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소득세등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89누3854

선고일자:

199003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과세처분당시 누락된 수입금액을 과세처분취소소송에서 주장할 수 있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과세처분취소소송의 심리대상은 과세관청이 결정한 소득금액의 존부로서 과세관청은 재판의 변론종결시까지 당해 과세관청에서 인정한 과세표준액 등이 객관적으로 존재함을 인정할 수 있는 모든 자료를 제출하여 그에 의하여 소득금액의 존부를 판단할 것을 주장할 수 있는 것이므로, 과세처분당시 누락된 매출금액을 총수입금액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과세관청의 주장을 받아들여 그 소득금액을 확정한 법원의 조치는 정당하다.

참조조문

행정소송법 제26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0.10.14. 선고 78누345 판결(공1980,13330)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정성모 소송대리인 변호사 장희목 【피고, 피상고인】 여의도세무서장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89.5.11. 선고 87구964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제1점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증거에 의하여 1983.6.25. 원고와 소외 서태석 외 5인과의 사이에 위 소외인들 소유의 이 사건 대지 위에 원고가 건물을 신축하여 그 완성된 건물 중 450평을 토지대금 명목으로 위 소외인들에게 양도하기로 약정하고 이에 따라 원고가 위 대지 위에 1984.11.19. 건물연건평 1,511평을 준공하여 그 중 450평 부분을 위 소외인들에게 위 토지의 대가로 양도한 사실을 적법히 확정한 후 1983.6.25.에 이루어진 원고와 위 소외인들과의 약정이 동업계약이 아닌 교환계약임을 전제로 피고의 이 사건 과세처분을 옳게 받아들이고 있는 바 기록에 비추어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지적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을 어긴 위법이 없다. 제2점에 대하여, 과세처분취소소송의 심리대상은 과세관청이 결정한 소득금액의 존부이므로 과세관청은 재판의 변론종결시까지 당해 과세처분에서 인정한 과세표준액등이 객관적으로 존재함을 인정할 수 있는 모든 자료를 제출하여 그에 의하여 소득금액의 존부를 판단할 것을 주장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당원 1980.10.14. 선고 78누345 판결 참조) 원심이 이 사건 과세처분당시의 원고의 매출금액을 산정함에 있어서 원고가 위 소외인들에게 토지의 대가로 양도한 건물 450평부분이 거기에서 누락되었다고 하여 이 부분을 총수입금액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피고의 주장을 받아들여 그 소득금액을 확정한 조치는 정당하다 할 것이고 또 원심이 원고의 위 사업소득을 산정함에 있어 원고와 위 소외인들 사이의 약정시인 1983.6.25. 현재의 감정가액을 필요경비로 인정한 것임이 분명하므로 거기에 지적하는 바와 같은 법리의 오해나 심리미진 또는 이유불비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안우만(재판장) 김덕주 윤관 배만운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세금 신고 누락, 어떻게 될까요?

이 판례는 변호사가 수임료 수입을 신고하지 않은 경우, 세무서가 나중에 이를 발견하여 세금을 다시 계산할 수 있고, 누락된 수입에 대한 필요경비는 납세자가 입증해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또한, 소득 누락분이 확인된 경우 추계과세가 아닌 실지조사를 통해 세금을 계산해야 하며, 누락 수입 관련 경비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기존에 신고된 총필요경비에 포함된 것으로 간주한다는 것을 명시합니다.

#소득누락#세금경정#필요경비입증책임#실지조사

세무판례

탈루 소득 적발 시, 세금 정정 가능할까?

납세자가 소득세 신고를 했더라도, 나중에 처음부터 신고하지 않고 숨긴 소득이 발견되면 세무서에서 세금을 다시 계산해서 고칠 수 있습니다.

#탈루소득#경정결정#과세표준확정신고#서면조사

세무판례

양도소득세, 추가 세금 부과받았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이 판례는 세금, 특히 양도소득세를 계산할 때 이전에 낸 세금과 관련된 결정이 있었다면 나중에 세금을 다시 계산할 때 이전 결정은 새 결정에 포함되어 효력을 잃는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쉽게 말해, 수정된 세금 고지서가 나오면 이전 고지서는 무효가 된다는 뜻입니다.

#양도소득세#증액경정처분#당초처분#효력상실

세무판례

세금 더 내라고 했는데, 처음 세금도 따져볼 수 있을까?

세금을 증액하는 경정처분이 있으면 이전 처분은 새로운 처분에 흡수되어 사라지고, 증액된 부분뿐 아니라 원래 세금에 대해서도 다툴 수 있습니다. 잘못된 기준으로 세금을 계산했더라도, 그 계산 착오 자체만으로는 처분이 무효가 되지는 않습니다.

#세금#증액 경정처분#당초 처분 효력#흡수

세무판례

세금 더 내라고 했는데, 원래 신고했던 세금이 잘못됐다고 주장할 수 있을까?

세금을 더 내라고 하는 과세 처분을 받았을 때, 세금 경정청구 제도가 있다고 해서 해당 처분에 불복하는 소송에서 "처음 신고한 세금 자체가 많았다"라는 주장을 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세금 경정청구#과세처분 불복소송#당초 신고 세액 과다 주장#허위 세금계산서

세무판례

세금 더 내라고 했는데, 처음 세금도 따져볼 수 있을까?

세무서에서 세금을 부과한 후, 나중에 세금을 더 내라고 증액하는 처분을 한 경우, 처음 부과된 세금이 이미 확정되었다 하더라도, 증액된 세금에 대한 소송에서 처음 부과된 세금이 잘못되었는지도 함께 다툴 수 있다.

#세금#증액경정#불복#기존세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