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명도(인도)

사건번호:

2022다220748

선고일자:

2022071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하나의 행위가 계약상 채무불이행의 요건을 충족함과 동시에 불법행위의 요건도 충족하는 경우, 권리자는 경합하여 발생하는 손해배상청구권 중 어느 것이든 선택하여 행사할 수 있는지 여부(적극) / 이때 법원은 원고가 행사하는 청구권에 관하여 다른 청구권과는 별개로 그 성립 요건과 법률효과의 인정 여부를 판단하여야 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민법 제390조, 제750조, 민사소송법 제216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3. 3. 22. 선고 82다카1533 전원합의체 판결(공1983, 734), 대법원 2008. 9. 11. 선고 2005다9760, 9777 판결, 대법원 2011. 8. 25. 선고 2011다29703 판결, 대법원 2021. 6. 24. 선고 2016다210474 판결(공2021하, 1319)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원고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주성 담당변호사 석동규 외 4인) 【피고, 피상고인】 주식회사 지성건설 【원심판결】 청주지법 2022. 2. 11. 선고 2021나51076 판결 【주 문】 원심판결 중 피고 주식회사 지성건설에 대한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청주지방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유치권 부존재 주장(제3 상고이유)에 관한 판단 원심판결 이유를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소외인의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한 유치권이 존재한다는 원심의 판단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는 등으로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없다. 2. 채무불이행을 원인으로 하는 손해배상청구 관련 주장(제1, 2 상고이유)에 관한 판단 가. 채무불이행책임과 불법행위책임은 각각 요건과 효과를 달리하는 별개의 법률관계에서 발생하는 것이므로 하나의 행위가 계약상 채무불이행의 요건을 충족함과 동시에 불법행위의 요건도 충족하는 경우에는 두 개의 손해배상청구권이 경합하여 발생하고, 권리자는 위 두 개의 손해배상청구권 중 어느 것이든 선택하여 행사할 수 있다(대법원 1983. 3. 22. 선고 82다카1533 전원합의체 판결 등 참조). 다만 동일한 사실관계에서 발생한 손해의 배상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도 채무불이행을 원인으로 하는 배상청구와 불법행위를 원인으로 한 배상청구는 청구원인을 달리하는 별개의 소송물이므로(대법원 2008. 9. 11. 선고 2005다9760, 9777 판결, 대법원 2011. 8. 25. 선고 2011다29703 판결 등 참조), 법원은 원고가 행사하는 청구권에 관하여 다른 청구권과는 별개로 그 성립 요건과 법률효과의 인정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대법원 2021. 6. 24. 선고 2016다210474 판결 등 참조). 나. 기록에 의하면, 원고는 원심 제1차 변론기일에서 진술한 2021. 10. 28. 자 답변서를 통하여 피고 주식회사 지성건설(이하 ‘피고 지성건설’이라 한다)에 대한 ‘부동산 매매계약상 부동산 인도의무 불이행을 원인으로 하는 손해배상청구’를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와 함께 청구하였고,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더라도, 원심은 원고의 피고 지성건설에 대한 청구원인을 민법 제390조, 제750조, 제756조, 제760조에 따른 불법행위책임, 사용자책임 등을 구하는 것으로 보았다. 그럼에도 원심은 원고의 피고 지성건설에 대한 청구원인 중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에 관하여만 판단하여 그 청구를 기각하였을 뿐, 부동산 매매계약상 부동산 인도의무 불이행을 원인으로 하는 손해배상청구에 관하여는 심리와 판단을 하지 아니하였으니, 원심판결에는 채무불이행책임에 관한 판단을 누락하는 등으로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 3. 결론 그러므로 원심판결 중 피고 지성건설에 대한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오경미(재판장) 박정화 김선수(주심) 노태악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계약 위반했는데 불법행위도 되나요? - 손해배상 청구, 어떻게 해야 할까?

하나의 행위가 계약 위반과 불법행위 둘 다에 해당할 때, 피해자는 둘 중 하나를 선택해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법원은 피해자가 선택한 청구 유형에 따라 그에 맞는 요건을 따져 판단해야 합니다. 단순히 계약 위반이 있다고 불법행위가 자동으로 성립하는 것은 아닙니다.

#계약위반#불법행위#손해배상#선택적 청구

민사판례

남이 내 계약을 방해했어요! 손해배상 받을 수 있을까요?

경쟁 관계에 있는 A와 B가 있고, B가 C와 계약을 맺어 A의 기존 계약 이행을 어렵게 만들었다면, C의 행위가 불법행위인지, 그리고 C가 A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것이 불법행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한 판례입니다. 단순히 A와의 계약 내용을 알면서 B와 계약을 맺었다는 것만으로는 불법행위가 성립하지 않으며, 소송 제기도 권리 보호를 위한 수단으로써 원칙적으로 적법합니다. 다만,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만 불법행위가 성립할 수 있습니다.

#경쟁적 계약관계#제3자 채권침해#소송 제기#불법행위 성립

민사판례

시공사의 부당한 자금 인출, 분양계약자에게 손해 배상 책임 있어

상가 분양계약을 해지한 사람이 시공사의 부당한 자금 인출로 인해 해약금을 돌려받지 못한 경우, 시공사는 해약금 상당의 손해를 배상해야 한다.

#분양계약 해지#시공사 부당인출#해약금 미반환#손해배상

민사판례

계약 해제 후 불법행위, 손해배상액 예정과는 별개로 봐야 한다!

계약 당시 정한 손해배상 예정액은 계약 위반에 대한 것이지, 계약 해제 *후* 발생한 불법행위에 대한 것은 아니다.

#계약해제#불법행위#손해배상예정#적용범위

민사판례

부동산 교환계약, 상대방의 약속 불이행으로 손해를 봤다면?

부동산 교환계약에서 상대방이 약속한 채무를 이행하지 않아 소송에서 패소하고 다른 부동산이 가압류되는 등의 상황이 발생했다면, 채무를 이행하지 않은 상대방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실제로 돈을 지급하지 않았더라도 패소 확정판결과 가압류 등으로 인해 채무 부담이 확실해졌다면 손해가 발생한 것으로 본다.

#부동산#교환계약#채무불이행#손해배상

형사판례

건설공사 입찰방해, 뭘까요?

이 판례는 건설산업기본법에서 말하는 '입찰행위 방해'가 형법상 입찰방해죄와 같은 의미라는 것을 명확히 하고, 재개발 사업 시공자 선정 과정에서 금품을 제공하여 입찰의 공정성을 해친 행위를 건설산업기본법 위반으로 판단한 사례입니다.

#건설산업기본법 위반#입찰방해#금품제공#양벌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