법 제16조 제1항이 정한 집행에 관한 이의신청 절차에 따라 불복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관련 규정의 내용 등을 종합하면, 공탁사유신고를 수리하지 않는 사법보좌관의 결정에 대하여 이해관계인은 사법보좌관규칙 제3조 제2호에 따라 집행에 관한 이의신청 절차를 통하여 불복할 수 있고, 판사는 위 불수리 결정에 대하여 다시 판단하면서 이유 있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위 불수리 결정의 취소 및 사유신고 수리를 하고, 이유 없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이의신청을 기각하여야 한다. 2. 기록에 의하면, 서울서부지방법원 2021타배5146 배당절차 사건에서 사법보좌관은 2021. 12. 21. 신청인의 공탁사유신고를 수리하지 않는다고 결정하였고, 이에 대해 신청인은 2021. 12. 28. ‘집행에 관한 이의신청서’라는 제목으로 위 불수리 결정을 취소하고 신청인의 공탁사유신고를 수리해 달라는 취지의 서면을 제출한 사실, 이에 대해 집행법원은 ‘집행에 관한 이의’ 사건으로 접수한 사실, 단독판사가 2022. 1. 4. 사법보좌관규칙 제4조 제6항 제4호에 의하여 위 신청을 각하하는 결정을 한 사실, 위 결정에 대해 신청인은 2022. 1. 10. 이의신청서를 제출하였고, 집행법원은 이를 특별항고로 보아 대법원으로 기록을 송부한 사실을 인정할 수 있다. 3. 위와 같은 사실관계를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사법보좌관의 불수리 결정에 대한 신청인의 이의신청은 사법보좌관규칙 제4조가 정한 사법보좌관 처분에 대한 이의신청이 아니라 같은 규칙 제3조 제2호가 정한 집행에 관한 이의신청으로 보아야 한다. 그럼에도 원심은 신청인의 집행에 관한 이의신청을 사법보좌관 처분에 대한 이의신청으로 보아 신청을 각하하였다. 위와 같은 원심의 판단에는 사법보좌관의 처분에 대한 불복 방법 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 4. 그러므로 원심결정을 파기하고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김재형(재판장) 안철상 노정희(주심) 이흥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공탁사유신고 각하 결정에 대한 불복 방법

법원이 공탁사유신고를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각하), 이에 불만이 있는 사람은 특별항고가 아닌 "집행에 관한 이의"를 제기해야 합니다.

#공탁사유신고#각하#불복#특별항고

생활법률

공탁금 찾기, 생각보다 복잡해요? 공탁관의 심사 과정 알아보기!

공탁금 출급·회수 청구 절차는 공탁관의 심사 및 지급 결정, 불수리 시 이의신청과 법원의 최종 결정으로 진행되며, 불복 시에는 정해진 절차를 따라야 한다.

#공탁금#지급심사#출급#회수

민사판례

가집행 판결에 대한 항소와 공탁, 이의제기는 어떻게?

1심에서 가집행 판결을 받은 측이 항소하면서 집행정지를 신청할 때 법원이 공탁을 명령하는 경우, 이 공탁 명령 자체에는 불복할 수 없고, 최종적인 집행정지 결정에 불복해야 한다.

#가집행#항소#집행정지#공탁

민사판례

경매 배당금 못 받았을 때, 어떻게 해야 할까요?

경매 배당금을 받지 못해 공탁된 돈을 찾으려는데 법원이 거부했다면, 공탁 담당자가 아닌 법원의 결정에 대한 이의를 제기해야 합니다.

#경매 배당금#공탁금 출급#이의신청#집행에 관한 이의

생활법률

공탁, 맡기는 것도 절차가 있다?! 공탁관 심사 완벽 해부!

법원 공탁은 공탁관의 심사(수리/불수리 결정) 후 공탁물 납입으로 이뤄지며, 불수리 결정 시 이의신청을 통해 재심사 받을 수 있다.

#공탁#심사#수리#불수리

민사판례

공탁금 출급 거부당했을 때, 사업시행자에게 소송을 걸 수 있을까?

국가 사업으로 토지 등을 수용당한 사람이 보상금을 공탁받으려 할 때, 담당 공무원이 출급을 거부하더라도 국가를 상대로 직접 소송할 수는 없고, 보상금을 공탁한 사업시행자를 상대로 공탁금 출급권 확인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공탁금#출급 거부#사업시행자#출급권 확인 소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