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상금

사건번호:

89다카19337

선고일자:

199003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수인의 연대보증인간의 분별의 이익 유무(소극) 나. 수인의 연대보증인 상호간의 구상권행사의 요건

판결요지

가. 수인의 보증인이 있는 경우에는 그 사이에 분별의 이익이 있는 것이 원칙이나 그 수인이 연대보증인일 때에는 각자가 별개의 법률행위로 보증인이 되었고 또한 보증인 상호간에 연대의 특약(보증연대)이 없었더라도 채권자에 대하여는 분별의 이익을 갖지 못하고 각자가 채무의 전액을 변제해야 하나 보증인 상호간에는 그 부담부분의 비율에 관하여 그들간에 특약이 있으면 그에 의하고 그 특약이 없는 경우에는 각자 평등한 비율로 부담을 지게 되는 것이다. 나. 위의 경우 보증인 가운데 한 사람이 자기의 부담부분 이상을 변제했을 때에는 다른 보증인 가운데 이미 자기의 부담부분을 변제한 사람을 제외하고 아직 부담부분의 변제를 하지 않은 사람에 대해서만 구상권을 행사할 수 있다.

참조조문

가. 민법 제439조 / 나. 민법 제448조 제2항

참조판례

대법원 1988.10.25. 선고 86다카1729 판결(공1988,1468)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신용보증기금 소송대리인 변호사 이석조 【피고, 상고인】 김태호 소송대리인 변호사 라정욱 【원 판 결】 서울고등법원 1989.6.12. 선고 89나1188 판결 【주 문】 원판결을 파기하여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에 대하여 보증인이 채권자와의 보증계약에 바탕하여 보증채무를 이행하는 것은 실질적으로는 타인(주채무자)의 채무를 변제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보증인은 주채무자에 대하여 자기의 출연의 반환을 구하는 권리로서의 구상권을 갖게 되는 것이며 이밖에도 민법 제482조 제1항에 따라 위에서 본 변제로 인하여 소멸된 채권자의 주채무자에 대한 채권이나 보증인(연대보증인)에 대한 보증채권(연대보증채권)을 변제자가 취득한 구상권의 범위내에서 행사할 수가 있는 것이다(변제자대위의 제도). 그리고 수인의 보증인이 있는 경우에는 그 사이에 분별의 이익이 있는 것이 원칙이나 그 수인이 연대보증인일 때에는 각자가 별개의 법률행위로 보증인이 되었고 또한 보증인 상호간에 연대의 특약(보증연대)이 없었더라도 채권자에 대하여는 분별의 이익을 갖지 못하고 각자의 채무의 전액을 변제해야 하나 위 보증인 상호간에는 그 부담부분의 비율에 관하여 그들 간에 특약이 있으면 그에 의하는 것이 당연하나 그 특약이 없는 한 각자 평등한 비율로 부담을 지게 되는 것이라 할 것이므로 위 보증인 가운데 한사람이 채무의 전액이나 자기의 부담부분 이상을 변제했을 때에는 다른 보증인에 대하여 구상을 할 수 있는 것이고 다른 보증인 가운데 이미 자기의 부담부분을 변제한 사람에 대해서는 구상을 할 수 없는 것이므로 그를 제외하고 아직 부담부분의 변제를 하지 않은 사람에 대해서만 구상권을 행사하여야 한다. 이 사건에서 원심은 주채무자인 소외 주식회사 대한이 채권자인 소외 국민은행으로부터 돈을 빌리는 데 원고가 설시 신용보증을 하고 피고는 소외 임훈과 더불어 그 대출금채무에 대하여 연대보증을 하였으니 원고가 변제한 채권자의 주채무자에 대한 설시 금전채권 중 피고의 부담부분인 삼분의 일에 해당하는 금액의 구상권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으나 피고는 사실심에서 자기의 부담부분 이상을 변제하였노라고 주장하면서 그에 대한 증거(을 제7호증)까지 제출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하여 심리하고 피고의 위와 같은 주장에 대하여 판단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유탈하고 있으니 이는 소송촉진등에관한특례법제12조 제2항 소정의 원판결 파기사유에 해당되는 것이며 이를 지적하는 논지는 이유있다. 이에 원판결을 파기하여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주한(재판장) 이회창 배석 김상원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여러 명이 보증을 섰을 때, 책임은 어떻게 나눠질까요?

여러 명이 함께 보증을 섰을 때, 채권자에게는 각 보증인이 전체 빚을 갚을 책임이 있지만, 보증인들 사이에서는 자기 몫만큼만 책임을 집니다. 한 보증인이 전체 빚을 다 갚았다면, 다른 보증인들에게 자기 몫만큼 돌려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보증#연대보증#분별의 이익#구상권

민사판례

여러 명이 함께 보증 서줬는데, 나만 빚을 다 갚았다면? - 연대보증과 구상권 이야기

여러 명이 연대보증을 섰을 때, 한 명이 자기 몫보다 많이 갚았다면 다른 보증인들에게 돈을 돌려받을 권리(구상권)가 있다. 이때 돌려받을 수 있는 돈은 보증인 각자의 빚 부담 비율과 주채무의 변동 상황 등을 고려하여 정확히 계산해야 한다.

#연대보증#구상권#부담부분#부담부분 변동

상담사례

친구 빚보증, 나만 덤터기? 내 돈 돌려받을 수 있을까?

친구 빚보증으로 서류상 주채무자가 되었더라도 실제 돈을 쓴 사람이 따로 있다면, 다른 연대보증인에게는 자신이 부담한 금액만큼만 청구 가능하다.

#친구 빚보증#실질적 주채무자#형식적 주채무자#연대보증인

민사판례

내부적으로 주채무자인 연대보증인의 구상권 행사, 가능할까요?

여러 명이 보증을 섰을 때, 겉으로는 모두 동등한 보증인이지만 실제로는 돈을 빌린 사람과 같은 위치에 있는 '실질 주채무자'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다른 보증인이 빚을 갚았다면 실질 주채무자에게 갚은 돈을 돌려달라고 요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질 주채무자가 자기 몫 이상으로 빚을 갚았다고 해서 다른 보증인에게 돈을 돌려달라고 요구할 수는 없습니다.

#실질주채무자#보증인#구상권#연대보증

상담사례

연대보증, 내가 낸 돈 돌려받을 수 있을까? - 구상권 이야기

연대보증에서 다른 보증인에게 구상권을 행사하려면 자신이 부담해야 할 몫 이상을 갚아야 한다.

#연대보증#구상권#채무#보증인

생활법률

여러 명이 보증을 서면 어떻게 될까? 공동보증 완벽 정리!

여러 명이 함께 돈을 빌린 사람의 채무를 보증하는 공동보증은 보증인들 간의 약속에 따라 단순보증(각자 자기 몫만 책임), 연대보증(전체 채무 책임), 보증연대(단순보증 형태지만 전체 채무 책임)로 나뉘며, 책임 범위와 구상권 행사 방식이 다르므로 보증 계약 전 꼼꼼한 확인이 필요하다.

#공동보증#단순보증#연대보증#보증연대