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기관의압수물(가)환부에관한처분취소·변경기각결정에대한재항고

사건번호:

2022모2352

선고일자:

20240312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1] 수사기관의 압수물 환부에 관한 형사소송법 제417조 준항고의 요건 및 공소제기 이후의 단계에서 검사의 압수물에 대한 처분에 관하여 준항고로 다툴 수 있는지 여부(소극) / 압수물에 대한 몰수의 선고가 포함되지 않은 판결이 확정되어 압수가 해제된 것으로 간주된 경우, 검사에게 압수물 환부에 대한 처분을 할 권한이 있는지 여부(소극) [2] 형사소송법 제417조 준항고의 제기기간

판결요지

[1] 수사기관의 압수물의 환부에 관한 형사소송법 제417조의 준항고는 검사 또는 사법경찰관이 수사 단계에서 압수물의 환부에 관하여 처분을 할 권한을 가지고 있을 경우에 그 처분에 관하여 제기할 수 있는 불복절차이다. 공소제기 이전의 수사 단계에서는 압수물 환부·가환부에 관한 처분권한이 수사기관에 있으나 공소제기 이후의 단계에서는 위 권한이 수소법원에 있으므로 검사의 압수물에 대한 처분에 관하여 형사소송법 제417조의 준항고로 다툴 수 없다. 또한 형사소송법 제332조에 따라 압수물에 대한 몰수의 선고가 포함되지 않은 판결이 확정된 때에는 압수가 해제된 것으로 간주되므로 이 경우 검사에게는 압수물 환부에 대한 처분을 할 권한이 없다. [2] 형사소송법 제417조의 준항고에 관하여 같은 법 제419조는 같은 법 제409조의 보통항고의 효력에 관한 규정을 준용하고 있다. 따라서 형사소송법 제417조의 준항고는 항고의 실익이 있는 한 제기기간에 아무런 제한이 없다.

참조조문

[1] 형사소송법 제332조, 제417조 / [2] 형사소송법 제409조, 제417조, 제419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74. 5. 30. 자 74모28 결정, 대법원 1984. 2. 6. 자 84모3 결정(공1984, 469)

판례내용

【피 고 인】 피고인 【재항고인】 피고인 【원심결정】 대전지법 천안지원 2022. 9. 29. 자 2022보1 결정 【주 문】 재항고를 기각한다. 【이 유】 재항고이유를 판단한다. 수사기관의 압수물의 환부에 관한 형사소송법 제417조의 준항고는 검사 또는 사법경찰관이 수사 단계에서 압수물의 환부에 관하여 처분을 할 권한을 가지고 있을 경우에 그 처분에 관하여 제기할 수 있는 불복절차이다(대법원 1974. 5. 30. 자 74모28 결정, 대법원 1984. 2. 6. 자 84모3 결정 참조). 공소제기 이전의 수사 단계에서는 압수물 환부·가환부에 관한 처분권한이 수사기관에 있으나 공소제기 이후의 단계에서는 위 권한이 수소법원에 있으므로 검사의 압수물에 대한 처분에 관하여 형사소송법 제417조의 준항고로 다툴 수 없다. 또한 형사소송법 제332조에 따라 압수물에 대한 몰수의 선고가 포함되지 않은 판결이 확정된 때에는 압수가 해제된 것으로 간주되므로 이 경우 검사에게는 압수물 환부에 대한 처분을 할 권한이 없다. 한편 형사소송법 제417조의 준항고에 관하여 같은 법 제419조는 같은 법 제409조의 보통항고의 효력에 관한 규정을 준용하고 있다. 따라서 형사소송법 제417조의 준항고는 항고의 실익이 있는 한 제기기간에 아무런 제한이 없다. 원심결정 이유를 관련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형사소송법 제417조의 준항고 제기기간에 관한 원심결정의 이유 설시에 일부 적절하지 아니한 부분이 있으나 이 사건 각 압수물에 대한 몰수의 선고가 포함되지 않은 판결이 선고된 이후에 이 사건 준항고가 제기되었고 위 판결이 확정된 점에 비추어 이 사건 준항고를 기각한 결론은 정당하고 재판에 영향을 미친 헌법·법률·명령 또는 규칙을 위반한 잘못이 없다. 그러므로 재항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서경환(재판장) 김선수 노태악(주심) 오경미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압수물 돌려받기, 어떻게 해야 할까요?

무죄 확정 후 압수물을 돌려받지 못했더라도 검사의 환부 거부 또는 무대응을 행정소송으로 다룰 수 없다. 민사소송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

#압수물 환부#검사 부작위#행정소송 불가#민사소송

형사판례

압수물 돌려받기, 생각보다 쉽습니다!

범죄 증거물로 압수된 물건이라도 꼭 몰수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면 재판 전에 돌려받을 수 있고, 소유권을 포기한다고 해도 돌려받을 권리가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

#압수물#가환부#소유권 포기#환부

형사판례

압수물 돌려받을 수 있을까? 가환부 판단 기준!

압수물을 돌려줄지(가환부) 여부는 범죄의 종류와 심각성, 압수물의 증거 가치, 훼손 가능성, 피압수자의 불이익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압수물#가환부#범죄#증거가치

형사판례

압수수색에 대한 준항고,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수사기관의 압수수색에 불복하는 '준항고'를 할 때, 어떤 압수수색에 불복하는지 명확히 밝혀야 하지만, 피압수자가 압수수색 과정에 참여하지 못해 이를 특정하기 어려운 경우, 법원은 피압수자가 이를 특정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또한, 어느 수사기관이 압수수색을 했는지 정확히 특정하지 못했다는 이유만으로 준항고를 기각해서는 안 된다는 내용입니다.

#압수수색#준항고#절차적 권리#특정

형사판례

압수영장 발부에 대한 준항고, 가능할까요?

경찰이나 검찰의 요청으로 판사가 발부한 압수영장 자체에는 준항고나 항고를 할 수 없다. 하지만 압수영장에 따른 실제 압수 *처분*에 대해서는 준항고가 가능하다.

#압수영장#발부#준항고#항고

형사판례

압수물에 대한 소유권 포기, 그럼 돌려받을 권리도 없어지는 걸까?

수사 중 피의자가 압수물의 소유권을 포기하더라도 수사기관은 압수물을 돌려줄 의무가 있으며, 피의자의 압수물 반환 청구 권리도 사라지지 않는다.

#압수물#소유권 포기#환부청구권#형사소송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